서천 서역국으로 복 타러 가네 최하림 시인이 들려 주는 구수한 옛날이야기 17
최하림 지음, 서선미 그림 / 가교(가교출판)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옛이야기는 워낙 비슷비슷해서 정확히는 알지 못하더라도 읽어보면 어디선가 읽은 듯한 느낌이 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책도 읽으면서 분명 어디서 읽었는데라는 생각을 했다. 특히 첫 번째 이야기는 '원천강 오늘이'이야기와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었다. 아마 두 이야기 말고도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는 옛이야기가 많을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들어 있는데 모두 복과 관련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이야기는 자신의 복이 너무 적다고 생각하고 서천 서역국으로 복을 타러 가는 정 도령의 이야기로 자신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바꾸려는 인물이 나오고, 두 번째 이야기는 자신의 적은 복을 받아들이고 살아가며 자신도 모르게 덕을 쌓아 복이 들어온다는 이야기로 자신의 운명에 순응하는 모습이 엿보인다.

첫 번째 이야기에서 정 도령은 자신의 복을 더 타오기 위해 어딘지도 모르는 서천 서역국으로 떠난다. 가면서 여러 사람을 만나는데(원래 옛이야기가 모두 그렇듯이) 그 사람들의 부탁을 다 들어주기로 한다. 그러나 어렵게 도착한 서천 서역국에서 자신의 복이 그것 밖에 안 되니 지금처럼 살라는 부처님의 말을 듣고 처음에는 떼를 쓰다가 결국은 아무것도 얻지 못한 채 돌아선다. 그러나 알고 보면 아무것도 못 얻은 것이 아니다. 지나오면서 부탁받은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줄 때마다 자신도 모르는 복이 들어온다. 역시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 하나보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복이 없는 박복덕이라 불리는 여인의 삶을 보여준다. 그러나 자신의 복이 없음을 한탄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운명을 묵묵히 열심히 일하면서 살아간다. 그러다가 우연히 저승으로 잡혀간 사또에게 저승 곳간에 있는 쌀을 본의 아니게 빌려주고 훨씬 많은 삼백 석을 받는다는 그런 이야기다. 그러나 여기서 마지막에 사또의 쌀 삼백 석의 출처를 밝히는 부분은 차라리 없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부모에게서 받아다가 준 것이라니... 그렇다면 부모가 그 정도의 재물이 없으면 어쩌란 말인가. 옛이야기는 생략하고 건너 뛰어도 아이들이 받아들이는 데 별 무리가 없는 장르 아닐런지. 

주로 옛이야기를 입말로 되어 있는 것을 읽어서 그럴까. 이상하게 이것은 친근감이 느껴지질 않았다. 또한 아이들에게 의도적으로 무언가를 알려주려고 하는 흔적들이 오히려 거북했다. '내 복이라도 남은 것이 있으면 드리고 싶은걸.(37쪽)' 이라던가, '저는 복을 더 타지 못했지만 세 가지 부탁을 모두 들어주셨으니 아주 헛된 걸음만은 아니었습니다.'(43쪽) 등의 표현처럼 말이다. 비단 이것이 과정을 담담하게 이야기하는 옛이야기를 읽다가 이처럼 작가의 적극적인 입김이 느껴지는 글을 읽어서 그렇게 여겨지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