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 관한 책들이 많다.
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봐야 할 책으로 <고종석의 문장>을 꼽겠다.
이런 종류의 책은 하도 많이 봐서 ‘거기서 거기다’라고 보는데,
예문을 들어 글을 잘 쓰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좋았다.
몇 가지만 정리해 봤다.
1) 접속사는 되도록 빼기
예) 나는 하늘을 공경한다. 그러나 하늘은 나를 그리 대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그러나’를 빼선 안 될 이유가 없습니다. 오히려 ‘그러나’를 빼버림으로써, 두 문장 사이의 빈 공간에 어떤 긴장감이 생깁니다.(118쪽)
2) ‘의’는 되도록 빼기
예) 스위스의 호수의 빛깔의 아름다움
‘의’가 거듭 반복될 때는 대체로 하나나 둘을 빼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스위스의 호수의 빛깔의 아름다움’은 ‘스위스 호수 빛깔의 아름다움’이라고 말해야 한국어답습니다.(123~124쪽)
3) ‘개인적으로’는 빼기
예) 나는 개인적으로 그 정도의 순정한 정치 혐오자나 정치 무관심층은 못 돼서 6월 13일에 투표장에 나갈 생각이다.
여기서 ‘개인적으로’라는 말이 과연 필요할까요? (…) 내가 개인적으로 생각하지, 집단적으로 생각하겠어요? 이런 쓸데없는 말은 다 내쳐야 합니다. 그냥 나쁜 말버릇일 뿐입니다. 간결한 문장이 좋은 문장입니다. 필요 없는 말은 절대 쓰지 마세요.(138쪽)
4) 간결하게 쓰기
예)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주 간결한데, 저는 이 첫 문장에 반해서 <이방인>을 읽었습니다. 꼭 길게 늘어놓을 필요도 없습니다. 인상 깊은 글을 쓰고 싶다면, 다른 사람에게 인상을 주고 싶다면 첫 문장이나 마지막 문장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보석 같은 문장을 중간에 넣어놓으면 별 소용이 없습니다.(61쪽)
5) 한자어를 쓸 것이냐 고유어를 쓸 것이냐
예) 여름옷과 하복, 겨울잠과 동면, 가을밤과 추야, 봄바람과 춘풍
어떤 경우엔 한자어가 더 적절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엔 고유어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나라사랑이 지나쳐서 될 수 있으면 고유어만 쓰겠다, 라고 마음먹은 사람은 그래도 됩니다. 그렇지만 ‘나는 한자어는 절대 안 쓰겠다’, 그건 아주 바보 같은 짓입니다. 아니, 불가능한 일입니다.(162쪽)
고종석, <고종석의 문장>에서.
.............................
예전에 정리해 둔 것인데 이제야 올린다.(뭘 더 쓰려고 했던 것 같다. 말하자면 미완성 페이퍼인 셈이다.)
혹시 올린 적이 있나 하고 확인해 봤더니 없다.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서재 태그에서 저자의 이름을 찾아 내가 올린 글을 살펴보면 된다.
그래서 서재 태그는 꼭 써 놓는 게 좋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