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잘 쓰고 싶다면 글을 많이 써 보는 것 이외에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이에 대한 나의 대답.

 

 

첫째, 독서광이 되려고 노력할 것.

 

 

둘째, 좋은 품성을 가지려고 노력할 것.

 

 

..............................
책을 많이 잃을수록 아는 것이 많아진다. 아는 게 많을수록 텍스트를 빠르게 독해할 수 있고 정확하게 요약할 수 있다. 텍스트를 독해하고 요약하는 데 능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책을 읽고 더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는다. 그러면 글을 잘 쓸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그래서 많이 읽지 않고는 잘 쓸 수 없다는 것이다. 글을 잘 쓰고 싶다면 독서광(讀書狂)이 되어야 한다. 책을 읽지 않고 타고난 재주만으로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없다. 글 쓰는 기술만 공부해서 잘 쓰는 사람도 물론 없다.(79쪽)


- 유시민,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우선 독서광이 되어야 하겠다. 재주와 기술만 가지고 글을 쓰는 건 아니기 때문. 

 

 

..............................
귀곡자 연구자들에 의하면 소크라테스는 레토릭에서 실패했다고 합니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의 전형인 ‘너 자신을 알라!’가 그렇다는 것입니다. 상대방을 대단히 불쾌하게 하는 어법입니다. (...) 상대방을 설득해야 하고, 설득하기 위해서는 그와의 대화가 기쁜 것이어야 합니다. 자신의 지식과 도덕성이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는 것이어서는 인간관계에서 실패하게 마련입니다.(54~55쪽)

 

- 신영복, <담론>에서.
..............................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좋은 품성을 가져야 하겠다. 자신의 지식과 도덕성이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면 안 되기 때문.

 

 

..............................
귀곡자는 언어를 좋은 그릇에 담아서 상대방에게 기분 나쁘지 않게 전달하는 것, 그것이 성(誠)이라고 했습니다.(55쪽)

 

- 신영복, <담론>에서.
..............................

 

 

“언어를 좋은 그릇에 담아서 상대방에게 기분 나쁘지 않게 전달하는 것”

 

 

이란 무엇을 말함인가?

 

 

이런 게 아닐까?

 

 

인터넷 블로그에서 누군가가 쓴 어떤 글을 읽고 반박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를 가정해 본다.

 

 

“A 님, 그 글은 무엇을 배경으로 쓴 글인지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 님의 생각이 잘못된 것 같아서요.”

 

 

또는,

 

 

“A 님, 그 글에 대해 제가 반박하는 글을 써 보겠습니다. 어느 것이 옳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라고 말하는 것. 이런 게 좋은 그릇에 담은 언어의 예가 될 듯.

 

 

어느 시인의 글에서 읽은 적이 있다. 비판의 글을 쓰더라도 글에서 누군가를 향해 독화살을 직접 쏘지 말라고. 그렇게 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글을 쓸 수 있다고.

 

 

어느 알라디너가 쓴 리뷰가 생각난다. <밤이 선생이다>라는 책에 대해 쓴 리뷰인데 그 리뷰에는 저자의 글 중 어느 대목을 비판하는 글이 들어 있었다. 그런데 독자로서의 불쾌감을 드러내지 않았을뿐더러 거칠지 않고 부드럽게 참 잘 썼다. 저자의 잘못된 생각을 정확히 지적하면서 그것 때문에 아쉬웠다는 점을 말할 뿐이었다. 저자가 그 글을 보더라도 뭐라고 따질 수 없을 것 같았다. 왜냐하면 그 글 속엔 정중함이 배어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그 리뷰를 읽고 ‘글은 이렇게 쓰는 거구나.’ 하고 감탄하며 알지도 못하는 사이인데 용기를 내어 댓글을 남겼다. (일 년이 넘은 일로, 내가 어느 페이퍼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결국 글을 잘 쓰고 싶다면 필자의 ‘사고’뿐만 아니라 ‘품성’도 중시해야 할 것 같다.

 

 

..............................
언어에는 분명 언어 자체의 개념적 의미와 함께 언어 외적인 정서도 함축되어 있습니다. 삶 속에서 경작된 그 사람의 인품과 체온 같은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각 단어의 문자적 의미가 아닙니다. 단어들이 만들어 내는 언술言述이 더 중요합니다. 언어도 결국 언술을 구성하는 요소에 불과합니다.(55쪽)


- 신영복, <담론>에서.
..............................

 

 

그 리뷰에서 나는 그 알라디너의 인품과 체온 같은 것을 느꼈던 것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5-05-16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어 외적이 정서가 담긴 점. 분명합니다. 내용전달만이 언어의 목적이 아닐진대 우리는 지면 위에서든 지면 밖에서든 유려하지 못한 경우가 많지요. 저도 마찬가지구요. 어제 모임에서 어느분의 그런 달갑지않은 태도, 즉 언어 외적인 정서, 태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 일이 잠시 있었거든요. 나를 돌아보게되더군요. 그럼에도 아직 거칠지만요.

페크pek0501 2015-05-16 16:04   좋아요 0 | URL
그런 일이 있었군요.

혹시 제가 앞으로 글쓰기에 품성이 드러난다는 사실을 잊고 쓴 듯한 글을 쓰게 되면 프레이야 님이 저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일침을 가해 주세요.
고럴 땐 창피하니까 비밀댓글이면 더욱 감사하고요. ㅋㅋ 그러면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갖고 고치겠습니다.

제가 훗날 이런 생각을 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을까 봐,
이런 페이퍼를 올렸다는 사실조차 잊을까 봐 걱정입니다.
요즘 기억력이 얼마나 나쁜지... 에고...

stella.K 2015-05-16 1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왜 작가는 바르고, 똑똑하고, 지혜로운 사람일 거라고
생각하는지 모르겠어요.ㅋㅋ

페크pek0501 2015-05-17 14:55   좋아요 0 | URL
그건 스텔라 님이 겸손해서가 아닐까 해요. ㅋㅋ

<밤이 선생이다>라는 책은 잘 쓴 에세이가 많아요. 단 하나, 옥의 티가 있었다는 것이죠. 그거야 뭐, 나중에 개정판 낼 때 고치면 되지 않겠어요.
저 같으면... 처음엔 이렇게 썼는데 독자의 지적을 받고 나니 내가 놓친 부분이 있었다는 걸 알았다. 그러면서 고쳐서 실을 것 같아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함으로써 겸손한 모습을 보여 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하잖아요.

제일 위험한 것은, 나도 틀릴 수 있다 라는 생각을 갖지 않는 태도 같아요.
위대한 철학자도 사상가도 옥의 티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지요.
우린 신이 아니고 인간이니까요.
아니, 신도 틀릴 때가 있었을 거라고 봐요. ^^

돌궐 2015-05-17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요일 아침에 좋은 글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페크pek0501 2015-05-17 14:49   좋아요 0 | URL
환영합니다.

좋은 글로 봐 주시니 감사합니다.

가끔이라도 들러 주셔서 댓글을 남겨 주시면 저로선 고마운 일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5-05-19 23: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15-05-20 13:13   좋아요 0 | URL
하하~~ 웃겠습니다.
닉네임이 두 개이신 분, 이미 알고 있었어요.
아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인터넷 공간에선 비밀이 없답니다. 신상 털기가 일어나기도 하는 곳이잖아요.

어쨌든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