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석 저, <고종석의 문장>. 읽고 있는 책이 두 권 있어서 이 책을 나중에 읽으려 했다. 그저 맛만 보려고 책을 펼쳤는데 읽다 보니 손에서 놓지 않게 돼 계속 읽게 되었다. 웃게 만드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도 아닌데 이 책 참 재밌다. 흡인력이 있다. 이틀을 읽었더니 어느새 300쪽이 넘어 버렸다. 읽은 것 중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에 대한 글이 있다. 흥미로워 소개한다.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를 뽑아 보는 것.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를 고종석 저자는 어떻게 뽑았을까?
저도 예전에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라는 글에서 제가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열 개를 꼽아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 고른 낱말 열 개는 ‘가시내’ ‘서리서리’ ‘그리움’ ‘저절로’ ‘설레다’ ‘짠하다’ ‘아내’ ‘가을’ ‘넋’ ‘그윽하다’였습니다. 좋아하는 말이 있으면 글을 쓸 때 그 말을 더 자주 쓰게 됩니다. - 고종석 저, <고종석의 문장>, 305쪽. |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를 김수영 시인은 어떻게 뽑았을까?
김수영이라는 시인 다 아시지요? <풀>이나 <사랑의 변주곡>같은 시로 유명한 분입니다. 김수영 선생도 생전에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라는 산문을 쓴 적이 있습니다. 그 양반이 꼽은 낱말 열 개가 뭐냐 하면, ‘마수걸이’ ‘에누리’ ‘색주가’ ‘은근짜’ ‘군것질’ ‘총채’ ‘글방’ ‘서산대’ ‘벼룻돌’ ‘부싯돌’이었습니다. - 고종석 저, <고종석의 문장>, 307~308쪽. |
나도 뽑아 봤다. 나는 두 낱말 이상이 모인 것도 포함하였다.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를 내가 뽑은 것.
‘해 질 무렵’ ‘쏜 살 같이’ ‘비 오는 풍경’ ‘저녁 산책’ ‘가을비’ ‘우산 속’ ‘가로수’ ‘허수아비’ ‘예술가’ ‘우리들의 젊은 날’
이런 것도 덧붙이고 싶다.
‘눈부신 아침’
‘숲 속의 빈 터’
‘한여름 밤의 꿈’
‘새벽이슬이 맺힌 나뭇잎’
‘일요일 낮의 평화로운 동네’
‘등이 휠 것 같은 삶의 무게’(이건 어느 노래 가사에 있다.)
가장 맘에 드는 것은 ‘해 질 무렵’
여러분도 뽑아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