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커피를 매일 마시다 보니 이가 노랗게 되는 게 걱정이 되었다. 그래서 커피를 마신 직후에 꼭 물을 마셔서 씻어 내기로 했다. 입 안을 헹구는 것이다. 앞으로 모든 사람들이 이가 노란 사람을 보면 이를 닦지 않아서 그렇다고 생각하지 말고 ‘커피광이구나’ 이렇게 생각했으면 좋겠다. 그러면 창피할 것도, 보기 싫을 것도 없지 않겠는가.
2. 살아 있는 게 몇 마리를 사서 곤혹스러운 적이 있다. 집에 가져왔는데 게가 죽지 않아서다. 내가 죽여야 하는데 그걸 할 수가 없었다. 한 친구에게 전화했더니 끓는 물에 넣었다가 빼란다. 게에게 미안했지만 친구가 시키는 대로 했다. 그 다음엔 칫솔로 여기저기를 닦아야 하는데, 아무리 게가 죽었어도 게가 아플 것 같아서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또 그 친구에게 전화를 해서 어떻게 손질하면 게가 고통 받지 않고 깨끗이 닦을 수 있느냐고 물었다.
‘아, 다시는 게를 사지 않을 거야.’
3. 나만 좋으면 그만일까.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죄를 짓고 사는 존재들이라서 조심해서 살아야 할 것 같다. 예를 들면 내가 별 뜻 없이 한 말에 누군가는 상처를 받을 수 있고, 개를 산책시키기 위해 끌고 나와 개똥을 치웠는데 그걸 보고 누군가는 비위가 상할 수 있으며, 자동차를 끌고 나와 공해를 만들어 남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나만 좋으면 그만이다’라는 생각을 해도 되는 건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경우여야 할 것 같다. 그럴 때 ‘누가 뭐라고 하든지 나만 좋으면 그만이다’라고 생각해도 되는 것이다.
4.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적이고, 객관적이면서도 주관적인 글을 쓰고 싶다. 그런데 이게 참 어려운 일이다. 주관적인 글이란 필자의 개성이 있는 글을 말하고, 객관적인 글이란 독자의 공감을 얻어내는 글을 말한다. 그러니까 개성이 있으면서도 독자의 공감을 얻어내는 글이 좋은 글이 된다. 나는 글을 쓰고 나서 글에 주관성과 객관성이 있는지 검토할 때가 있는데 한 가지만 있을 때가 많다. 그러니까 부족한 글이 되고 마는 것이다.
5. 좋은 책이란 ‘문제 제시’와 ‘해결 방안’까지 담은 것이겠지만, 해결 방안은 없더라도 문제 제시만 해도 좋은 책으로 생각한다. 독자들이 잘 모르는 중요한 문제를 제시한 경우에 그렇다. 해결 방안은 독자들이 고민해도 되는 거니까. 또 어떤 이는 그 해결 방안을 연구하여 책으로 내기도 할 것이니까. 그러니까 ‘문제 제시’를 해서 다양한 해결 방안이 나오도록 유도하는 책이라면 그것만으로도 좋다고 여긴다.
문학으로 말하면 저자가 세상의 문제를 찾아내어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작품이 되는 것이다. 독자로 하여금 그 문제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게 작가의 임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해결 방안을 담을 경우에 그 해결 방안이 최선이 아닐 경우가 많을 것 같다. 저자 한 사람이 모든 걸 알 순 없으니까. 제일 똑똑할 순 없으니까. (그래서 문학에선 해결 방안을 쓰지 않는가 보다.)
6. 나도 나이가 들었나 보다. 동화가 좋아진다. 루이스의 말처럼 되는가 보다.
“언젠가 나이가 들면 다시 동화를 읽게 될 것이다.”(C. S. 루이스)
언제 기회 있으면 동화를 몇 권 소개하는 글을 올려야겠다.
7. 서재에서 나하고 댓글을 주고받는 이웃 블로거들의 서재에 가 보면 모두 나의 서재보다 방문자 수가 많다. 내가 꼴찌라는 얘기다. 그래서 글을 많이 올려서 분발해야겠다고 생각했다가 금방 그 생각을 지워 버렸다. ‘꼴찌면 어떠냐. 무조건 남보다 앞서야 한다는 생각이 잘못된 거야. 나는 내 속도대로 살면 되는 거야. 뱁새가 황새 따라가자면 가랑이가 찢어지는 법이야.’ 뭐 이런 생각을 했다.
‘짧고 굵게’가 아니라 건강을 챙기면서 ‘가늘고 길게’ 살자고 마음먹는다. 건강이 제일이니까.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 것이므로.
8. 거실에 있는 화초에 물을 줄 때에 물을 늦게 줘서 미안하다고 말한 적이 있다. 남들이 들으면 웃을 일이겠지만 화초가 내 말을 알아듣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떤 실험에서 음악을 들려 준 화초가 그렇지 않은 화초보다 더 잘 자라더라는 결과가 나왔는데, 그 결과를 알고부터 식물도 사람 말을 알아들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 같다.
내가 화초에 물을 주던 중, 물을 흡수한 어떤 화초가 기운이 났는지 오므렸던 잎을 활짝 펼쳐서 그 움직임에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잎이 물을 먹고 나서 강한 생명력을 보여 준 것만 같았다. 이럴 때 식물이 무섭다고 느껴지기도 하는데 ‘함부로 대해서는 안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대니얼 샤모비츠 저, <식물은 알고 있다>
이 책을 찜해 놓았는데 아직 구입하지 못했다. 이 책을 읽은 사람은 나처럼 식물에게 말을 건네게 될 것 같다.
9. 개츠비가 파티를 자주 연 까닭은 자신이 사랑했던, 보고 싶은 데이지가 파티에 참석할 거라는 가능성 때문이었다. 이것에 공감할 수 있다면 이 책을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아마 짝사랑을 경험한 사람은 이 책을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절실한 사랑을 공감하지 못한다면 이 책은 재미없는 책이 될 것이다. 중요한 건 공감이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저, <위대한 개츠비>
10. 이 글에서 가장 하고 싶은 말은 이 말이다.
“방문자 여러분! 내일부터 시작되는 추석 연휴를 잘 보내세요. 만약 스트레스가 생기면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또는 수다를 떨면서 기분 전환을 하세요.”
나도 많이 먹어야겠다. 수다도 많이 떨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