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고 말하는 방법
딱 1분만 집중해서 읽어봐
“생각하고 한 말인가요?”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지? 솔직히 그냥 말부터 튀어나올 때도 있잖아. 근데 진짜 생각하고 말을 할 수가 있을까? 누군가와 말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하려는 말을 뇌에서 먼저 정리한 다음 입으로 내뱉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말을 하기 전에 생각을 하고 해. 근데 여기서 문제는 생각을 조금 더 길게 할 필요가 있다는 거지.
대개 사람들은 대화가 끝나기고 전에 ‘상대방은 이런 말을 하고 있구나’라고 쉽게 단정하고 결론을 내려버려. 그렇게 빠르게 결론을 내려버리면 자신의 말이 빠르게 뇌 속에서 처리되어 입으로 나와버리지. 그러면 그 상황에서 해서는 안 되는 말, 상대의 의도를 모르고 해버린 배려 없는 말들이 필터링 없이 튀어나오게 되는 거야.
그렇게 자신이 실수했다는 사실을 말을 뱉고 나서야 눈치채게 돼. ‘아차’ 하고 말이야. 그 짧은 순간에도 머리는 상황을 인지해서 이 말이 여기에 잘 안 어울리는 말이었다는 사실을 인지해내. 그만큼 우리의 뇌는 똑똑하다는 말이지. 이 말을 반대로 해보면, 우리는 모두 말을 하기 전에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거야.
말하기 전에 네가 충분히 아는 말이라도 상대방의 말을 끊지 않아야 하고, 말이 끝났다고 해도 진짜 잠시만 쉬었다가 말해봐. 그러면 그 짧은 시간에도 너의 똑똑한 뇌가 빠르게 정리해서 하면 안 되는 말들을 골라 내줄 거야. 그럼 훨씬 더 생각하고 말하는 사람처럼 보일 수 있지.
그렇다고 대화하는 데 5초 정도씩 쉬어가면서 말하면, 상대가 빡치니까 절대 그러진 말고!
- 1분만, 「딱 1분만 읽어봐」에서.



**
앉아서 다리를 떠는 이유는 뭘까?
딱 1분만 집중해서 읽어봐
옆에서 누가 다리를 떨면 자꾸 신경 쓰이고 짜증도 나잖아. 대체 왜 사람들은 다리를 떠는 걸까? 다리를 떠는 원인이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는데, 그동안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한 몇 가지의 유력한 가설이 있어.
첫 번째는 신체적인 원인이야. 우리 몸은 특정 부위에 압박을 받으면 혈액 공급이 안 되어 본능적으로 그 부위를 움직이게 되어 있거든. 다리를 떠는 사람들을 보면 다들 앉아 있지? 앉은 자세에서는 하체가 의자에 눌리기 때문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다리를 떨게 되는 거야. 미국 미주리대학교의 한 연구에서도 의자에 앉아서 다리를 계속 움직인 사람이 그냥 가만히 앉아 있던 사람보다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훨씬 낮다는 결과가 나왔어.
다리를 떠는 데는 심리적인 이유도 있어. 사람은 불안을 느끼면 그걸 해소하려는 방어기제가 신체적인 행위로 나타나기도 해. 예를 들어 손톱을 물어뜯거나 손을 계속 꼼지락거리는 행동 등이 있는데, 다리를 떠는 것도 그런 행동 중 하나인 거지.
한 심리학자의 주장에 따르면 처음에는 불안감을 해소하려고 다리를 떨기 시작하지만 이런 행동이 반복되면 나중에는 무의식중에 다리를 떨기만 해도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고 해. 그러니까 이렇게 건강에도 도움이 되고, 심리적인 안정감도 주는 다리 떨기를 너무 안 좋게만 볼 필요는 없을 것 같아.
근데 “다리 떨면 복 나간다”는 말은 팩트더라고! 나도 아까 엄마가 다리 떨지 말라길래 ‘불안감 해소’ 논리로 반박했다가 바로 등짝 스매시당했거든!
-1분만, 「딱 1분만 읽어봐」에서.




1분만, 「딱 1분만 읽어봐」
채널 개설 2년 만에 누적 조회수 4억 2천만을 기록하고 92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인기채널 '1분만'의 콘텐츠들 중에서 특히 재미있고 반응이 뜨거웠던 것들만 엄선해 단행본으로 출간했다.(알라딘 책소개)

나는 전자책으로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