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이 수필 현상 공모에 당선되어 백만 원의 상금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폰 문자로 전해 온 그의 당선 소식에 기뻐서 나도 모르게 입이 벌어졌다. 내 진심을 담아 축하하고 싶어 전화 통화를 하고 싶었으나 그가 집밖에 있다고 하여 문자로만 축하를 해 주었다. 내 일처럼 기뻤다. 그리고 다음 순간 부러웠다. 시기심은 나지 않았다.
시기심과 부러움은 다르다. 어떻게 다른가 하고 생각해 보니 이런 건 같다. 시기심은 그가 글이 당선되지 않고 내가 당선되고 싶은 마음이다. 반면에 부러움은 그도 당선되고 나도 당선되고 싶은 마음이다.
시기심의 있음과 없음의 차이를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시기심이 났다는 건 내가 상금을 타는 행운을 얻지 못한다면 그에게도 그런 행운이 없길 바란다는 것이다. 반면에 시기심이 나지 않았다는 건 내가 상금을 타는 행운을 얻지 못하더라도 그에게는 그런 행운이 있길 바란다는 것이다.
내 주위에 있는 문우 중 누군가가 글을 잘 써서 좋은 성과를 얻은 소식을 들을 때면 나도 덩달아 기분이 좋아진다. 그에게 즐거운 일이 있어 나도 즐겁다는 것 외에 또 다른 이유가 있어서다. 글쓰기를 하면서 ‘하늘의 별따기’ 같이 어려운 작업을 하는 걸로 느껴질 때가 많은데, ‘하늘의 별따기’가 아님을 그가 확인시켜 줘서 내게 활력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생각하게 되었다.
‘문우들이여, 글로 성공하시오. 내가 배 아파하지 않을 터이니.’
기억하고 싶은 글.....................................
『할머니는 내게 성서를 한 권 주셨는데, 표지 안쪽 여백에 당신이 좋아하셨던 성구들이 적혀 있었다. 그중에는 “다수를 따라 악을 행하지 말지어다”란 구절도 있었다. 할머니가 이 구절을 강조하신 덕분에 훗날 나는 소수에 속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었다.』(28쪽)
- 버트런드 러셀, <인생은 뜨겁게>에서.
『우연에 기대어, 예기치 않은 접속으로, 인연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삶의 많은 부분들이 의지나 계획보다 우발적 충동적으로 선택되고 집행된다. (...) 인생이 살아볼 만한 것은 예정된 운명이 아닌 우연과 돌발성 때문일지 모른다. 그 돌발성마저 누군가 정교하게 연출해둔 것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128쪽)
- 최민자, <손바닥 수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