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선(삼천)은 백정의 딸이다. ‘백정’이라는 표식 때문에 누구나 그녀를 무시하고 천대할 수 있다. 아버지는 일찍 죽고, 어머니마저 병들어 누워있는 딱한 처지의 열일곱 살 정선을 일본군의 위안부로 끌고 가려는 인간들도 접근한다. 그런 그녀를, 역전에서 옥수수를 팔고 있는 그녀를 한 남자가 바라본다. 첫 눈에 반한 것일 수도 있고, 약하고 가련한 것에 막연히 눈길이 갔을 수도 있다. 심한 박해에도 믿음을 버리지 않았던 집안에서 자란 박희수는 부모의 뜻을 저버리고 정선을 데려오는 것이야말로 신의 말씀을 실천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는 순교자 이야기를 들으며 자란 사람이었다. 가진 모든 것을, 목숨까지도 버려 천주에 대한 사랑을 지키려 했던 그들의 이야기에 감화를 받았다. 그는 증조모를 알게 되면서, 그녀가 사는 모습을 보고서 그녀를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준비를 했다. 너를 구하기 위해 내 인생을 희생하겠다는 마음이었다. -p60]
사실 그것은 허영심이었다. 그는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신의 말씀을 실천할 정도의 신앙심이 강한 것도 아니었고, 부모를 떠날 만큼 용기 있는 사람도 아니었다. 그저 한 순간의 충동이었다, 그는 정선을 위해 자신을 희생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정선이 자신에게 평생 빚을 지고 있다고 여긴다. 정선은 자신에게 굽실거려야 하고, 고마워해야 하며, 남편을 떠받들며 살아야 하는 것이다.
너를 구하기 위해 내 인생을 희생 하겠다...
박희수가 정선을 데리고 고향을 떠나지 않았다면 분명 정선은 일본의 위안부로 끌려갔을 것이다. 그렇다면 정선은 그 고마움으로 숨을 죽이고, 주인 노릇하는 남편을 받들고, 희수가 자신의 딸을 아내가 있는 사람에게 시집보내는 것도 감수해야 하는 것인가?
김사량의 소설 ‘빛 속으로’에서 야마다 하루오의 아버지인, 노름꾼에다 사람도 아닌 한베에(모자란 놈)역시 조선의 요릿집에서 하루오의 엄마를 데리고 나온다. 자신이 그녀를 그런 곳에서 데리고나와 주었다는 이유로, 그는 그녀에게 왕으로 군림하고, 결국 그녀의 얼굴을 칼로 난도질한다.
[“.....하지만 그 사람, 저를 자유로운 몸으로 만들어 준 사람입니다. ....그리고 저는, 조선 여자입니다.....”
지금도 이런 노예 같은 감사의 마음에 의지하여 살아가고 있다니! ...비겁하고 잔인한 한베에가 이 의지할 곳 없는 조선 여인에게 눈독을 들였다가 자기 여자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아닌가! 그녀는 처음부터 그의 희생양으로 선택된 데 지나지 않는다. 폭력적인 반푼이 한베에에 비하면 이 사람은 얼마나 애처로운 여자인가....그녀는 매일 괴롭힘을 당했겠지. 무일푼으로 견디며 두 손 모아 그를 숭배했겠지....그녀 입장에서는 또 어쩌면, 자신이 일본인과 결혼했다는 것을 일종의 긍지로 여기고 이 역경을 살아내고 있거나 최소한의 위안을 얻고 있는지도 모른다. -p53]
4대에 걸친 여인들의 이야기인 최은영의 소설, 『밝은 밤』은 작위적으로 느껴질 만큼 여인들의 불행한 삶이 연속적으로 서술된다. 그 모든 이야기는 정선으로부터 시작된다. 공평하지 못한 제도와 관습, 가혹한 조선의 신분제도와 일제 강점기, 전쟁 등 지금의 우리 세대는 전혀 겪지 못한 고통스런 시기가 있었고, 그 한가운데 언제나 흔들리지 않는 ‘남녀차별’이 있다. 슬프고 괴롭고 억울해도 그저 저항하지 말고, 포기하고 체념하고 살라고만 엄마가 딸에게 가르친다. 사위가 바람피워 딸이 이혼하는데도 엄마는 사위의 행복을 빌어준다.
‘밝은 밤’과 김사량의 소설을 읽으며, 체한 것 같은 답답함과 슬픔이 느껴졌다. 항상 왜 그렇게 사람은, 특히 여자들은 힘들고 척박하게만 살아가야 하는지 모르겠다. 주어진 환경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누군가의 욕망과 이기심에 희생당한다.
작가 최은영은 ‘삼천이라는 인물의 힘’에 끌려 작품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한다. 삼천을 지탱해준 것은 ‘새비’라는 친구이다. 다정하고 따뜻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단호해질 수 있는 사람인 새비가 없었다면 삼천의 삶은 더 힘들었을 것이다. 희령에서 지연은 영옥 할머니를 만나며, 하루오는 미나미 선생님의 따뜻한 공감으로 변화되고 치유된다. 소설이 사람에게, 사람이 사람에게 전할 수 있는 말은 결국 이런 단순하고 간단한 것인지도 모른다. 머나먼 곳에서부터 시작된 이 말들이 돌고 돌아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서럽다는 기 무슨 말이간. 슬프믄 슬프구 화가 나믄 화가 나지. 서럽다는 기 뭐야. 나 기말 싫구만. 너레 화가 난다구 말을 하라요. 나한테 기런 말두 못하믄 내가 너이 동문가. 그래서 마당에 앉아 내 가만히 생각해보니 서럽다는 말이 거짓 같았어. 서럽긴 뭐가 서럽나. 화가 나지. -p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