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인 아침 일찍 일어나 모처럼 CGV불광에 가서
영화 <월 스트리트-머니 네버 슬립스>를 보았다.
집에 와서는 1987년도에 제작된 <월스트리트>를 보았고..
1987년에 비하여 2010년은 금융 기술의 진보가 눈이 부실 정도 였고,
사용되는 장비들도 비교 자체가 우스울 정도였다.
하지만 두 영화에 흐르는 "탐욕"이라는 주제는 20여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은 듯하다.
고든 게코로 노련한 투기꾼의 면모를 보여주는 마이클 더글러스는
여전하고, 찰리쉰에서 샤이아 라보프로 바뀐 신예 투기 견습생들의
행태도 비슷하다. (2010년도판 월스트리트에 찰리쉰이 잠시 등장한다..
성공한 항공회사 대표가 되어 돈 맛에 취해 있는 모습으로)...
자본주의 특히 금융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20여년 후에도
되새김질하는 올리버 스톤의 뚝심도 만만치 않지만, 별의별 방해세력의
등장에도 결국은 항상 이기는 "돈"이라는 넘의 강력한 스태미너는
지구 멸망시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싶다.
<서민투자학>은 대한민국 90%를 위하여 씌여졌다고 주장한다.
재테크라는 게 돈좀 있는 이들의 것이 아닌 전 국민이 가져야 될
마인드라는 측면에서 서민을 위한 맞춤형 투자전략을 제시한다고
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재테크의 수익목표는 금리+알파라고 한다.
자신이 속한 직장에서 열심히 일해서 급여를 받고, 급여 중 생활비를 떼고
저축해서 나름 성실하게 살았다는 사람들은 흔히 회자되는
10억(한국 부자의 최소 기준이라고 해야할까??)은 언감생심이다..
절반 정도 읽은 이 책에서 제시하는 급여 외에 돈벌 수 있는 수단은 주식이나
주식을 기초로한 펀드 정도인데..그 정도해서 과연 10억을 모을 수 있을까?
먼 미래에 10억을 모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의 주인공 고든 게코가 말한 "시간"과의 싸움에서는 결국
패배하지 않는 것일런지...
혹 그렇게 해서 10억을 모으면 인생에서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일하지 않을 자유가 쟁취되어 신나게 놀 수 있을까?
아니면 더욱 원대한 목표 (한 100억 ^^)를 향해 더 열심히 돈을 긁어모아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