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희망 유재현 온더로드 6
유재현 지음 / 그린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쿠바는 그 나라가 자리잡고 있는 위치 때문에 현재도 고난의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하고 많은 나라 중에 하필 미국의 바로 코앞에 자리잡고 있어서 미국과 교류를 하던 시절에는 미국인들의 환락과 향락을 위한 놀이터 구실을 하더니만, 카스트로가 바티스타 정권을 혁명으로 무너뜨리고
집권하면서 부터 경제 제재와 피그만(피그만도 미국인들이 붙여놓은 이름인 걸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되었다.)침공 등으로 쿠바를 못살게 괴롭혀 왔다.

냉전 체제에서는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이 미국이 제공하던 자원과 물자를 제공했으나,1990년대 사회주의 국가들이 대거 붕괴되면서 지원이 끊겨 극심한 자원 및 식량난에 봉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난국을 헤쳐가기 위한 쿠바의 대응은 신선한 발상의 전환이라 할 수 밖에 없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화학 비료와 농약을 치던 방식에서 유기농으로 전환하는 농업혁명을 전개한 것이다.
스페인이나 미국이 지배하던 시절에 지어놓은 건물들은 무너져 가고, 자동차도 50년이상된 고철 덩어리가 굴러 다니는지만, 이들은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의료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교육 시스템 또한 모든 이들에게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남들다 한 발자국이라도 더 앞서가려고 아둥바둥 사는 게 열심히 사는 것이고,바람직하다는 편견을 버리라고 쿠바는 속삭이고 있다. 쿠바가 물론 이상사회는 아님은 분명하고,그들 내부에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문제들도 많겠지만,속도전이 만능이 되어 가고 있는 세상에 느림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쿠바의 실험이 눈부신 성공을 거두어 그 파장이 우리에게도 전해지면 삶이 다소나마 덜 팍팍해질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2-06 17:1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