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도서관 규장각에서 조선의 보물 찾기/열네 살이 어때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왕실 도서관 규장각에서 조선의 보물찾기 - 조선 시대의 놀라운 기록 문화 책과함께어린이 찾기 시리즈
신병주.이혜숙 지음 / 책과함께어린이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보통 드라마를 통해서 혹은 박물관 견학을 통해서 역사 속 우리나라의 모습을 들여다 보게 됩니다. 그 시절의 옷, 집, 먹거리 등이 드라마 속에서 재연됨으로써 우리는 그 시대를 엿보게 됩니다. 그렇다면 드라마 속에서 보여지는 그 시대의 생활상은 어떤 근거를 통해서 재연되고 있는 걸까요? 지금처럼 카메라나 비디오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어떻게 그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걸까요? 
우리 어린이들은 분명 이런 궁금증을 갖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우리 조상들은 글과 그림을 통해서 현재의 모습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보존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책과 그림을 통해서 역사의 모습을 엿보게 되는 것이죠. 그러면 또 하나, 역사의 모습을 기록한 귀한 자료들은 어디에 보존되고 있는 걸까요?
드라마 <이산>이 인기리에 방영되면서 정조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정조는 왕들의 글이나 책 들을 정리하고 연구하며 나랏일을 의논하는 중요한 곳인 <규장각>을 지었고, 바로 우리의 기록문화는 이곳 규장각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정조는 왕위에 있는 24년 동안 규장각 학자들과 함께 151종류, 3960권의 책을 펴냈단다. 정조와 학자들이 얼마나 열심히 공부했는지 알 수 있지. 직접 책을 펴낸 것 말고도 중국이나 외국의 귀한 책들을 모아서 보관하기도 했어. 그래서 규장각을 조선의 보물창고라고 하는 거야. (본문 11p)

<<왕실 도서관 규장각에서 조선의 보물찾기>>에서는 조선의 보물창고라 불리는 규장각에 보관된 역사의 귀한 자료를 고스란히 옮겨 담은 책입니다. 어린이를 위한 작은 규장각이라고 이름 지으면 좋을 듯 싶어요. 규장각에 보관한 왕의 어필과 의궤 그리고 지도, 기행문, 다양한 서적들을 들여다보면 어려운 역사도 재미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자료가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다가, 구어체로 기록된 이야기는 친절하게 설명하듯 담겨져 있어서 읽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답니다.

1부 왕이 쓴 글씨와 기록화
2부 왕실 기록의 꽃, 의궤
3부 우리 땅을 생생하게 담은 지도와 지리지
4부 전통과 세계의 만남

얼굴이 주름 하나하나, 수염 한 오라기, 흉터 자국, 코가 빨간 것까지 자세하게 그려진 초상화, 홍수 위험을 막기 위해 청계천 바닥을 파낸 과정을 자세하게 기록한 <준천사실>, 임진왜란 때 치열하게 싸운 모습을 그린 <임진전란도>, 무기 정보를 담은 하나 밖에 없는 의궤 <화기도감의궤>, 조선 시대 왕실의 결혼을 가장 꼼꼼하ㅔ 기록한 영조와 정순 왕후의 결혼식 장면을 생생하게 기록한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조선 시대 의궤 가운데서도 으뜸으로 손꼽히는 것으로 정조가 아버지 사도 세자 무덤이 있는 화성에 다녀온 기록이 담긴 <원행을묘정리의궤> 등은 조선 시대 왕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람 하나하나 소홀함이 없이 그려진 의궤는 우리가 역사를 알아가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잇었습니다.
허나, 1866년 프랑스 군대가 강화도에 쳐들어와 가져간 의궤들 중 297권이 파리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고 하네요.
돌려 달라는 여러 번의 요청에도 아직 대답을 피하며 시간을 끌고 있다는 프랑스 정부가 야속해집니다.





1402년에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600여 년 전에 그려졌으며 세계에서는 이 지도를 옛 지도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으로 손꼽는다고 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세계지도와 비슷하게 그려진 <천하도지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국경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 놓은 요새를 중심으로 그린 군사 지도 <요계관방지도> 등으로 그 시대의 역사와 지리를 알아갈 수 있습니다. 지금의 지도 못지 않은 세심한 그림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그 뿐 아니라, ’미스터 중국인’이라는 뜻을 가진 중국말을 배울 수 있는 회화 책 <노걸대>, 일본 말을 배울 수 있는 <첩해신어>, 조선에서 가장 처음으로 지구를 한 바퀴 돈 민영환의 <부아기정> 등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알기 위해 세계로 눈을 돌렸던 조선의 모습을 엿 볼 수 있었습니다. 
옛 조상들이 지나간 시간을 기록해 두지 않았다면 우리는 조선을 제대로 알 수 없었을 것입니다. 조상들의 자세한 기록이 있기에 그들의 모습을 알게 되고, 배우고 깨우칠 수 있었던 것이죠.
이 기록들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기에 일본은 이 기록을 담고 있던 규장각을 없애 버렸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규장각은 2006년에 우리나라의 역사, 정치, 문화같은 여러 가지 학문을 연구하는 기능이 보태져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다시 태어났다고 합니다. 

책을 통해서 둘러볼 수 있었던 규장각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나라의 옛 모습과 문화를 알아갈수록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어요. 어린이들 역시 이 책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역사에 대한 뿌듯함을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역사가 남겨놓은 기록들을 통해서 배우는 역사의 이야기는 한층 재미있었고,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게 해주는 듯 합니다.
정조의 혜안이 없었다면, 우리는 조상들의 지혜와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보고 배우지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더불어 우리 어린이들이 역사에 대한 관심이 없다면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빛을 발하지 못할 거예요.
<<왕실 도서관 규장각에서 조선의 보물찾기>>는 그 어느 역사책보다 우리 옛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어 역사에 대한 흥미를 느끼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도록 도와주고 있답니다.

(사진출처: ’왕실 도서관 규장각에서 조선의 보물찾기’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