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증 연대기 - 은유, 역사, 미스터리, 치유 그리고 과학
멜러니 선스트럼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빌 헤이즈의 책들이 피를 흘리고, 잠을 못이루는 일들에 대한 개인사와 과학적인 사실들을 연관시켜서 쓰고 있다면,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이 겪고 있는 아픔, 구체적인 통증,과 통증을 관리해온 의학의 역사를 연관시키면서 써내려 간다. 알고보면, 굳이 푸코가 <임상의학의 탄생>에서 언급한 '어디가 아프세요?'라는 질문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의학은 아픈 부위를 안 아프게 해주는 학문이고, 이것은 육체와 정신(정신과는 정신의 고통을 해결하니까), 그리고 은유(간이 아프다는 표현은 간염에 대한 은유다)와 비은유(두통은 머리가 아프다에 대한 은유가 아니다, 그러니까 비은유?)에 대한 모든 것을 포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의학이 통증을 다루는 곳이고, 의사의 일이 안프게 해야 하는 일 임에도 불구하고 의사들은 여전히 통증을 다루는데 서투르다. 사실 잘 모르는 동시에, 두려워하기도 한다. 통증의 원인이 뭐냐는 질문에는 흥미가 있지만 통증 자체가 원인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지는 못한다는 얘기다.
작가가 본문 곳곳에 쓴 자신의 경험처럼, 원인없는 통증을 앓는 환자는 의학의 대상인 동시에 의심의 대상이기도 한 것이다. 혹시 마약 때문에?
내 꿈은 언젠가 책을 쓰는 것이다. 그러니까 작가가 되는 것이다. 작가가 된다? 작가가 되면 어떤 글을 쓰는 작가가 되야 할까? <글쓰기 생각쓰기>의 저자 윌리엄진서는 작가를 꿈꾸는 많은 이들이 픽션, 그러니까 소설이나 시, 에만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서점을 가보면, 또는 인터넷 서점을 한번만 둘러보면 알 수 있듯이 세상의 책들의 팔할은 논픽션이다. 그러니 작가를 꿈꾸는 이들의 팔할은, 만약 작가가 된다면, 논픽션 작가가 될 것이다. 비약인가?
이 책의 스타일은 이전에 읽었던 빌 헤이즈의 것과 비슷하다. 과학, 특히 의학,과 개인사를 엮어서 서술하는 방식은 언젠가 내가 써보고 싶은 책의 스타일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이런 책을 자주 읽게 되는 것 같다. 그런데 순전히 우연인 것 같긴 하지만 왜 이런 '개인사'들은 하필 매번 물리학이나 화학 보다는 의학과 연관되어 있는 것일까?
아마도 그건, 물리학이나 화학 보다는 의학이 개인사로 부터 출발하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물리학이나 화학이 설명하는 세계보다는 의학이 설명하는 세계 속에서 '개인'이 좀 더 자주, 그리고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아주 쉬운 예로 질량 보존의 법칙에 문제가 있어서 혹은 빅뱅의 법칙이나 불확정성의 원리가 우리 삶에 영향을 줄 가능성 보다는 배가 아프거나 머리가 아픈 일들이 생길 가능성이 훨씬 많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