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목표는 호러소설들을 읽는 것이었다. 스티븐 킹의 <스탠드>에서 시작해서, <죽음의 무도>를 읽었고, <죽음의 무도>에서 극찬했던 피터 스트라우브의 <고스트 스토리>를 읽었다. 만약 이 책을 올해 후반에 읽었다면 아마도 이 책이 올해의 책이 되었을 것같다. 비단 공포 소설로 국한시키지 않더라도 이 책의 완성도와 긴장감은 최고 수준이다. 오늘하루가 어제와 같고, 그래서 지겹고, 뻔한 내일이 올 것이라고 믿는 (아마도 방학 중인 학생들이 그 대상일 듯 싶다) 사람이라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고 한 동안 지방 파견을 나가게 되었고, KTX를 자주 타게 되면서 고전 소설들, 예를들면 톨스토이의 <안나카레니나>안톤체홉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을 읽으려 시도하였으나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다. 고전을 읽는 것은 항상 힘든 일이다. 왜 그럴까? 지방 파견동안에는 몇번의 특강과 가을에 진행된 14시간짜리 강의 준비를 위한 책들을 읽었던 것 같다. 

 

사랑이 문학의, 아니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인 삶의 한가운데로 온 것은 언제 부터일까? 그리고 사랑이 차지하고 있는 이 위치는 영원한 것일까? 집과 떨어져 있는 시간이 많았던 2011년 여름 동안에 내가 가장 그리워 했던 것은 '집'이 었던 것 같다. 집과 아내와 아이들과 등등등. 아마도 그래서 이 책이 더 감동적이지 않았나 싶다. 2011년 올해의 책은 앙드레 고르의 <D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 책 속에서는 삶과 사랑과 글과 글쟁이에 대한 명문들로 가득하다. 언젠가 '집'과 포근한 '삶'이 그리울 때 다시 한 번 읽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