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기 전 15분,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 - 아이의 정서가 몰라보게 안정되는 즐거운 교감 육아
이영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스마트폰? 맛있는 것? 놀기? 반려동물? 친구? 이 모든 것들은 결국 자신의 ‘안전감‘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이 안전감은 바로 양육자와의 ‘좋은 관계‘에 의해서만 충족되는데요. 좋은 관계란 자신이 양육자의 관심을 받고 있고 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요지는 양육자는 자신의 사랑과 관심을 아이에게 적확하게 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말 안해도 알겠지?에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말하지 않으면 모릅니다.

19년도 기준으로 한국의 46%가 맞벌이가정인데요. 그래서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늘 부족합니다. 힘든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이제부터는 자녀를 돌봐야 하는데요. 후... 생각만으로도 아찔해지는군요. 글자그대로 전쟁같은 육아아닙니까?

저자는 잠들기 전의 시간을 적극 활용하라고 합니다. 잠자리 육아라고 할까요. 양이 아닌 질로서 승부를 거는겁니다. 하루 동안 느꼈던 감정과 일어난 일들을 서로 이야기하면 아이의 정서가 몰라보게 안정이 되는 걸 느낄 수 있는데요. 양육자와 관계도 함께 좋아집니다. 밥상머리 교육보다 훨씬 중요한 것 같아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년도 년말 독서결산 - 총 299권

˝양이냐? 질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항상 양이냐 질이냐의 기로에서 고민인데요. 연말 결산을 할때면 더더욱 고민합니다. 매번 장고 끝에는 ˝양적 축적이 담보되어야 질적 성장을 가져온다˝는 결론인데요. 얼마나 더 읽어야 될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책 읽는 삶을 택한 지난 4년 동안 읽은 책의 양은 1,118권인데요. 1만권까지 읽으려면 얼마나 걸릴런지... 헤헤헤헤. 아무튼 2019년에도 많은 책들과 함께 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특히나 큰 울림과 감동을 받았던 33권을 선정해보았습니다.

<내맘대로 정한 올해의 책 33권>
1.회복탄력성 (자기계발) - 김주환 / 시련을 딛고 일어서는 힘, 회복탄력성의 모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9년 내가 정한 올해 최고의 책!

2.관계를 읽는 시간 (심리) - 문요한 / 인간관계에 누구나 일정한 패턴이 있음을 알게 했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개선시켜야 하는지 알게 해줍니다.

3.가족의 두 얼굴 (심리) - 최광현 / 결국 지금의 ‘나‘라는 사람은 가족과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졌던 것입니다. 가족상담학을 깊이있게 공부하고 싶군요.

4.가족의 발견 (심리) - 최광현 / 가정환경의 막중함을 새삼 느끼게 해줍니다.

5.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심리) - 헨리 뢰디거 외 / 공부하는 법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바로잡고 올바르게 공부하는 법을 인지과학에 비춰 설명합니다.

6.지혜의 심리학 (심리) - 김경일 / 인지심리학자가 말하는 생각을 하는 원리, 이를 통해 지혜를 체득하게 합니다.

7.고민이 고민입니다 (심리) - 하지현 / 고민의 정체를 파악하면 고민에 스트레스받지 않고 결정을 더 잘 할 수 있음을 일깨웁니다.

8..굿바이 공황장애 (심리) - 최주연 / 공황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책입니다.

9..정서적 금수저 , 흙수저 (심리) - 최성애, 조벽 / 양육자와 맺은 ‘애착관계‘는 한 아이의 인생, 아니 그 아이와 함께 살아갈 사람들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줍니다.

10.관계의 재구성 (심리) - 하지현 / 헝클어지고 꼬인 부부, 부모자식, 친구 등의 인간관계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1.21세기 패권과 지정학 (사회) - 피터 자이한 / 미국이 패권국이 될 수 밖에 없었고 그 지위가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이유를 지정학의 관점에서 설명한 책

12.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 (사회) - 장 지글러 / 세상의 불평등의 원인을 자본주의라는 이데올로기로 규정하고 수정된 자본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는 저자의 외로운 주장에 힘이 되고 싶네요.

13.저는 남자고, 페미니스트입니다. (사회 ) - 최승범 / 페미니스트의 입문서, 페미니즘은 단순히 여성의 권익을 세우는 게 아니라 평등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14.한국전쟁 (역사) - 박태균 /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 과정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보여줍니다. 두번 다시 우리에게 일어나면 안되는 비극의 역사를 파헤쳐 봅니다.

15.어떻게 세계는 서양이 주도하게 되었는가? (역사) - 로버트 B 마르크스 / 우연의 일치로 세계를 주도하게 된 서양의 행운과 그 변천사를 알게 됩니다.

16.우린 너무 몰랐다 (역사) - 김용옥 / 제주 4.3사건, 여순 사건에 대한 도올 선생의 생각을 보고 있으면 속이 후련합니다.

17.알렉산드로스. 제국의 눈물 (역사) - 제임스 롬 /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제국이 분열되는 과정을 통해 인물간의 대립을 통해 흥미롭게 서사해갑니다.

18.인간 본성의 법칙 (인문) - 로버트 그린 / 이 책은 다른이들에게 소개도 하지 말고 혼자만 읽고 싶은 책.

19.마흔의 단어들 (인문) - 심의용 / 마흔 즈음에 돌아봐야 할 내면의 감정들을 톺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20.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 (인문) - 게이버 메이트 / ‘아니요‘라고 말하지 못하는 태도나 감정억압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공격하게 됩니다.

21.철학의힘 (인문) - 김형철 / 언제나 곁에 두고 읽는 철학책이랄까요. 철학은 우리가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학문입니다.

22.대변동 (인문) - 제레드 다이아몬드 / 세계적인 석학 제레드 교수의 신간, 사례로 든 6개 국가의 역사, 그들이 극복한 방법은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켜줍니다.

23.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인문) - 매슈 워커 / 올빼미족이여! 이제는 당당해져도 좋다. 다만 충분한 잠은 자도록 하자.

24.우울할 땐 뇌과학 (인문) - 엘릭스 코브 / 우울증의 원인과 개선을 뇌과학에 기초해서 설명해주는데요. 역시 알아야 두려워 하지 않게 됩니다.

25.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인문) - 스콧 스토셀 / 30여년동안 저자 자신을 따라다닌 불안에 대한 역사를 다루는데요. 큰 위안와 웃음을 선사합니다. 이 사람처럼 글쓰고 싶군요.

26.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인문) - 김영민 / 논어의 묵직하고 선명한 언명과 저자의 위트와 날카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습니다.

27.친구의 친구 (경제경영) - 데이비드 버스커 / 약하고 느슨한 인간관계의 힘을 목도합니다.

28.제로투원 (경제경영) - 피터 틸 / 경쟁하지 말고 독점하라. 폐업이 평균인 스타트업이 명심해야 할 가이드라인이자 필독서죠

29.가재가 노래하는 곳 (소설) - 델리아 오언스 / 책의 유익함, 어린 시절의 가정환경의 중요성을 유감없이 보여주는군요. 내 딸에게는 항상 조건없는 사랑을 주려고 애써야겠습니다.

30.더 로드 (소설) - 코맥 매카시 / 대재앙 이후의 세계를 견뎌가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 나는 이 사람처럼 아들을 챙길 수 있을까? 성찰에 성찰을 거듭하게 합니다.

31.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소설) - 고레에다 히로카즈 / 한 아이의 아빠가 성장하는 모습을 통해 저 또한 성장함을 느낍니다.

32.일의 기쁨과 슬픔 (소설) - 장류진 / 재미있는 단편 소설들의 모음인데요. 이같은 회사 소설을 더 읽어보고 싶습니다. 회사 소설이라는 장르가 있을까요?

33.독이 되는 부모가 되지 마라 (육아) - 수잔 포워드 / 대물림을 인식함으로서 자녀에게 독이 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겠습니다.

[2019 독서 리스트]

1월 - 13권
1.처음부터 잘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글쓰기) - 이다혜
2.한국사를 지켜라 1 (역사) - 김형민
3.다시 쓰는 한국 현대사 (역사) - 박세길
4.태도에 관하여 (에세이) - 임경선
5.한강 7 (소설) - 조정래
6.뼈있는아무말 대잔치 (자기계발)
7.이끼 2 ~ 5권 (만화) - 윤태호
8.히스토리에 8~10 권 (역사) - 이와아키 히토시
9.수호지 6 (소설) - 시내암
10.초전설득 (인문) - 로버트 치알디니
11.모던 하트 (소설) - 정아은
12,지식의 단련법 (인문) - 다치바나 다카시
13.파인 1 (만화) - 윤태호

2월 - 15권
14.당신의 지적초조함을 이해합니다. (인문) - 뤄전위
15.초등 자존감의 힘 (육아) - 김선호,박우란
16.알렉산드로스. 제국의 눈물 (역사) - 제임스 롬
17.조선왕조실록 4 (역사) - 박시백
18.출생의 심리학 (인문) - 클리프 아이잭슨, 크리스 래디쉬
19.근데. 영화 한편 씹어 먹어봤니? (자기계발) - 신왕국
20.예의없는 새끼들 때문에 열받아서 쓴 생활 예절 (자기계발) - 김불꽃
21.괴짜경제학 (경제/경영) - 스티븐 레빗, 스티븐 더브너
22.심플하게 산다 (인문) - 도미니크 로로
23.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 (사회) - 장 지글러
24.다이어터 1 (건강) - 네온비 ,캐러멜
25.Lucky the Lion Cubs Quest (children) - John Ulutunu
26.Rapunzel (Children) - Jacob Grimm
27.Magic Tree House book 1 (children) - Mary Pope Osborne
28.Nate the Great (Children) - Marjorie Weinman Sharmat

3월 - 38권
29.마틸다 (소설) - 로알드 달
30.회사인간, 회사를 떠나다. (사회) - 김종률
31.통세계사 1 (역사) - 김상훈
32.이미 애쓰고 있는데 힘내라니요? (자기계발) - 이소연
33.일할 수 없는 여자들 (사회)
34.공부 기술 (자기계발) -
35.웅크린 호랑이 (사회) - 피터 나바로
36.십진분류 독서법 (책읽기) - 장대은, 임재성
37.명견만리 #4, 공존의 시대 (사회) - KBS 제작팀
38.이반 일리치의 죽음 (소설) - 레프 똘스또이
39.내 어머니 이야기 #1 (만화) - 김은성
40.태도의 말들 (에세이) - 엄지혜
41.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소설) - 루이스 캐롤
42.밀레니얼들과 일하는 법 (사회) - 김은형
43.나는 왜 일하는가? (자기계발) - 사이먼 사이넥
44.다이어터 2 (만화) - 네온비 ,캐러멜
45.슬기로운 팀장생활의 기술 (자기계발) - 함규정
46.한강 8 (소설) - 조정래
47.조선왕조실록 5 ( 역사) - 박시백
48.The Miraculous Journey of Edward Tulane (Novel) - Kate Dicamillo
49.Dear Mr. Henshaw (Novel) - Beverly Cleary
50.Sarah, Plain and Tall
51.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Novel) - Roald Dal
52.The Magic Finger (Novel) - Roald Dal
53.Charlotte‘s Web (Novel) - E.B White
54.Freckle Juice (novel) - Judy Blume
55.Magic Tree House #2) The Knight At Dawn
56.Magic Tree House #3) Mummies In The Morning
57.Magic Tree House #4) Pirates Past Noon
58.Magic Tree House #5) Night of the Ninjas
59.Magic Tree House #6) Afternoon on the Amazon
60.Magic Tree House #7) Sunset of the Sabertooth
61.Magic Tree House #8) Midnight on the Moon
62.Nate the Great Goes Undercover
63.Nate the Great and the Monster Mess
64.Nate the Great and the Halloween Hunt
65.Nate the Great and the Crunchy Christmas
66.Nate the Great and the Missing Key

4월 - 30권
67.서민독서 (책읽기) - 서민
68.습지생태보고서 (만화) - 최규석
69.공룡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만화) - 최규석
70.팩트풀니스 (인문) - 한스 롤링 외
71.몬스터 5 (만화) - 우라사와 나오키
72.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 (에세이) - 파커 J 파머
73.마흔의 단어들 (인문) - 심의용
74.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에세이) - 다치바나 다카시
75.고민이 고민입니다 (심리) - 하지현
76.20세기 소년 #2,#3 (만화) - 우라사와 나오키
77.길위의 철학자 (에세이) - 에릭 호퍼
78.친구의 친구 (자기계발) - 데이비드 버스커
79.한강 9 (소설) - 조정래
80.유머니즘 (사회) - 김찬호
81.한국의 논점 2019 (사회) - 김경집 외 41명
82.일잘 팀장은 경영부터 배운다 (경제경영) - 여현준
83.데스바이아마존 (경제경영) -
84.죽은시인의사회 (소설) - N.H. 클라인바움
85.사소하지만쓸모있는건강법 (자기계발) - 미쉘 시메스
86.정해진 미래 (사회) - 조영태
87.나는말랄라 (자서전) - 말랄라 유사프사이
88.왜책을읽는가 (에세이) - 샤를 단치
89.단단한공부 (자기계발) -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법
90.파인 2 (만화) - 윤태호
91.오늘 아내에게 우울증이라고 말했다. (에세이) - 김정원
92.Skylark (Novel) - Patricia MacLachlan
93.Caleb‘s Story (Novel) - Patricia MacLachlan
94.Magic Tree House #9 (Novel) - Mary Pope Osborne
95.Nate the Great and the Snowy Trail (Novel) - Mary Pope Osborne
96.Nate the Great and the Phony Clue (Novel) - Mary Pope Osborne

5월 - 25권
97.21세기 패권과 지정학 (정치) - 피터 자이한
98.회복탄력성 (심리) - 다이앤 L. 쿠투 외
99.단단한 영어공부 (공부) - 김성우
100.입시의 정도 (육아) - 강현주
101.최고의 인재는 무엇이 다른가 (경제경영) - 박봉수
102.더 로드 (소설) - 코맥 매카시
103.인천상륙작전 1, 2권 (역사) - 윤태호
104.본격 한중일 세계사 1 (역사) - 굽니시스트
105.나는 당신이 오래오래 걸었으면 좋겠습니다. (건강) - 다나카 나오키
106.다이어터 3 (자기계발) -
107.독이 되는 부모가 되지 마라 (육아) - 수잔 포워드
108.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소설) - 고레에다 히로카즈
109.20세기 소년 4, 5, 6권 (만화) - 우라사와 나오키
110.조선왕조실록 6 (역사) - 박시백
111.한강 10 (소설) - 조정래
112.에디톨로지 (인문) - 김정운
113.한 권으로 읽는 자치통감 (역사) - 사마광
114.최고의 설득 (자기계발) - 카민 갤로
115.요즘 것들 (사회) - 허두영
116.몬스터 6 (만화) - 우라사와 나오키
117.널 보러왔어 (에세이) - 알베르토 몬디
118.회복탄력성 (심리) - 김주환
119.내가 확실히 아는 것들 (에세이) - 오프라 윈프리
120.Magic Tree House 9, 10, 11, 12 (Novel)
121.Dead Poet of Society (Novel)

6월 - 27권
122.소설가의 공부 (에세이) - 루이스 라무르
123.한자와 나오키 #1(소설) -
124.생산적 책읽기 2 (독서) - 안상헌
125.제로투원 (경제/경영) - 피터 틸
126.35년 3 (역사) - 박시백
127.아리랑 1 (소설) - 조정래
128.인생공부 (인문) - 이철
129.총몽 1 (만화) - 기시로 유키토
130.리더십 롤러코스터 (경제경영) - 멘프레드
131.지성만이 무기다 (자기계발) - 시라토리 하루히코
132.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만화) - 유희, 이창현
133.인천상륙작전 #3, #4 (역사) - 윤태호
134.눈보라 체이스 (소설) - 히가시노 게이고
135.전사들 (역사) - 프랭크맥린
136.진이, 지니 (소설) - 정유정
137.달이 부서진 밤 (소설) - 정명섭
138.어른이 되면 괜찮을줄 알았다 (심리) - 김혜남, 박종석
139.상식밖의 경제학 (경제경영) - 댄 에리얼리
140.삼국지강의 (인문) - 이중톈
141.고장난 저울 (사회) - 김경집
142.그런데,나는 누구인가 (에세이) -
143.조선왕조실록 #7 (역사) - 박시백
144.뉴턴 하이라이트 - 심리학
145.천년의 질문 #1(소설) - 조정래
146.한국전쟁 (역사) - 박태균
147.Magic Tree House #13, 14, 15 (Chapter Book) - Mary Pope Osborne
148.Frozen (Novel) - Disney

7월 - 27권
149.아몬드 (소설) - 손원평
150.열 일곱살의 철학 (철학) - 안광복
151.아리랑 2 (소설) - 조정래
152.철학의힘 (철학) - 김형철
153.서툰 감정 (심리) - 일자 샌드
154.리뷰 쓰는 법 (글쓰기) - 가와사키 쇼헤이
155.대변동 (인문) - 제레드 다이아몬드
156.당신은 이미 충분합니다 (심리) - 안젤름 그륀
157.퍼포먼스 마케팅 (경제경영) - 김원태, 주경민
158.산 자들 (소설) - 장강명
159.조선왕조실록 #8 (역사) - 박시백
160.26년 #1 (만화) - 강풀
161.인천상륙작전 #5,#6 (역사) - 윤태호
162.본성이 답이다 (과학) - 전중환
163.아들러의 인간이해 (심리) - 아들러
164.회복탄력성 (심리) - 김주환
165.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과학) - 매슈 워커
166.오리진, 화폐 (만화) - 윤태호
167.20세기소년 #7,8 (만화) - 우리사와 나오키
168.카피책 (자기계발) - 정철
169.Matilda (Novel) - Roald Dahl
170.Magic Tree House #16 (Chapter Book) - Mary Pope Osborne
171.Because of Winn-Dixie (Novel) - Kate Dicamilo
172.Ralph and Motocycle (Novel) - Beverly Cleary
173.Wonder (Novel) - RJ Palacio
174.Stone Fox (Novel) - John Reynolds Gardiner
175.Merlin Mission #3 (Novel)

8월 - 21권
176.어떻게 세계는 서양이 주도하게 되었는가? (역사) - 로버트 B 마르크스
177.요즘애들, 요즘어른들 (사회) - 김용섭
178.조선왕조실록 #9 (역사) - 박시백
179.28 #2 (만화) - 강풀
180.다시 태어나도 엄마 딸 (소설) - 스즈키 루리카
181.지적생활의 설계(자기계발) - 호리 마사타케
182.싸가지가 있어야 성공한다 (자기계발) - 정학범, 김수희
183.브랜드 X팩터 (경제경영) - 박찬정
184.우린 너무 몰랐다 (역사) - 김용옥
185.조선왕조실록 #10 (역사) - 박시백
186.몸짓 읽어주는 여자 (자기계발) - 이상은
187.소오강호 #3(소설) - 김용
188.기생수 #1 (만화) - 히토시 이와아키
189.괜찮아, 공황장애 (심리) - 주성완, 강수진
190.오늘부터 나는 최고의컨디션 (심리) - 스즈키 유
191.Our Strange New Land (Novel) - Patricia Hermes
192.Tresure Island (Novel) -
193.Abraham Lincoln (Biography) -
194.Chrismas in Camelot (Novel) - Mary pope Osborne
195.Skyjack (Novel) -Tim Vicary
196.Secret Agent Jack Stalwart #3 (novel) - Elizabeth Singer Hunt

9월 - 24권
197.굿바이 공황장애 (심리) - 최주연
198.어느날 갑자기 공황이 찾아왔다. (심리) - 클라우스 베른하르트
199.우울할 땐 뇌과학 (과학) - 엘릭스 코브
200.삼체 #1 (소설) - 류츠신
201.전두환 #1 (역사) - 백무현
202.기생수 #2,#3 (만화) - 이와아키 히토시
203.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역사) - 이덕일, 김병기
204.가족의 두 얼굴 (심리) - 최광현
205.역경에 강한 사람, 역경에 약한 사람 (심리) - 가토 다이조
206.아리랑 #3 (소설) - 조정래
207.천년의 질문 #2 (소설) - 조정래
208.만화 로마사 #1 (역사) - 이익선
209.조선왕조실록 #11 - 광해군일기 (역사) - 박시백
210.소오강호 #4 (소설) - 김용
211.쓰기의 말들 (에세이) - 은유
212.가재가 노래하는 곳 (소설) - 델리아 오언스
213.28년 #3 (만화) - 강풀
214.직장살이의 기술 ( 자기계발) - 로스 맥커먼
215.WindKeeper (Novel)
216.Battle begins (Novel)
217.Uncle Tom‘s Cabbin_ver child(Novel)
218.Haunted Castle on Holloweens Eve(Novel)
219.S.O.R. losers (Novel)
220.The Card (Novel)

10월 - 30권
221.인간 본성의 법칙 (인문) - 로버트 그린
222.가족의 발견 (인문) - 최광현
223.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인문) - 헨리 뢰디거 외
224.죽음의 에티켓. (인문) - 롤란트 슐츠
225.세상에 읽지 못할 책은 없다. (책읽기) - 사이토 다카시
226.오은영의 화해 (육아) - 오은영
227.삼국지 조조전 #3 (소설) - 왕샤오레이
228.만화 전두환 #2 (만화) - 백무현
229.기생수 #4 (만화) - 우라사와 나오키
230.카리모라 (소설) - 토머스 해리스
231.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모르는 (소설) - 김영하
232.독서모임 만드는 법 (책읽기) - 원하나
233.삼파장 형광등 아래서 (에세이) - 노정석
234.뮤지컬 사회학 ( 사회) - 최민우
235.하드웨이 (소설) - 리 차일드
236.지혜의 심리학 (인문) - 김경일
237.권력과 검찰 (사회) - 최강욱
238.밤이 선생이다 (에세이) - 황현산
239.천년의 질문 #3 (소설) - 조정래
240.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미국사 (역사)
241.베트남 문화의 길을 걷다 (역사) - 박낙종
242.조선왕조실록 #12 (역사) - 박시백
243.데스노트 #1,#2,#3 (만화) - 오바 츠구미
244.책으로 다시 살다. (에세이) - 숭례문학당
245.Slam Dunk (소설) - Matt Christoper
246.Henry Huggins (소설) - Beverly Cleary
247.Upstairs Room (소설) - Johanna Reiss
248.The tremor (의학) - John Grisham
249.Spike The Dinosaur (소설) - Uncle Amon
250.The Earth (Novel) - Ryan Wiely

11월 - 26권
251.생각의 시대 (인문) - 김용규
252.나는 상처를 안고 어른이 되었다. (심리) - 오카다 다카시
253.정서적 금수저 , 흙수저 (심리) - 최성애, 조벽
254.경계인의 시선 (사회) - 김민섭
255.파인 #3, #4 (만화) - 윤태호
256.아리랑 #4 (소설) - 조정래
257.가짜감정 (심리) - 김용태
258.나는 왜 눈치를 보는가? (심리) - 가토 사이조
259.검찰공화국, 대한민국 (사회) - 김희수 외
260.할배의 탄생 (사회) - 최현숙
261.수호지 #7 (소설) - 시내암
262.데스노트 #4,#5 (만화) - 오바 츠구미
263.관계의 재구성 (심리) - 하지현
264.나는 왜 상처받는 관계만 되풀이하는가? (심리) - 카르멘 R 베리 & 마크 W 베이커
265.남자의 후반전 (심리) - 김용태
266.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소설) - 밀란 쿤데라
267.강상무진 (소설) - 김훈
268.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인문) - 스콧 스토셀
269.인더백 (소설) - 차무진
270.조선왕조실록 #13 (역사) - 박시백
271.나는 과학책으로 세상을 다시 배웠다. (과학) - 최준석
272.2020트렌드코리아 (경제경영) - 김난도 외
273.연필로 쓰기 (에세이) - 김훈
274.Kennedy Biography (전기)
275.Merlion‘s Mission #6 (소설) - 메리 폽 오스본
276.Henry Huggins (소설) - 비버리

12월 - 23권
277.관계를 가지는 시간 (심리) - 문요한
278.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 (심리) - 게이버 메이트
279.팩트의 감각 (인문) - 바비 더피
280.소오강호 #5 (소설) - 김용
281.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인문) - 김태형
282.리얼 #1,2 (만화) - 이노우에 다케히코
283.일본인 이야기 #1 (역사) - 김시덕
284.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인문) - 김영민
285.일의 기쁨과 슬픔 (소설) - 장류진
286.목호의 난 (역사) - 정용연
287.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사회) - 이민경
288.만화로 읽는 성차별의 역사 (역사) - 도르테 베르네르
289.저는 남자고, 페미니스트입니다. (사회 ) - 최승범
290.90년생과 일하는 법 (사회) - 윤영철
291.나는 이렇게 불리는 것이 불편합니다. (사회) - 이건범 외
292.고구려사 이야기 1 (역사) - 박영규
293.아리랑 #5 (소설) - 조정래
294.라이프트렌드 2020 (경제경영) - 김용섭
295.수호지 #8 (소설) - 시내암
296.요시다 쇼인 (역사) - 이희복
297.결혼한다는 것 (심리) - 박미령
298.조선왕조실록 #14 (역사) - 박시백
299.Merlin‘s Mission #7 (소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20-01-01 10: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자강 님 지난해 열심히 독서하셨네요.
코맥 맥카시의 더 로드가 눈에 들어옵니다.
오래전 영화를 먼저 보고 읽었더랬어요
새해에도 줄거운 독서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자강 2020-01-01 10:13   좋아요 1 | URL
더 로드를 감명깊게 보셨군요. 동지를 만난 기분입니다. 큰 울림을 받은 책이에요.
프레이야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즐거운 독서 되세요~

고양이라디오 2020-01-01 11: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 진짜 많이 읽으셨네요. 부럽습니다ㅎㅎ

대변동 인간본성의 법칙 기억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올 해도 즐독하시고 건강하고 행복한 한 해 되세요^^

자강 2020-01-01 13:57   좋아요 1 | URL
고맙습니다. 찜 하신 책 모두 강추합니다. 올해도 즐거운 독서 되세요.

transient-guest 2020-02-11 04: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양과 질 두 가지를 다 잡는 것이 일단은 목표가 됩니다.ㅎ 저도 자극 받아서 더욱 열심히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강 2020-02-18 10:43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올해에도 호ㅏ이팅이에요
 

2019년 12월 독서정산 - 23권

12월도 역시 좋은 책들과 함께 성찰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더불어 제 시간소비의 우선순위를 딸과 함께 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더니 부쩍 딸과 친해졌는데요. 책을 읽는 이유 중의 하나인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함을 망각할 뻔 했습니다. 세상에 나쁜 아이는 없습니다. 나쁜 양육만 있을뿐이죠.

아래는 12월에 읽은 책과 짧은 소감입니다.

1.관계를 가지는 시간 (심리) - 문요한 / 인간관계에 누구나 일정한 패턴이 있음을 알게 했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개선시켜야 하는지 알게 해줍니다.

2.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 (심리) - 게이버 메이트 / ‘아니요‘라고 말하지 못하는 태도나 감정억압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공격하게 됩니다.

3.팩트의 감각 (인문) - 바비 더피 / 우리가 세상을 오해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팩트감각 기르기로 세상을 제대로 보려고 노력해야겠군요.

4.소오강호 #5 (소설) - 김용 / 마교 교주 임아행의 영입제안을 거절하고 강호를 떠도는 영호충, 오악검파를 지배하려는 숭산파의 음모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5.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인문) - 김태형 / 진짜 자존감과 가짜 자존감을 구별해야 자신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6.리얼 #1,2 (만화) - 이노우에 다케히코 / 역시 이노우에... 1,2편에서 나는 강백호, 서태웅, 정대만을 보고 맙니다. 다시는 그들을 볼 수 없을 줄 알았는데...ㅜㅜ

7.일본인 이야기 #1 (역사) - 김시덕 / 일본은 어떻게 근대화에 성공했을까? 김시덕 교수는 이 책에서 그 시원을 신무기(조총)과 종교(카톨릭)에서 찾는데요.

8.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인문) - 김영민 / 논어의 묵직하고 선명한 언명과 저자의 위트와 날카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습니다.

9.일의 기쁨과 슬픔 (소설) - 장류진 / 재미있는 단편 소설들의 모음. 이같은 회사 소설을 더 읽어보고 싶다. 회사 소설이라는 장르가 있을까?

10.목호의 난 (역사) - 정용연 / 고려말, 명나라 건국 시절의 제주도는 원의 후손들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최영 장군의 진압군에게 제주의 인구 절반이 죽습니다.

11.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사회) - 이민경 / 성차별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랄까? 성차별을 피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더 노력해야 하는 모순적인 현실입니다.

12.만화로 읽는 성차별의 역사 (역사) - 도르테 베르네르 /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일어나고 있는 성차별의 역사를 굵직한 사건을 위주로 간략하게 설명해줍니다.

13.저는 남자고, 페미니스트입니다. (사회 ) - 최승범 / 페미니스트의 입문서, 페미니즘은 단순히 여성의 권익을 세우는 게 아니라 평등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14.90년생과 일하는 법 (사회) - 윤영철 / 밀레니얼 세대를 이해하는 특성과 소통기술에 대한 이야기.

15.나는 이렇게 불리는 것이 불편합니다. (사회) - 이건범 외 / 호칭에 깃든 성별성과 성차별성이 인상적입니다.

16.고구려사 이야기 1 (역사) - 박영규 / 700년간 존속했던 고구려사에 너무 무지했습니다. 흥미진진한데요. 다만 사료부족이 너무 아쉽네요.

17.아리랑 #5 (소설) - 조정래 / 조선총독부에 의해 농민들은 농지를 빼앗기고 소작농으로 전락하거나 만주로 떠나야 하는 와중에 지주들은 여전히 권세를 기득권을 유지하는군요.

18.라이프트렌드 2020 (경제경영) - 김용섭 / 트렌드 책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듭니다. 2020년에 활약할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나오네요.

19.수호지 #8 (소설) - 시내암 / 조정에 귀순한 108명의 양산박 두령들은 조정을 대신해서 나라의 근심을 해결해주는데요.

20.요시다 쇼인 (역사) - 이희복 / 일본 민족주의 정신의 대부 요시다 쇼인의 삶과 정신을 이야기합니다.

21.결혼한다는 것 (심리) - 행복한 결혼을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노력하지 않고서는 불행의 되물림만 계속될 뿐이죠.

22.조선왕조실록 #14 (역사) - 박시백 / 숙종 재위 시절의 조선이야기. 저 유명한 인현왕후와 장희빈이 등장합니다. 그 송시열을 사사시키지요. 군강신약의 시기였습니다.

23.Merlin‘s Mission #7 (소설) - 파리 국제 박람회로 시간여행을 떠난 잭과 애니는 에디슨, 파스퇴르, 에펠을 만나 그들의 성공비결을 얻는 모험이야기.

#독서정산 #독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계를 읽는 시간 - 나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바운더리 심리학
문요한 지음 / 더퀘스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등은 피하는 것보다 회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인간관계에서 갈등이 없을 수 있을까요? 갈등이 없는 연인이나 부부는 과연 좋은 관계일까요? 그런 커플이 있다면 아마 어느 한 쪽의 몸 안에는 수 십개의 사리가 영글고 있을겁니다.

심리학자 아들러는 ‘인간의 모든 갈등은 인간관계에서 나온다‘고 했습니다. 그만큼 갈등은 일상적이며 해결하기가 힘든데요.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회피, 설득, 차단, 공격, 순응, 타협, 상생이 그것인데요.

이 중 오직 상생만이 갈등의 매듭을 푸는 방법이고 나머지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상생으로 갈등을 풀기 위해서는 갈등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꿔야 하는데요. 갈등이란 일방적으로 상대가 나쁜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가치관, 취향, 대화 방식의 차이때문에 생기는 쌍방과실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메~~ 겸허해지는 순간이죠. 이렇게 갈등을 바라보는 시선을 달리하면 갈등은 서로가 더 친밀한 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통과의례의 역할을 합니다.

갈등을 잘 회복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되 공통점을 찾아서 해결책을 만들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과학책으로 세상을 다시 배웠다 - 빅뱅에서 진화심리학까지 과학이 나와 세상에 대해 말해주는 것들
최준석 지음 / 바다출판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가지 않은 길‘은 없다.>

˝노란 숲속에 길이 두 갈래로 났었습니다.

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보았습니다.
.
.
˝
이 시를 아시나요? 시인 로버트 프루스트의 ‘가지 않는 길‘이라고 합니다. 제목도, 시인도 난생 처음 접하지만 읽는 순간 온 몸을 관통하는 그 무언가를 느끼는데요. 과학책들에 관한 책에서 이렇게 시를 만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누구에게나 살아오면서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과 후회를 안고 살아갈텐데요. 저 역시도 그런 길이 있습니다. 그로부터 25년이 지나는 세월동안 가슴 한쪽에 구멍이 뚫린듯 채워지지 않는 결핍이 되었는데요. 마치 로또 1등 당첨금을 기한 내에 수령하지 않은 기분입니다.

하지만 다중우주론 혹은 평행우주론을 이야기하는 물리학자들은 내가 ‘가지 않은 길‘은 없다고 합니다. 다중우주론은 무수히 많은 우주에 나의 아바타가 있고, 그 아바타는 내가 가지 않은 길도 갔다고 하는데요. 이 책에서 소개하는 ‘멀티 유니버스‘, ‘평행우주‘,‘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는 이 다중우주론에 대한 이야기라고 합니다. 꼭 읽어보고 싶네요.

다른 우주에서의 나는 지금 우주의 내가 가지 않은 길을 가보았을거라는 생각만으로도 마음이 한결 편해지는군요. 그는 (나는) 로또 당첨금을 제때에 찾았길 바랍니다.

#과학이_준_치료 #바다출판사 #최준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