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철학적 전통을 가장 확실하게 일반적으로 특징짓는다면 그것은, 그 전통이 플라톤에 대한 일련의 각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나는 학자들이 일정한 주견도 없이 플라톤의 저작에서 끄집어낸 사상의 체계적 도식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플라톤의 저작 도처에 산재해 있는 일반적인 관념들의 풍부함을 들어 말하고 있는 것이다. -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 p118


 The safest general characterization of the European philosophical tradition is that it consists of a series of footnotes to Plato. I do not mean the systematic scheme of thought which scholars have doubtfully extracted from his writings. I allude to the wealth of general ideas scattered through them. - Alfred North Whitehead, [Process and Reality],p39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 ~ 1947)의 말 중에서 가장 널리 일반에게 알려진 것은 "서양 철학은 플라톤의 각주에 불과하다"일것이다. 이는 <과정과 실재 Process and Reality>에서 나온 말로, 우리는 본문의 내용을 통해 플라톤(Platon, BC 428 ~ BC 348) 저작에 담겨있는 일반적인 관념들이 풍부함이 후대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수많은 자기계발서가 출간되고 있고, 오늘도 많은 자기계발서가 나온다. 서로 다른 시대 배경에 따라 독특한 자신만의 이론을 강조하는 이들을 보면 백가쟁명(百家爭鳴)이라는 사자성어가 떠오른다.


 평소 모든 자기계발서를 읽은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자기계발서는 읽었다고 생각하던 중 도서관 서가에 꽂힌 수많은 자기개발서를 보면서 매번 들었던 생각을 옮겨본다. 많은 이들이 자기계발서를 비판하지만, 자기계발서에도 긍정적인 부분이 분명 있다. 긍정적인 것은 자기계발서를 읽으면서 새출발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리셋(reset)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다만, 자기계발서만 많이 읽으면 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출발선에 설 수 있지만, 출발선에서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한다는 점은 부정적인 요소일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끊임없이 새출발하는 마음을 준다는 면에서는 <수학의 정석><성문 종합 영어>도 못지 않다고 생각한다. 고등학교 때 이 책들로 공부하다가 도중에 중간고사 등으로 진도가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꽤 있었는데, 그때마다 과감하게 제1장인 '집합'과 '동사의 종류'로 돌아가 초심(初心)으로 다시 시작했었는데, 자기계발서는 이런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된다.(덕분에, 수학에서 집합이 제일 자신있었다. 지금은 절대 아니지만...)


 자기계발서를 읽는 것도 좋지만, 어느 정도 읽은 후에 실천을 해야한다면 좋은 자기계발서를 선정해서 읽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스스로에게 '만약 자기계발서를 한 권만 고른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져보았다. 그리고, 그 한 권은 플라톤의 저작과 같은 정도의 풍부함을 담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자기계발서 중에서 일반관념의 풍부함을 담은 플라톤과 같은 책을 고른다면, 벤자민 플랭클린(Benjamin Franklin, 1706 ~ 1790)의 <벤자민 플랭클린의 자서전 The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과 발타자르 그라시안 (Baltasar Gracian Y Morales, 1601 ~ 1658)과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1788 ~ 1860)의 <세상을 보는 지혜>을 고르고 싶다. 전자가 개인의 내면과 자기계발을 말한다면, 후자는 다른 이들과 더불어 사는 지혜가 담긴 책이라 생각된다. 여기에 한 명의 저자를 더한다면 새무얼 스마일즈(Saumel Smiles, 1812 ~ 1904)의 <자조론 Self-Help>, <인격론 Character>, <의무론 Duty>, <검약론 Thrift>을 더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들의 철학을 구체적으로 매뉴얼화한 책으로는 토니 로빈스(Tony Robbins, 1960 ~ )의 거인 시리즈가 정도를 들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물론 자기계발서를 다 읽은 것은 아니라 이들 서적이 최고라고 할 수 없을 것이고, 내가 알지 못한 좋은 책도 분명 있을 것이지만, 내가 아는 한에서 한 권의 자기계발서를 고르라는 질문에 대해 나는 분명하게 이들 중에서 한 권을 고민할 것이다.


PS. <과정과 실재> 빼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넬로페 2020-07-17 11: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께서 추천하신 자기계발서는 꼭 읽고 싶어요~~
수학의 정석과 성문 종합 영어에서 빵 터졌습니다^^
저도 경험한 사실이거든요 **

겨울호랑이 2020-07-17 12:05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페넬로페님 즐거운 독서 되세요. 아마 공부를 정말 잘하는 소수의 학생들 빼고 다수가 갖는 아픈 기억이 아닐까 합니다. 더운 날 건강하게 보내세요!^^:)

페크pek0501 2020-07-18 12: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벤자민 플랭클린, 발타자르 그라시안과 쇼펜하우어의 책을 자기계발서라고 보기엔 좀 아까운 책이라고 생각해요.
오히려 저는 필독서처럼 느끼며 읽었답니다. 배울 게 많아서요.

겨울호랑이 2020-07-18 14:37   좋아요 1 | URL
페크님 말씀처럼 이들의 책을 일반 자기계발서와 같은 범주에 넣기에는 다소 무리해 보입니다. 마치 플라톤과 평범한 철학자들과 차이가 있는 것처럼요. 저는 플라톤의 저작들처럼 이들의 책들에서 다뤄진 주제들이 상황에 따라 변주된 것들이 오늘날의 자기계발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기계발서를 읽을 시간에 이 책들을 재독하는 것이 더 의미있다는 생각에 페이퍼를 작성해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2 00: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9-22 07: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