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작업실내가 32, 33도를 오르내린다. 그래도 그늘과 캠핑용 선풍기가 핑핑 돌아가니 할 만하다고 하자. 이것 저것 잔여물들을 챙기러 차량까지 오고가니, 바람이 제법 시원하고, 실외 온도가 30도를 넘지 않는다. 이런 기적같은 날이 있다니, 그래 조금이라도 라이딩을 하자. ( 에코자전거 앱은 8월이 접어들자 관찰모드에서 실행모드로 바뀐다.  하루 20k를 탔으면 제법이라고 여겼는데, 순위는 아래를 맴돈다 싶다.)  시장을 빠져나가 건물들 사이 그늘로 달리면 조금은 낫지. 철길숲으로 접어들면 오늘 같은 날은 다시오지 않지. 이런 땡볕과 폭열을 선사하는 여름이라니. 그렇게 이른 오후를 시작하자. 숲들 사이 그늘은 그림자길처럼 시원하다 싶다.


1. 며칠 아니 일주일만에 들른 듯하다. #달팽이책방 전시가 새롭다.  불안과 혼란을 다룰 여유가 없는 우리를 위해 그 혼란과 불안을 그려낸 솜씨가 강렬하다. 그렇게 그림 밖에서 그 여유주머니를 만들기를 소망하는 전시다. 이 달 말까지다.


2. 

 #북홈경주 에서 세우다시피 읽은 책이 읽히지 않아, 冷 얼그레이 잔을 비우고 라이딩라이트를 충전하고 딴청을 피우다가 매대에서 발견한 책이다. 이 와중에 <세계관>이라니. 무슨 철늦은 소리인가. 하고 << 피렌체 사람들 이야기>>를 집어든다. 그래 읽혀라. 난 요즘 지동설과 천동설, 그 사이에 얼마나 관여했는지, 과학사가 유명한 사람들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책들을 읽고 있다. 그러면서 아주 뜸하게 만나는 지인이지만 과학철학을 핑계로 인식론의 전환, 아니 인식론=존재론=실천론=윤리론을 강요하고 다닌다. 


그래 <세계관>을 주장하는 셈이다. 


3. 맞다. 장사 속이지. 자본주의가 세계관 장사를 한 지 오래되었다. 게임은 물론 연예계까지. 너만 모르고 있었지. 바보.  서문을 꼼꼼이 읽다보니, 우리 일상과 일상의 언어도 늘 세계관이 충돌했고, 표현도 박치기 하고 있었다.


. 박신혜 결혼에 '김탄'.'황태경'의 축하라..."세계관 충돌 현장"

. 최강창민 "사실 '광야' 세계관 몰라..쇤네로서 따라갈 뿐"

. 소비자에게 감성과 세계관을 펼쳐라, 그럼 지갑이 열릴 것이다. 11쪽


2.5 

 이 책은 비둘기 시각체계를 연구한 마뚜라나의 전기를 다룬 인터뷰집인데, 미친 소리 들을 각오를 하고 의인화의 과학연구의 함정에서 벗어나서 겨우 과학의 한걸음 진전이 있었다라는 발견을 목격할 수 있다.  세상은 다르다.  그 방점은 다르다에 있다. 우리가 보는 세계가 다가 아니다. 새들은 삼원색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원색이상으로 보는데 그 세계가 무엇일까 궁금하다. 이 책에 그 중요한 징검다리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 셈이다. 해석학이 청자만큼이나 있는 현실을 열어두는 것 이상. 존재론의 철학 근저를 뒤흔들고 있는 책이기도 하다. 줄여말하자면 실천 doing에 따라 다 다르게 산다. 다르다 생명은...다를 수밖에 없다.  인간은....인간도...


4. 그래 그 지점이 헷갈리는 것이다. 다른 세계를 살지 않으려 발버둥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달라야 한다. 만유인력처럼 고집하는 순간, 당신은 쉰내가 날 것이다. 그럴지도 모른다.


-1. 단골카페 쥔장에게 받은 커피나무가 잘 자라고 있다. 쫑긋 다음 잎은 피우면서 단물을 받아마시려 입을 살짝 벌리고 있다. 효자冷쌀국수도 먹을 만했다. 토치로 구워준 고기도 한 가득. 불 맛이 소스에 버무려진 국수와 잘 어울리게 큰 수저에 한 입.


https://www.instagram.com/p/CsdYeDqJ8O2/?igshid=MTc4MmM1YmI2Ng==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3-08-07 15: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커피나무를.실제.키우시나봐요? 화초를 좋아하다보니 귀가 커집니다

여울 2023-08-07 16:01   좋아요 0 | URL
커피 잎사귀로 판화작업을 해 보았는데, 이 녀석이 키우기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반그늘, 바람, 온도도 잘 챙겨야 한다는군요. 물도 일주일에 두세번 주라는 분부를 들었네요. 자라는 모습이 아직 귀엽습니다.
 
과학적 세계관과 과학사상의 이해
오준영 지음 /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용은 따라갈만하지만 쪽당 오탈자는 서너개씩. 너무들 하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모임과 만남 사이. 엽서를 품고 가서 전달하거나 식사만남에서 기다리는 사이. 그 사이를 짬을 채우는 용도로 쓰다가 오늘 환해지는 아침에서야 펼친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겨울이지 겨울을 펼쳐볼까. 펼쳐야겠지. 눈이라니.

 

 

 

 

 

 

 

 

눈내린 아침

홀로 마른 연어포를

겨우 씹었다

 

 

 

노 젓는 소리

파도를 가르고 창자 얼어붙는

밤이여 눈물

 

 두어 작품을 읽고 그만 마음은 차가워진다. 간사한 마음은 바로 봄으로 향한다.

 

꽃에 들뜬 세상

술은 허옇고

밥은 꺼멓다

 

 

까망 보리밥. 간난은 이렇게 마른 버짐처럼 붙어있다. 가난에 시가 읽히고 시가 씌여질까.

 

그리하지 못할 것 같다.  삶의 벼랑처럼 느껴져 아무 것도 해내지 못할 것이다.

 

 

 2. 탈성장에 관한 좀 간략한 책들이 없을까 싶어서 몇 권 골라 읽고 있다.

 

일을 하면 돈을 준다.  가까운 일가친척이나 지인을 돌보면 돈을 써야 한다.  돌보지 않고서는 기대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다.  일을 하는 시간이나 돌보는 시간이 조사에 따르면 거의 비슷하다고 한다. 성장이나 GDP에 잡히지 않는 노동의 시간이 절반이나 되는 셈이다.  돌보는 시간을 지디피나 성장으로 잡기 위해 난리다. 잠재 시장이라고 말이다. 가사노동이나 약자들을 보살피는데 뭐 제대로 한 일도 없으면서, 새로운 시장이라고 못볼 것을 본 것 마냥 법석을 떤다.   숨을 쉬고 있는 한 먹고 자고 싸고 입고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물건 살 돈이 없으므로 돈을 줘야한다고 한다. 기본이라는 둥, 안심이라는 둥. 빚을 내고 빚으로 집을 사고, 기를 쓰고 번 돈으로 또 빚을 갚고, 이렇게 반복된 일상의 숲은 미로처럼 빠져나갈 틈을 주지 않는다. 마치 세상이 그러한 것처럼 주장한다.

 

선언을 만들고 테제를 만드는 이들.  상식의 댐은 무너졌을까? 무너지고 있을까? 무너져야만 하는가? 선언하는 방법이나 테제를 만들고 전달하려는 방식은 문제가 없는가? 앎의 폭탄을 던져 미수에 그친 숱한 족적들.  왜 폭탄은 터지지 않았으며 터진 폭탄에도 그곳만 도려내어져 삶들은 눈꼽만큼도 변하지 않고 있은 것일까? 나는 못살고 있으며 더 떼돈을 벌어야 하고, 남들 더 잘사는 꼴은 보지 못하겠고...그렇게 또 일상의 늪으로 함몰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조금 덜 벌고, 조금 덜 일하고, 조금 더 가까운 이들과 함께 살자는데, 그렇게 살자고 하는데 왜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하는 것일까? 혼자 독식하지 말고 같이 나눠먹자는데 왜 당신 상념은 성장중독에 걸려 다 같이 죽을 듯이 눈을 부라리는 것일까? 그런 당신을 위해 디그로쓰, 니디졌쓰로 이름을 바꿔야만 하는가?

 

중산층의 삶의 방식자체가 문제라는 것. 삶들이 뒤흔들리지 않는 것이 더 문제는 아닐까? 포스트코로나는 정작 바뀌지 않는 그룹들에게는 또 남의 얘길 뿐은 아닌가? 가난한 이들만이 모든 것을 하고 있는 이 세상이 또한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가난하다는 자체가 높기까지 하다니...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냉동된 양념소고기를 냉장으로 옮겨두었는데, 국밥이 당긴다. 돌아와서 양파와 파를 넣고 지글지글 불고기를 만들어 담아둔다. 현미밥과 함께 양념불고기를 전기밥솥에 넣어 따듯하게 해둔다. 백합미역국 밀키트가 제법 맛이 난다 싶다. 계란 두 알을 소금간을 해서 부친다.  와인 한잔까지. 이렇게 가족이 챙겨준 밥상을 차린다. 년말 결산. 몇 해 모인 자금으로 상여를 준비해두고 의견을 나누고 점심으로 마무리 확인을 하다.








































0. 묵혀둔 책들을 읽고 있다. 아니 묵힌 책이 아니라 새롭다고 해야할 것 같다.  광장의 오염이라는 책에서는 우리가 sns 공간에서 왜 더 가까워지지 않고 더 멀어지는ㄱ 하는 점을 다루고 있다. 광장은 점점 사라지고 사람들의 인지 편향이 더 강하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무법과 방관, 소비주의 결합의 진풍경은 차마 뉴스마저 클릭할 수 없고, 문을 닫아야만 제대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소음에 가깝다. 



언론이 비판적 기사를 써야 한다는 건 오래된 신화 가운데 하나이다. 사람들이 더 많은 뉴스를 원한다는 믿음 역시 마찬가지이다. 사실 우리는 너무 많은 뉴스에 익사할 지경이죠. 누가 더 빨리 보도하느냐, 누가 더 호되게 비판하느냐의 경쟁을 멈추고 대안과 해법을 이야기할 때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26


1. 일이년쯤 되어가는 듯싶다. 티브이 수신료를 끊고 매체를 보지 않으려 애를 쓰고, 원하는 한 두 프로그램만 보게 된 것이 말이다. 깊이있는 취재기사는 일년에 한 둘 정도밖에 들어오질 않았다. 그제서야 그 기자에 눈이 가고 이름을 기억하게 되었다고 할까. 나의 시선도 생기는 것이 아니라 편향이 강해져 듣기 싫은 소리는 회피할 정도가 되어가도 있는 듯 싶었다. 홍수에 가까운 표피껍질 기사에 진절머리가 날 만하고,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도 아무 해석도 못하는 것이 태반이었다.


2. 기자도 언론도 회사원도 기업의 위상도 예전에 가지고 있던 지식들도 별반 소용이 없는 경우가 더 많다. 학문도 그러하고 말이다. 무엇을 해야하는 당위가 아니라, 하는 방법과 과정도 하나하나 바뀌지 않으면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30-40년이 지나도 여전히 사고와 행태는 냉동된 인간으로 떵떵거리며 사는 부류가 외려 가르치려드는 세상이 아닌가 싶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도대체 변하지 않는 인간들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하려하지 않는 다른 부류가 잘못인가. 절대 동시대에 살고 있지 않다. 인권이라는 담은 경험하지 않고는 넘을 수 조차 없다. 


3. 이 책들은 우리가 가진 편견과 선입견에 대해 다시 짚고 있다. 환원의 도그마에 빠지지 않고 살아가는 방법에 관한 책들이기도 한 것 같다. 절반을 넘어서도 있으니 이렇게 간략히 언급해도 되겠다 싶다.


혼자서는 절대 벗어날 수 없다. 같이만 겨우 담을 너머갈 수 있을지도, 인간이하의 인간들이 얼마나 많은 지 감안하지 않고서는 ... ...아무 고민도 없이 돈도 권력도 명예도 다 탐하는 자들의 일말의 반성이나 뉘우침이 있을 거라는 우둔함이 외려 그 위험을 더 키운지도 모를 일이다.


-2. 데이비드 그레이버를 읽고 있다. 발생학과 진화관련 이책이 발간된 것이 2007년이니 관련된 소식들이 몹시 궁금해진다 싶다.


볕뉘


몸이 축이나 며칠 조심조심 기운을 차리고 있다. 생생하다는 일이 얼마나 좋은 일인가. 하루하루 눈이 떠진다는 것만으로도 충만하기도 하지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1월말. 책이 오자마자 받아들고 가장 먼저 펼친 대목은 저자가 직접 아를 방문 소회를 적은 부분이었다.

[쉬-어, 가:다]란 주제로 정작 쉬지 못한 기간은 전시 한 두달, 아니 아마 한달 전부터 시작한 듯싶다. 그렇게 빨리지나가는 속력에는 풍광이 보이지 않는다. 몸도 마음도 센 불에 달궈진 것처럼 말이다. 담금질을 하듯, 차가운 얼음물에 이제서야 푹 담궈본다. 마음도 몸도 조금 식고, 호흡을 가다듬어본다. 신년 집밥을 여러 차례 해먹고 나서야 밀린 책들을 조금씩 소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싶다.

사무실인지 어딘지 손에 잡히는데 둔 게 확실한데 찾는 책은 보이질 않는다. 그러다가 <올해의 책들> 리스트를 옮긴 책가방에서 발견해내었다.

목차를 펼치자 18번. 이번에도 목차의 18번째 고흐가 걸렸다. 완전히 사랑할 수밖에 없는 고흐의 화신들이라는 여섯 편의 영화들이다.

찰스디킨스와 에밀 졸라 작품을 끼고 읽었다는 고흐나, 고갱이 고흐를 예술가로 인정하고 존경하는 편지가 있었다는 대목. 테오의 아들이 큰아버지의 그림에 관심이 생기고 아를을 찾았다는 얘기. 문학적이기도 한 반 고흐를 다룬 영화들 가운데 사실들은 상식들을 벗어나거나 새로 알게된 읽을 거리나 볼 거리를 되려 가져다 준다. 짧은 글들이지만 영화 안에서는 미처 챙기지 못한 너머와 사이를 다루고 있다.

에드워드 사이드를 읽다보면 그가 빗대어 말한 [이타카]는 저기에 없다. 지금 여기가 모든 시작점임을 누누이 말하고 있다. 영화감독들도 같이 고흐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어쩌면 그들의 이야기를 녹아내고 싶을 것이다. 혼재한 나를 고흐에 섞어내고 싶었을 것이다.

고흐를 닮고 싶어 일본화가들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프랑스로 가서, 영혼을 담은 그림을 찾고자 하고 그려내고자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제대로 그려내었을지는 의문이다. 그들은 여전히 저기가 있고, 여기가 아니라 저기로 가고자 하였음이 다시 돌아와 자신의 발목을 잡지는 않았을까.

주변을 사랑하고 가까운 마음들과 감정을 소중히 담아옮긴 것이 고흐는 아닐까. 그림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기도 하겠지만, 사소하거나 측은하기 조차한 살아내는 주변의 생생함을 찾아내려는 것이 더 먼저였는지 모른다. 일본은 여전히 고흐를 사랑하지만 정말 사랑해낼 수 있을까. 우리에게도 여전히 지금여기를 이타카로 여기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실재하고 있다.

여섯 편의 영화들을 정주행하고 싶어진다.

볕뉘.

서경식의 고흐도 눈여겨 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