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절멸의 인류사 -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사라시나 이사오 지음, 이경덕 옮김 / 부키 / 2020년 6월
평점 :
내가 몇번이나 반복하여 들어도 지겹지 않은 이야기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인류의 기원에 관한 것이다. 이 책 <절멸의 인류사>도 그러한 이유로 집어 들었다. 그런데 사실 이 관련 주제로 몇 권 읽기는 했어도 여전히 혼란스러운 것은 이전의 여러 인류의 화석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이런저런 이유로 재분류되기도 하는 등의 변화가 많다는 점이다. 학자들마다 조금 다른 부분이 있어 관련 책을 읽을때마다 혼란스럽다.
일단, 이런류의 책에서 강조하는 것중 하나가 인류가 침팬지에서 진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진화 이야기를 하게 되면 왜 우리가 침팬지에서 진화했다고 아직도 생각을 하는 건지는 모르겠다. 충분히 설명이 안된 이유가 있을 수도 있지만 어떠한 편견에 사로잡힌 탓에 그런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여튼 침팬지와 공유하는 조상과 다른 유인원과 다른 길을 가기 시작하며서 얻은 것 중 하나가 직립보행이다.
사실 직립보행을 하게 되어 얻게 되는 이득이 무얼까 생각하며 학자들이 내놓은 가설 중 유력하다는 것이 음식물 운반 가설이다.수컷이 암컷이나 새끼를 위해 손을 이용해 음식물을 운반하려 그렇게 직립 보행을 하게 되었다는 가설이다. 인류는 삼림에서 살다가 당시 아프리카의 건조화로 삼림이 줄어 들면서 쫓겨난 것으로 본다. 그 탓에 인류의 직립 보행과 집단을 이루는 등의 특징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자연은 여전히 위험한 곳이지만 삼림을 상대적으로 안전했기에 집단을 이루어 지낼 필요가 없었다. 그냥 위험하면 나무에 올라 타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원이나 소림에서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쉽게 포식자의 눈에 보이기도 할 것이고 피할 곳도 여의치 않다. 그렇기에 집단생활을 하게 되었고, 음식물 운반 가설도 자신의 암컷과 새끼의 생존뿐만 아니라 집단 생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보아도 어느정도 맞는 것 같다. 고릴라도 우두머리 수컷 고릴라 혼자서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없으므로 음식을 나누어 주기도 한다는 걸 보면.
사실 직립보행은 이점 못지 않게 단점도 존재한다. 쉽게 포식자의 눈에 띄게 되는 것이다. 이전처럼 네발로 다녔다면 몸을 숨기기에는 적합했겠지만 두발로 보행하는 경우에는 그렇지는 못했다. 그런 점에서 또 하나 생긴 특징으로 책에서는 다산을 지적한다. 잡혀 먹힌 만큼 많이 낳는 다는 것이다. 다른 영장류와 출산간격을 예로 드는데 다른 영장류에 비해서 인류는 출산 간격이 짫은 편이다.
그리고 인류의 특징으로 뇌의 진화를 빼놓을 수 없다. 그런데 알아보면 뇌의 진화는 공동조상에서 침팬지와 갈라져 나온 이후 한참이 지나 마지막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뇌의 크기가 커지는 것 자체는 크게 이득이 없었던 탓이다. 다만 책 속에서 지적한 바로는 뇌가 커져서 석기등의 도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석기를 이용하며 뇌가 커졌다는 점을 지적한다. 석기를 사용하면서 고기를 이전에 비해 쉽게 얻을 수 있었고 거기에서 얻은 에너지등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사자등의 맹수는 왜 뇌를 진화 시키지 않았냐는 문제에서는 뇌의 진화가 생각보다 품만 많이 드는 일일 수 있다는 이유만 드는데 납득이 크게 가지는 않는 부분이다. 설명이 미진하여 아쉽다. 아마 사냥을 위해서는 약한 인류들은 집단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었고, 협력적인 사회관계를 위해 진화한 지점도 있을 것이다(이점은 책에서 명확하게 뇌의 진화의 이유로 들지는 않고 있긴 하다. )그리고 인류가 육식을 하게 되면서 소화를 하는 시간이 줄어 들고 식사나 소화에 할애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록 한가한 시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한가한 시간이 지적활동을 하는데 주요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그럴듯 하면서도 아직은 글쎄...
다시 직립 보행의 이야기도 돌아오면, 직립보행을 하면서 비록 단거리에서의 속도는 비교가 불가하지만(덩치가 큰 코끼리 보다도 느리지만) 장거리에서는 다른 동물들에 비해 에너지 소비등에 유리하다. 삼림에 비해 먹이를 찾기 힘든 초원과 소림에서는 길게 움직일 필요도 있고, 사냥물을 사냥하는데도 유리 했다고 보는 것이다. 그리고 체온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도 이점이 있었다. 네발로 걷는 것보다는 두발로 걷는 편이 햇빛이 닿는 면을 최소하 하는 부분도 있었다. 물론 땀을 배출하여 조절했다지만.
적은 분량이지만 정리가 잘 되어서 독자들이 쉽게 전달되는 것 같아 다른사람에게 추천하기는 쉬울 것 같다.
그런데 저자가 인류의 폭력성에 대하여 그 정도를 순화시키려는게 보여서 이상했다. 네안데르탈이나 다른 인류이 멸종에 대해서 호모 사피엔스의 변호를 하는 것은 어느정도 납득이 되는 부분도 있긴 했지만, 시종일관 평화스러운 인류를 강조하려는 모양새라... 자연상태에서 중요한 건 생존과 번식이 가장 중요한 것일 건데 어금니가 줄어졌다고 폭력성이 줄어들었다? 두손이 있지 않은가? 왜 그러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