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자유의 감옥 올 에이지 클래식
미하엘 엔데 지음, 이병서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미하엘 엔데.

자유의 감옥은 처음으로 접하는 엔데의 작품으로, 8개의 단편집이다. 단편 하나하나가 기발한 상상력으로 나를 즐겁게 해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상상력으로만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생각해 볼 여지가 있게 해준다고나 할까. 다른 사람들이 말하기는 철학적 판타지라고도 하는 것 같더라. 그래서 그런지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이 많았다. 특히 역자가 공간 3부작이라고 명명한  <보르메오의 통로>,<교외의 집>,<조금 작지만 괜찮아> 이 세작품은 뭔 소리인지  이해가 부족 했다. 하지만 작품 자체로만 보게 되면... 공간에 대한 묘사가 굉장히 좋았다. 그리고 <조금 작지만 괜찮아>에서의 그 가족들은 매우 우스꽝스러웠다. 그리고, <여행가 막스무토의 비망록>에서는 사람들의 시간이 흐르면서 자신의 본래 목적을 잃어 버리고 수단에 집착 하는, 말하자면 과도한 사교육이라던가, 돈벌기에 혈안이 된 사람들은 연상케 한다. 엔데가 그런 의도로 말한건지는 모르지만 말이다.

전체적으로 마음에 들던 작품을 뽑자면 역시, <미스라임의 동굴>와 공간 3부작인<보르메오의 통로><교외의 집><조금 작지만 괜찮아.>를 들 수가 있겠다. 다른 작품보다도 공간에 대한 묘사는 기발한 상상력 아니고는 할 수 없지 않는 작업인가 아닌가 한다.

<자유의 감옥>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냈었고, 앞으로도 즐거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움베르토 에코의 문학 강의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운찬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며칠전부터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한 문학강의는 에코가 여러 강연회나(?) 잡지에 투고 한것을 한데

묶은 것 같다. 지금 공산당 선언의 문체 까지 읽었는데, 사실 문학적 배경이 다르다 보니 이해가 더 어렵다.

두번재 단테의 신곡의 천국편을 말하는데서 사실 뭔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더라. 하지만 재미있게 봤다.

한마디로 어렵게 쓰기도 쓰고 이해하기도 문화적 배경이 많이 다르지만 확실히 글 재미있게 쓰기는 하나보다. 그리고 공산당 선언에서 문체를 적어 놓은것을 읽으면 .. 솔솔한 재미가...물론 공산당 선언 원본을 읽지는 못했지만.

어쨋든 움베르트 에코는 내가 이해하기는 벅차지만(절대 이해 못할것 같은...), 확실히 재미있는 글쓰기를 적고 있고, 나는 읽을꺼다.  언젠가는 알아 먹을날이 올꺼라 믿으며....(사실 문화적 배경이 다른 것에 대해서 약간 아쉬운 느낌이 들었다. 에세이라고 해도 될 듯한데.. 이야기를 하는데 있어서 그 나라 문화에 대해서 상당히 무지 하기도 하고 문화적 태생이 다르기때문에 영원히 이해는 못할것이다.; 그게 아쉬운점..)

 

 

-근데 이런 허접한 리뷰을 세계석학의 책에다 올려도 되는건지 모르겠다.; 웬지 엄청난 무게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를 마시는 새 1 - 황제 사냥꾼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작가님의 다른 작품들 보다 분량이 만만치 않아서 게속 이어져 가는데 약간 숨이

가파르다고나 할까요? 우선... 재미있었습니다. 그리고 간간히 튀어나오는 유머스러한 잡

담들. 여전하더라구요... 그런데 요번에 피를 마시는 새는 이외로 결말이 로맨스틱 해서 약간

놀랐습니다. 뭐 어쨋든 제가 보고 생각났던걸 말하자면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던 평가는 신중

해야된다는 거... 하지만 어떤 평가와 판단을 안 내릴 수는 없는거겠죠. 그런 점에서 우리 모두

가 피를 마시는 새가 아닐까 하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십 트루퍼스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5
로버트 하인라인 지음, 강수백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모두 아시다시피 영화로 제작 되었고, 영화로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원작이 있다는 소리를 들을 후에 찾아서 읽게 되었는데....  이게 웬걸?!  눈으로 보는 영화보다 더 화려한게 아니겠습니까? 그 강화복의 화려함이란!

정말 원작을 읽지 않고서는 모를껍니다. 이 느낌을요. 그리고 우리의 마스터 답게(?) 약간 사상이 걸리적 거립니다. 파시즘이라고 해야될지... 하여튼 이 사람의 작품은 나에게 상당히 걸끄러운 존재이기도 합니다.

내용은 대충 한 군인의 성장기라고 해도 좋을 듯 하네요. 재미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라이데이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로버트 하인라인 지음, 안정희 옮김 / 시공사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밑에 분들이 너무 잘 써주셔서 제가 쓰기 민망하네요...

흠.

 제가 처음 하인리히를 만난건 스타쉽 트루퍼스에서 부터 였습니다. 이 작가는 뭔가 걸리적 거리는 사상을 가지고 있는것 같은데도 아주 재미있게 잘 읽히더라구요. 확실히 모든걸 떠나서 작가로서의 재능은 뛰어 난듯 하네요.

요번 프라이데이도 괘나 기대하고 읽었는데 생각 만큼 재미있지는 못했어요. 미래사회상이나 여러가지들 제도를 보면 정말 잘 쓰여진 글 같지만. 사실 마음에 안드는게... 그래도 지룰 할 정도는 아니였죠. 그의 글빨로 저를 헤어싸더군요.... 그렇게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그의 글빨은 정말 알아줘야 할 듯...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넷 2006-01-25 1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리고 책이 너무 물렁물렁(?)해서... 불편한 감도 있었다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