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고 누가 묻는다면, 분명 얼마 전까지는 '텔레포트'였는데, 지난 주, 그 소원이 바뀌었다.
매우 덥고, 머릿속은 복잡해 올림픽에 도무지 관심 가질 여력이 없던 나른한 금요일의 점심시간이었다. 나는 애국 교육을 제대로 못받아서 올림픽을 보면서 우리 나라를 꼭 응원하고픈 마음도 없고, 세계화 교육도 제대로 못받아서 올림픽으로 세계가 하나되고 어쩌고 하는 소리만 들으면 코웃음을 치는데, (그럼에도 개막식은 정말 멋졌다.) 점심시간 밥을 먹으러 우연히 한 식당에 들렀을 때, 내 눈을 잡아 끈 경기가 있었으니, 그것은 '체조'였다. 더글라스라는 미국 선수가 금메달을 따는 장면을 보여주는데,
"아, 나 체조는 챙겨 봐야지"
라는 생각이 절로 드는 거다. 그래서 지난 주말부터 보기 시작해 처음 본 체조 경기가 트램펄린 결승. 퐁퐁 혹은 방방, 혹은 덤블링....이라고 부르던.... 그 트램펄린 위에서 뛰고, 균형을 잡고, 더 높이 뛰고, 공중에서 몇바퀴씩 도는 장면을 보는데, 세상에 너무 아름다운거다. 경기하는 걸 보는 것보다 슬로우모션을 볼 때 더 설렌다. 천천히 몸의 움직임을 보면, 몸이 그리는 곡선이 정말 예술이다. 그리하여 나는 새로운 소원을 갖게 되었다.
"공중에서 한 바퀴만 돌아보고 싶어요"
그러자 너무나도 정직한 누군가 이렇게 말해주었다.
"누나, 이번 생에는 끝났어. 포기해"
그러면서 녀석은 내게 <에버랜드 병신>이라는 제목을 가진 유튜브 동영상을 소개해줬다. 비참하니까 동영상은 링크하지 않을 작정이다. 요는 에버랜드에서 외국인 곡예사들이 트램펄린 위에서 뛰고 돌고 하면서 일반인 시범을 할 사람을 지원받았는데, 그 사람이 그 위에서 제대로 균형도 못잡고 빌빌대던 모습이 담긴 동영상. ㅠㅠ 그래, 내가 저 병신과 다를 게 무언가 ㅠㅠ 굳이 다른 게 하나 있다면 나서지 않는다는 거겠지.. 어차피 몸병신으로 태어났는데 이번 생은 아무래도 좀 마이 어렵겠지, 하면서도 나는 자꾸만 아름다운 체조의 영상을 찾아보고 있다. 보면 볼수록 선수들은 너무 아름답고, 나는 계속 비참하고 뭐 그렇다.
오늘은 남자 링 경기와 여자 이단 평행봉 그리고 남자 도마 경기를 봤는데 양학선 선수가 금메달을 안겨준 도마도 재밌었지만, (히히 덕분에 이번 올림픽 첨으로 우리나라 금메달 따는 것도 봤긔 ㅎㅎ) 아, 남자 체조는 링이 갑이다, 뭐 이런 생각을. 공중에서 링 두개에 몸을 의지하고, 근력으로 서서 버티고 앉아서 버티고 물구나무 서서 버티고, 회전하고, 또 회전하고... 아 정말 멋지고 멋지다. 정말 절도 있다. 가오가 킹왕짱이다. 근육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링을 잡고 있는 체조선수들의 근육이 참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필 오늘 오랜만에 요가를 가서 필라테스 수업을 했는데, 복근 앞에서 힘없이 무너지는 내 안의 몸병신을 만난 터라... 저렇게 버틴다는 게 나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든 일이라는 걸 알겠고... 저 근육들은 정말 단단한 인내의 시간을 거친 후에야 가능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 좀 감동적이기도 하고... 이단 평행봉은 또 어떤가...! 두 평행봉을 자유롭게 넘나들고, 물구나무 선채로 손을 바꿔가며 돌고, 돌고, 나도 한번쯤은, 저런 묘기에 완벽한 착지를 바라지는 않아도 내 몸이 가볍고, 자유롭다는 걸 느낄 수 있는 그런 경지에 오를 수 있다면 좋을텐데.
아무래도 몸이라는 것의 한계, 에 대해 계속 생각하는 요즘이라 더 그런가보다. 학교 때 체육은 왜 그렇게 등한시했는지, 달리기도 못하고, 유연하지도 않고, 점점 더 나무토막이 되어가는 몸이라. 저렇게 자유롭게 제 몸을 컨트롤하는 체조 선수들이 그리 멋져보였나보다.
아. 부럽다. 부러우면 지는건데, 실은 안 부러워도 이미 진 것이나 다름없으니 그냥 부러워해야지.
트램펄린이라도 한 번 타보고 싶네. 아. 더 비참할 뿐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