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본 책에 관한 책들 중엔 젤 아기자기한 소녀 감성으로 예쁜 것 같다. 디자인을 참 잘하신듯 하다. 정말 많은 책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전에 읽었던 책의 내용에 대한 책들과 이 책은 분명 다르다. 책의 내용은 부록일 뿐, 책이 완성되기까지 작가와 그 주변에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에피소드에 강하지 않은가? 40여편의 소설을 이야기하면서 소설의 내용이 아니라 소설의 에피소드를 이야기해주니 재미도 재미지만 소설에 대한 이해도 도움이 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30편 정도로 줄이고 에피소드들을 좀 길~~~게 다루어주었으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그나저나 다른 작품들은 '작품 엿보기'라고 하여 한 두 페이지 정도 줄거리를 알려주는데 대실 해밋의 <붉은 수확>은 왜 없을까? 작가의 의도인가, 편집의 실수인가? 궁금하다.

 

 

<이 책을 통해 내가 첨 들어본, 그러나 읽고 싶어진 소설>

 

총 2권으로 구성된 <캐치-22>. 원래 이 책의 제목은 22가 아니라 18이나 11이 될 뻔 했단다. 작품 엿보기를 보니 전쟁을 배경으로 한 사회외 인간의 심리 사이의 흥미진진한 줄당기기가 재미있어 보인다. 조지프 헬러라는 작가도 <캐치-22>라는 작품도 처음 들어보지만 무척 읽고 싶어졌다.

 

 

 

 

 이 책이 읽고 싶어진 이유는 작가 잭 런던 때문이다. 책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그는 하루에 1천 단어가 넘는 글을 썼다. 잠도 하루에 겨우 세 시간씩만 자고 나머지 시간은 온통 글쓰기에 쏟았다. 평소 존경하던 작가 리디아드 키플링의 작품들을 연습 삼아 베껴보기도 했다. 훌륭한 소설을 쓰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스스로 읽히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285쪽)

 

그러곤 결국 이 소설은 3주 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이런 작가의 글이라면 궁금해지는 건 당연한 것 같다.

 

 

<제목만 알았지 아는 게 도통 없던, 그러나 알고 싶은 소설>

곧 내 품에 들어올 책이다. 이 책에서는 <소음과 격정>이라고 되어 있는데 내가 산 것은 <소리와 분노>이다. 어떤 제목이 더 어울리는 지는 읽어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 여러 번 거절 당한 소설, 그러나 출간 후 뜨거운 평단의 반을 받은 소설을 읽어봐야겠다. 그런 소설은 대체 어떤 소설이지??

 

 

 

 버지니아 울프를 몹시 좋아하게 된 것은 <자기만의 방>을 읽고 부터였다. 하지만 그 후 <제이콥의 방>을 읽었지만 뭔가 울림은 있되 어려웠다 ㅠㅠ <댈러웨이 부인>을 읽을 생각을 왜 못했을까? 이 책에 의하면 댈러웨이 부인은 버지니아 울프와 가까웠던 키티라는 여인을 모델로 했다고 한다. 버지니아 울프는 댈러웨이 부인을 <댈러웨이 부인> 작품 외에도 여러 번 출연시켰다고 하니 그녀의 정체가 몹시 궁금하다. 우리 나라에 많은 번역본이 있더라만 열린책들 표지 디자인이 정말 예쁘다!

 

<읽었지만 도통 생각이 안나는 소설 ㅠㅠ>

분명 읽었다. 그런데 무슨 내용인지, 내가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구체적으로 생각이 나지 않는다. 기회가 되면 다시 읽어봐야겠다.  분명 막연히 좋은 느낌은 있는데 말이다 ㅠㅠ

 

 

내가 읽은 건 이 판본은 아니다. 오래 전에 읽은 기억이 난다. 개인적으로는 어려웠던 것 같다. 아마 내가 판타지 취향이 아니라서 그런가 보다.

 

 

 

 이것 역시 아니다. 난 고려원에서 나온 문고판 2권짜리를 읽었다. 읽으면서 가슴 떨려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아주 오래 전에 읽었다.

 

 

 

 

  다시 읽어야 할  때가 왔다. 10년에 한 번 씩은 읽어줘야 할 것 같다.

 

 

 

 

열린책들 판으로 다시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