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소설 전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00
이상 지음, 권영민 엮음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 이상은 <오감도>보다는 <날개>가 익숙하다. '이상 문학상'에 대하여서도 소설가에게 주는 것만 익숙하여 시인 이상보다는 소설가 이상이 더 친근하다. 무식한가? 그렇다. 나는 그런 무지의 극치 상태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의 작품이 난해하다는 선입견만 머리와 마음에 가득 집어 넣은 채  그나마 가장 익숙하게 다가오는 <날개>를 펼쳐 들었다.

  <날개>를 읽으면서 가장 자주 느낀 점은 '어라? 이상은 재밌는데?'였다. 끊임없이 궁시렁거리는 듯도 하고 자기 비하도 끊어지지 않아 어둡기도 하였지만 그의 독특한 문체에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유머라는 요소가 있었다. 그 유머는 대체로 자기 학대적이고 냉소적이었지만 바로 그 점이 이상의 소설을 특별하고 흥미롭게 느낄 수 있게 하는 요소였다.

  <날개>를 읽은 후에 또 낯익은 제목이라는 이유로 <김유정>을 읽고 나니 이상의 소설이 너무 재미있어서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책을 마주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처음으로 돌아와 제대로 읽어보리라는 마음으로 <지도의 암실>을 읽기 시작했다. 마지막 작품인 <십이월 십이 일>을 제외하고는 발표 시기에 따라 차례대로 구성된 터라 애초에 겁을 먹지 않은 사람이라면 <십이월 십이 일>을 먼저 읽은 후, 차례대로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십이월 십이 일>을 읽으며, 이상이 이 때만 하더라도 삶에 대한 의지가 있었던 것이구나 싶은 마음이 들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죽음에 대한 의지만 확고할 때에는 죽음이 불발되지만, 이 작품에서는 죽음이 이루어진다. 아마 그에겐 삶이 죽음이고, 죽음이 삶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의 작품을 여러 편 내리 읽다보면 마치 내가 그의 삶에 깊숙이 관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왠지 내 주변에 이상이나 보산이나 S같은 이가 매일 있을 것만 같다. 아마 그가 그의 작품 속에 그 자신을 많이 이입시킨 탓으로 추측되는데, 그에게 소설이란 제대로 살아지지 않는 현실 속에서 스스로를 괴롭히기 위해 쓰는 글처럼 느껴졌다. 자신을 괴롭히기 위해 다중이처럼 소설 속에서 이 사람도 되었다가 저 사람도 되었다가 결국은 이도 저도 아닌 이가 되는 것이 자신이라며 스스로를 해치고 비웃는 것이 여러 작품들을 통해 반복된다. 그런 그를 아주 가까운 곳에서 지켜보는 듯한 나는 어찌할 줄을 모르겠다. T씨처럼 대면대면하게 지낼 수도 없고, 아내처럼 그를 농락할 수도, 윤 처럼 그를 비웃어줄 수도 없다. 아, 난 그가 그저 안됐다. 그를 보듬을 수 없는 것이 아프다. 너무나 힘들었던 시절의 너무나 예민했던 나이에 너무나 섬세했던 사람으로서 살아야했음이 절절하게 힘겹게 느껴졌다.

  <단발>에는 '소녀의 끝없는 고독이 소녀에게 1인 2역을 시킨 것에 틀림없었다.' 문장이 나오는데, 그의 모든 문제는 바로 이 고독에서 나온다. 그는 관계를 굳게 맺지 못하는 고독한 영혼이었다. <지도의 암실>에서 '그의 의미는 대체 어디서 나오는가.'라고 스스로에게 물은 것처럼 그는 고독의 상태에서 자신의 설 자리를 그 어느 곳에서도 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하기에 끊임없이 여인을 가지려하고, 그러면서도 확신하지 못하여 잡지 못한다. 또한 끊임없이 자살을 꿈꾸지만 결국 그는 그것마저도 실행하지 못하고 아마 누가 자신을 대신 죽여주기만을 바랄 뿐이다. 여인의 다감함과 생의 종결 중 아마 그가 더 원한 것은 여인의 다감함이었지만 현실에서는 생을 마치는 것이 더 현실적이었던 모양이다. <종생기>를 유서로 삶을 마치니 그 딴에는 큰 결심을 한 모양이다.

   사랑이 필요했던 한 섬세한 사내에게는 사랑이 머물 곳이 없었다. 냉소적이긴 하나 그의 유머가 꽤나 매력적인 것을 보면 이상이라는 사람의 매력도 만만치 않았을텐데 사람을 떠나보내야만 하는 모난 성격이 있었던 모양이다. '그의 의미는 대체 어디서 나오는가' 지금의 그의 의미는 그의 삶과 작품으로 그가 기대한 것 이상으로 크게 나오지만 그를 살리는 데에는 기여하지 못했다. 그의 삶이 그렇게 종결된 데에 마냥 안타깝지만은 않은 것은 나 뿐일까? 그가 생을 달리 어떻게 살아냈을지가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의 작품이 어렵고 쉽고를 떠나 그의 작품을 읽는다는 것은 특별한 경험이다. 하지만 마음이 나약하고 예민한 때에는 피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도 든다. 앞서 말했 듯이 빠져들게 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이 완전히 현대어로 번역된 것을 읽어보고 싶어졌다. 지금의 이해는 그의 작품을 이해한다기 보다는 그를 이해하는 것에 더 가까우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