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아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3
기 드 모파상 지음, 송덕호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는 극이다보니 그야말로 극적이었다. 뒤루아도 야심만만했고 포레스티에나 왈테르 역시 야비했다. 마들렌은 지적이었고 마렐 부인은 사랑스러웠다. 책과는 달리 뒤루아의 승진은 포레스티에의 죽음 이후가 아닌 그가 신문사에서 쫓겨나고(이것도 책과는 다른 설정) 왈테르 부인을 접견하자마자로 빨리 처리했다. 인물들은 펄떡펄떡 살아 있었으나 책에서 주는 생각할 겨를을 주지 않았다.

 

  내가 책에서 가장 인상깊게 느낀 인물은 뒤루아도 마렐 부인도 마들렌도 아니었다. 르베를 드 바렌. 그가 뒤루아와 걸으며 나눈 대화는 작가의 목소리에 가장 가까웠다.  그런 그가 영화 속에서는 언급조차 되지 않는다. 너무 직접적이라 그랬나?

 

"------인생이란 산길과 같소. 올라가는 동안은 꼭대기가 보이니까 행복을 느끼지요. 그러나 다 올라가면 갑자기 내리막길이 눈앞에 나타나고, 더욱이 그 끝은 죽음이오. 올라갈 때에는 천천히 올라가지만 내려갈 때에는 빠르단 말이오. 당신 나이에는 즐거운 일만 많아서 여러 가지 희망을, 결코 실현하지 못하는 희망도 가슴에 품지만 내 나이가 되면 이제는 아무것도 기대할 것이 없고 그저 죽음이 있을 뿐이오."

 

"------당신을 둘러싼 모든 것으로부터 시험 삼아 빠져나와 보시오. 살아 있으면서 당신의 육체나 이익이나 사상이나 또 온갖 인간성에서 벗어난다는, 저 초인간적인 노력을 하고 거기서 밖을 바라보시오. 그러면 낭만주의와 자연주의와의 다툼이라든가, 예산 논의 같은 것이 얼마나 무가치한지 알게 될 거요."

(184~187쪽)

 

  하지만 욕망에 찬 사람들이 늘 그렇듯 뒤루아 역시 이 대화를 애써 무시한다. 자신이 하는 일들이 얼마나 무가치하고 야비한 일인줄 알면서도 계속해 나아가는 것, 오직 그것만이 자신이 살 길인양 행한다.  그러하기에 인간이란 욕망 앞에서 한없이 나약하다는 것을  우리는 알게 된다. 물론, 일면 그가 처한 상황과 당시 심각한 사회불균형을 생각해보면 그런 그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래서 더 안타깝다. 진실로 사랑하는 여인을 진심으로 사랑할 수 없다는 것, 그 여인의 사랑도 마음껏 받을 수 없다는 것이.

 

  뒤루아의 성공에 대한 욕망, 왈테르와 라로슈 마티외의 부와 명예에 대한 욕망, 마들렌의 지적 욕망, 왈테르 부인의 몸의 욕망, 마렐 부인의 사랑에 대한 욕망 등 이 책에는 인간의 다양한 욕망이 당시 사회 배경과 얽혀 잘 드러나있다. 이 책이 1885년에 나왔다고 하는데 꽤나 파격적이다. 더욱이 자신의 미모를 무기로 삼는 인물이 여자가 아닌 남자라는 점이 지금으로서도 파격적이다.  더구나 이 책의 결말이 권선징악적이지 않다는 점이 놀랍다.

 

   영화에서는 로버트 패터슨이 벨아미의 역할을 맡았는데 잘 어울렸는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의문이 든다. 그의 미소가 벨아미와 어울렸다는 정도 외에는 몰입이 잘 안되었다. 다만, 마렐 부인 역의 크리스티나 리치는 내가 예전에 <페넬로페>에서 보던 그 소녀가 맞나 싶을 정도로 사랑스러웠다. 책 중 인물의 역할 그 이상을 한 것이 아닌가 싶었다. 마들렌 역의 우마 서먼은 그에 비해 너무 나이 들어 보였고, 왈테르 부인 역의 크리스티나 스콧 리치는 입이 딱 벌어졌다. 특히 뒤루아가 질색하는 그 교태 연기는 나의 상상을 넘었다.

 

   이야기의 초반, 사랑스러운 마렐 부인이 식탁에서 말한다.

"그래요. 세상에서 즐거운 것은 연애뿐이에요. 그런데도 우리는 가당치 않은 조건 때문에 그것을 망쳐 버리는 일이 많아요."

  그 말에 마들렌이 덧붙인다.

"그래요......정말이에요....... 사랑을 받는다는 건 기쁜 일이에요."

 

 진심으로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받는다는 것. 진심으로 세상을 사랑한다는 것은 기쁘고 아름다운 일이지만, 우리의 욕망이 얼마나 그 기쁨을 막고 있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읽으며 어쩔 수 없이생각난 책>

위험한 관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