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의 재판 옛이야기 그림책 까치호랑이 21
홍성찬 글.그림 / 보림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내가 가장 명확하게 기억하는 <토끼의 재판>은 '배추도사 무도사 옛날옛적에'에 나온 버전이다.

토끼가 자신을 놓아준 사람에게 은혜도 갚을 겸 명재판을 한다는 이야기.

 

 

 

이번 보림에서 출간된 홍성찬의 <토끼의 재판>은 이야기의 기본 골조는 같지만 세세한 과정은 좀 다르다. 일단, 토끼와 사람 간의 이해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 그리고 꿩을 내세워 직접적인 경고 메시지를 미리 전한다는 점,   또 모든 동식물이 호랑이의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소와 사슴은 어느 편도 들지 않는 판결의 다양성이 보인다는 점이 가장 큰 내용상의 차이점이다.

 

이번 책에서 내세울 수 있는 가장 큰 강점은 굉장히 섬세하다는 것이다. 앞서 만화 시리즈물에서 볼 수 없었던 면들이 그림책에서는 매우 섬세하게 다뤄져 있는 것을 비롯하여 처음 도입을 드라마 첫 회 방송 보여주듯이 긴장감을 불러일으킨 다음 제목이 나와 본격적으로 시작되도록 구성한 점이 효과적이고,  이 도입으로 인해 긴장감을 처음부터 가지고 책장을 넘기게 되었다.

 

그림 이야기를 해 보면, 홍성찬 작가는 우리 나라 그림책 1세대로서 많은 전래 동화에서 그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매우 한국적이면서 군더더기 없는 느낌이랄까 그런 면들이 어떻게 보면 어린 아이들이 보기에는 흥미롭지 않아보이기도 하지만 어른의 입장에서 보면 어른까지 읽어도 전혀 유치하다거나 어린이용만으로 보인다거나 하지 않아 오히려 오래 두고 보기엔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은 취향의 문제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야기가 끝난 후 에필로그처럼 쓰여진 그림책 작가 류재수 씨의 글에 따르면 이 책의 그림은 홍성찬 작가의 제대로된 그림은 아니라고 한다. 취향의 문제를 배제하고 보더라도 아주 잘 그린 그림은 아니라고 하니 아쉬울 만도 하고 속은 느낌이 들 수도 있지만 오히려 류재수 씨의 글을 읽고 나니 이 그림책이 더욱 소중하고 의미있게 다가온다. 

 

그림책 자체에 담긴 이야기보다 작가의 삶과 버무려진 이야기가 추가되어 있기 때문인가 보다. <토끼의 재판>이 어떤 내용인지, 그것의 교훈은 무엇인지에 대해 새삼 이야기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 그림책이 우리 나라 그림책의 역사에서 어떤 위치에 있을 것인지,  모두가 다 아는 뻔한 내요임이 분명한 데에도  노작가가 말년의 작품 속에서도 치열하게 고민한 모습이 얼마나 감동적인지에 대하여 말하는 편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 책이 한 권의 책으로 섬세하고 견고하게 묶인 것을 감사하고 축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