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꼭지연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최재숙 글, 김홍모 그림 / 보림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와 꼭지와 연을 따로 떼어놓으면, 그렇게 삭막하고 외로운 단어일 수가 없다.

엄마는 그립고, 꼭지는 외롭고, 연은 홀연하다.

엄마가 그리운 현이는 꼭지연을 만들며 엄마의 젖꼭지를 빨던 그 때 가졌던 그 포근함과 따스함을 조금은 느낄 수 있지 않았을까, 엄마를 좀더 빨리 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지 않았을까? 연이 저 멀리 날아간 그 때, 현이는 이제 엄마를 만날 날이 머지 않았음을 기대하고 있겠지?

 

맞벌이 엄마 아빠를 둔 현이는 어쩔 수 없이 시골 할아버지댁에서 지낸다. 어린 현이에게 그것은 정말 힘든 일일 거다. 그리움이 턱밑까지 올라온 어느 날 할아버지와 함께 연을 만들게 된 현이. 현이 뿐만 아니라 전통 문화를 잊고 사는 어른인 나조차도 연은 방패연과 가오리연 두가지 뿐 더 이상은 아는 바가 없는데 고맙게도 이 책에서 방패연의 이름붙이는 법을 알려준다. 그 뿐이 아니라 방구멍 등 연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할아버지의 조곤조곤한 설명으로 더 알려준다. 설명을 잘 들은 현이와 나는 방패연에 이름을 붙여본다.

 

현이는 꼭지에 엄마 얼굴을 그려넣고 무지개 치마를 입히고는 '엄마꼭지연'이라고 부르고,

나는 꼭지에 하트를 뿅뿅 투사하고는 '하트뿅뿅꼭지연'이라고 부른다.

 

 

 

연을 만드는 과정 속에서 연에 얽힌 이야기와 연 날리기의 의미에 대한 이야기를 잔뜩 귀담아 듣고 할아버지의 안내를 따라 현이와 나는 - 물론 현이는 직접, 나는 상상으로 - 연을 날리러 나간다. 개미를 잔뜩 먹인 할아버지 연줄 때문에 현이와 나의 연은 저 멀리 훌훌 날아가 버린다. 아쉬운 마음도 잠시, 이렇게 날아가는 연이 어쩌면 소원을 들어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며 현이와 나는 미소를 머금는다.

 

"엄마, 내 연 보고 빨리 오세요!"

 

아, 이럴 줄 알았으면 '하트뿅뿅꼭지연'말고 '100억꼭지연'을 만드는 건데..... 아쉬움이 남지만, 연에 대한 많은 정보와 또 따스하고 가슴 아린 이야기를 듣는 것만으로 행복해하며 책장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