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남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2 ㅣ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요 몇 년 한국 근대 소설에 흥미가 생긴 참인데, 이 책은 나의 관심 그 이후인 1960년대에서 2000년대의 소설을 다룬다.
학창 시절, 원작은 읽지도 못한 채 달달 외기만 했던 작품이 얼마나 많았을까? 집에 전집이 버젓이 있었음에도 이 책의 첫 소설가 최인훈의 [광장]을 나는 읽어는 봤을까? 이명준의 이름이 낯익은 것은 읽었기 때문일까 외웠기 때문일까? 로쟈의 글을 읽으며 내가 느낀 것은 내가 그 소설을 '모른다'는 것이다. 뒤이어 나오는 이병주는 이름도 처음 듣는데 한 시대의 대표성을 띤다니 놀랐고, 조세희가 남성 작가라는 점에는 무안함을 느꼈다.
그나마 읽은 작가는 황석영과 김승옥 뿐이라 이 책을 좀더 풍성하게 읽고 싶어 부랴부랴 시작만 했던 이승우의 [생의 이면]을 마저 읽고 김훈의 [칼의 노래]까지 내리 읽었으니 이 책이, 소개한 책을 읽게 하는 힘은 분명 있다 하겠다.
읽지 못한 소설에 대한 내용을 읽는 것과 읽은 소설에 대한 내용을 읽는 것은 천지차이였다. 읽을 땐 고개가 갸웃했던 소설의 어떤 부분이 로쟈의 해석을 통해 명확해지기도 하고 나만의 해석이 생기기도 했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이 안의 소설들을 다 읽고 난 후에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색이 '수업'이니 교과서는 읽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걸 체험했기에 이 책을 모두 제대로 읽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나에게 한국 문학은 여전히 '수업 중'이란 뜻이다. 종강은 내가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