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수 클리볼드 지음, 홍한별 옮김 / 반비 / 2016년 7월
평점 :
어떻게 이 책에 대해 말해야 할지 모르겠다.
일단은 밑줄 문장을 옮기고, [콜럼바인]을 찾아 읽기로 한다.
그후엔 내 생각을 정리할 수 있을까?
미묘한 변화를 알아차리고 끈질기게 물었기 때문에 아이를 구할 수 있었다. 직장동료가 우리 이야기를 알았기 때문에 일이 더 나빠지지 않을 수 있었다는 것을 알고 나는 용기를 얻었다. 이 이야기를 아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면 당연히 훨씬 좋으리라고 생각했다. - P25
이 아이는 내 아들이었다. 내가 내 몸과 마음을 다해 기르고, 감싸고, 사랑했던 사람. - P95
야구를 하면서 딜런은 스포츠맨십을 배웠다. 딜런이 크면서 우리가 바란대로 강한 승부욕도 가라앉았다. 하지만 돌아보면 우리가 적절히 어울려 노는 법을 가르친다는 명분으로 뜻하지 않게 억지로 감정을 억누르게 만든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P122
다른 분야에서 능력이 탁월한 만큼 부모가 자기들의 끔찍한 고통을 보지 못하게 숨기는 일도 잘했다. - P123
지금 돌아보니 딜런이 완벽주의를 타고난 데다 우리가 딜런이 비현실적인 기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돕지 못한 탓에 소외감이 점점 자라났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P143
가장 흔한 까닭으로 드는 게 여자와 남자가 애도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이다. 남자들은 아이가 자라서 어떤 존재가 되지 못한 것을 슬퍼하는 경향이 있고, 여자들은 자기가 기억하는 아이를 잃은 것을 슬퍼하곤 한다. - P209
우리는 딜런을 소중하게 여겼지만 딜런 스스로는 자기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딜런에게는 많고도 많은 길이 있었는데, 에릭의 것밖에는 보지 못했다. - P271
프랭크 옥버그가 나에게 이런 말을 한 일이 있다. "딜런에게는 살인범의 특징이 없지만 살인범과 얽힐 수 있는 취약성이 있었습니다." - P276
특히 돈 문제나 부모의 병 같은 일은 십대의 우울과 자살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이다. 두 가지가 합해지면 위험은 확연히 증가한다. - P290
멍한 표정(자살연구가 토머스 조이너는 "1000야드 시선"이라고 부른다)은 자살이 임박했다는 경고 증상인데 놓치기가 아주 쉽다. - P364
다른 유족들과 같이 있으면 딜런은 자살로 죽은 아이일 뿐이었다. 딜런이 한 행동을 용서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그렇다고 나의 슬픔을 경시하거나 잃은 아들을 그리워할 내 권리를 부인하는 사람도 없었다. - P396
자살 유족 모임에서 몇 년을 활동하면서 교육과 예방으로 목숨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첫 번째 모임과 그 후 수십 차례 모임에 참석하면서 위안이 되면서 동시에 두렵기도 한 깨달음을 얻었다. 누구라도 이 자리에 올 수 있다는 것. - P398
애덤 랭크포드 박사는 "명성, 영광 또는 관심에 대한 욕구"가 총기 난사범의 동기라고 한다. // [난동]의 저자 사회학자 캐서린 뉴먼 박사는 학교 총기 난사범은 "사람들에게 비치는 ‘샌님‘, ‘아웃사이더‘같은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더 매력적인 이미지, 위험하고 과격한 반영웅이 될 방법을 찾는 것"이라며 이미지 변신과 연결시킨다ㅏ. - P424
나는 내가 아는 아이를 기르기 위해 내가 아는 최선의 방식으로 길렀고, 내가 모르는 존재가 되어버린 그 아이를 기르는 최선의 방식은 알지 못했다. - P424
이 모든 일의 근저에는 그저 알고자 하는 욕구가 있었다 어떻게 딜런이, 우리가 키운 딜런이 그럴 수가 있엇는가? - P428
딜런은 여러 면에서 취약했다. 정서적으로 미숙하고, 우울했고, 더 심각한 기분장애나 인격장애에 시달리고 있었을 수도 있다. 톰과 나는 이런 취약점을 알아보고 폭력적 오락, 에릭과 어울리는 것 등 문제를 악화시키는 나쁜 영향을 차단하는 데 실패했다. - P441
아이들에게 자기 뇌의 건강을 잘 살피라고 가르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자기 뇌건강을 건사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나는 몰랐다. 내 삶에서 가장 큰 후회는 딜런에게 그걸 가르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 P4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