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당신들 베어타운 3부작 2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실북스 서평단으로 #우리와 당신들 책을 받고 나서야 부랴 부랴 집에 있던 [베어타운]을 꺼내 읽었다. [우리와 당신들][베어타운]의 뒷이야기이므로 시리즈라 반드시랄 것까진 없어도 읽어두는 것이 이야기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진다.

#베어타운 말은은 '하생하사'이다. 하키에 살고 하키에 죽는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상남자들의 도시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들과 결이 다른 사람들은 좀 버티기가 버겁다. 그곳을 빛낸 사람이기도 하지만 그곳과 결이 조금 다른 페테르 안데르손과 그의 가족은 그곳에서 살아날 수 있을까? 그점이 [베어타운]의 읽는 포인트였다면 [우리와 당신들]은 그들이 그곳에서 어떻게 살아남는가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베어타운]이 케빈 에르달이라는 권력이 있는 이방인과 마야 안데르손이라는 권력이 덜한 이방인의 대립 구도 속에서 베어타운 사람들이 취하는 행동을 통해 인간의 속성을 엿볼 수 있게 했다면, [우리와 당신들]은 추락한 베어타운에 남아 그곳을 지키려하지만 여전히 이방인의 자리에 있는 벤이와 새로운 이방인 엘리자베트 사켈, 그리고 언제나 이방인이었던 안데르손 가족과 아나, 베어타운 토박이인 펠센을 근거지로 모이는 '일당들'이 어떻게 서로 섞이며 서로를 존중해가게 되는지를 인물들의 인생을 끝없이 추락시켜가며 보여준다. 그래서인가 중간중간 내가 걱정하는 인물이 행여 잘못될까 두려워 책장을 덮곤 했다. 그것에는 #프레드릭배크만 식 수사법으로 보이는 대구법과 반복법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사람을 자꾸 조이는 거다 심정적으로. 그것에 대해서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나로선 호다. 사냥몰이 당하는 토끼의 간 같다고나 할까? 아무튼 그러한 프레드릭배크만식 표현이 나는 맘에 들었다. 북유럽식 유머 코드도 잘 맞고.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척 다양했다. 그런 면에서 참 욕심이 많은 작가라는 생각을 한다. 오베 이야기에서 한 사람을 집중적으로 다뤘다고 하던데 그것에 성이 차지 않은지 베어타운 이야기에서는 참말로 다양한 사람의 다양한 주제를 말하고자 애쓴다. 첫번째는 모성애이다. 능력있는 변호사인 미라 안데르손은 남편과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전형적인 슈퍼우먼이다. 그러한 미라를 통해 육아로 인해 죄책감을 느꼈던 이들은 많은 것을 공감할 수밖에 없다. 그런 미라가 아서를 잃고 마야의 사건을 겪으며 보여준 생명력을 보며 과연 나는 저럴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을 했다. 케빈의 엄마도 마찬가지이다. 케빈의 아빠와 달리 케빈의 잘못을 빨리 알아채고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그녀의 모습은 성숙하다. 케빈이 자신을 용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용서할 수 없다, 다만 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답을 한 것도 용감하고 존경스럽다. 그녀가 벤이에게 찾아가 한 말은 아직도 세상의 온 가정에서 남자의 역할보다 여자의 역할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알게 한다. 끝이 없는 가족의 문제, 그 문제를 끈질기게 붙들고 해결하는 것은 대체로 여자들이다. 엄마들. 그것에 공감하기도 하지만 이젠 그 짐을 나눴으면 하는 마음이 더 크다. 작가도 그런 생각으로 썼으리라 믿는다.


두번째는 집단주의이다. 어릴 때 사회 시간에 '님비현상'이라는 용어를 배웠던 것이 아직도 기억난다. 그 말의 생소함 때문이었는지 그 현상의 이해 때문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말은 여전히 우리의 삶 곳곳에 있다. 내 아이를 뛰어난 하키 선수로 만들기 위해 정의를 외면해야 하는 사람들, 내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는 사람들,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모두를 적으로 만드는 사람들은 비단 이 소설 속에만 있지 않다. [우리와 당신들]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소설은 그런 집단 간의 다툼을 다룬 이야기이고, [우리 대 당신들]이었던 원제를 [우리와 당신들]이라고 바꾼 것을 통해 이 이야기가 결국은 화합에 대한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 뭔가 건조한 문장 같지만 적지 않은 분량의 소설을 읽다보면 작가가 무척이나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세번째는 우정이다. 그것도 어릴 때 다져진 우정. 케빈과 벤이의 갈라진 우정. 아나와 마야의 떼어낼 수 없는 우정. 빌리암의 엄마와 보보 엄마의 우정, 보보 엄마와 아맛 엄마의 우정, 미라와 동료 변호사의 우정, 보보와 아맛의 우정, 아맛과 사카리아스, 리파의 우정, 수네와 라모나의 우정 등등 수많은 우정들이 나온다. 그중 일부는 나이 들어 만들어진 관계이지만 대부분은 어린 시절, 그러니까 대체로 열다섯살 즈음에 만들어진 우정이다. 나 역시 그때의 우정을 지금도 여실히 느끼며 산다. 그건 너무 행복한 일이다.

더 많은 이야기를 찾아내라고 해도 찾아낼 수 있을 소설이다. 나처럼 베어타운 이야기로 작가를 처음 만난 사람이라면 작가의 소설을 더 찾아 읽고 싶어질 것이다. 두 권의 소설을 읽는 동안 다른 책은 생각하지 못했을 정도로 몰입하며 읽었다. 사람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사람을 잘 이야기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작가는 분명 사람을, 특히 자기 주변의 사람을 무척 사랑하는 사람일 것이다. 롤러코스터는 아래로 가든 위로 가든 언젠간 제자리로 돌아온다. 프레드릭 배크만이 말하는 인생은 그런 게 아닐까?


 

서로 미워하도록 부추기는 건 워낙 쉽다. 그래서 사랑을 절대 이해할 수 없는 거다. 증오가 워낙 간단하기 때문에 항상 이길 수밖에 없다. 불공평한 싸움이다. - P5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