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디노의 램프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권미선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사회주의 칠레가 쿠데타로 무너지고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 오랜 망명생활을 해야 했던 소설가 루이스 세풀베다는 조국에 대한 향수와 이민자들의 이질감을 소설로 담아냅니다. 돌아가기 어려운 조국과 남미가 전해주는 신비한 분위기 속에서 현실적인 외로움과 차별과 고통이 드러납니다. 그런 어우러짐은 독특한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혼 글누림 한국소설전집 7
한설야 지음 / 글누림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주의 운동이 활발하던 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운동에 적극 참여했던 한설야는 1934년 카프 조직사건으로 구속됩니다. 조직은 무너지고, 대중투쟁도 점차 사그라들고, 일제의 광기는 더욱 심해지는 1936년 한설야는 첫 장편소설인 ‘황혼’을 쓰기 시작합니다. 대중의 삶은 변함없고, 악랄한 이들은 아직도 악랄하지만, 기운을 잃은 지식인은 나약하기만 한 황혼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1940년 한설야는 친일어용단체에 가입합니다. 일제 말기 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고 해방 이후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켄슈타인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62
메리 셸리 지음, 임종기 옮김 / 문예출판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과학은 중세의 어둠을 몰아내고 새로운 빛과 힘을 안겨줬습니다. 신이 쫓겨난 자리를 차지한 지식인과 과학자는 새로운 생명을 창조해서 새로운 신이 되고자 했습니다. 새로운 생명인 프랑켄슈타인은 창조주에게 사랑을 원했지만, 창조주는 그것을 감당하지 못해 스스로 신의 자리에서 내려오고 맙니다. 1818년 영국 소설가 메리 셸리가 만들어낸 소설 프라켄슈타인은 보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는 소설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준식 옥중서한 - 1971-1988
서준식 지음 / 노사과연(노동사회과학연구소)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나오는 책들의 활자크기의 반 정도 되는 활자 크기로 800쪽이 넓게 두툼한 책입니다. 과연 이 책을 읽어 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극적인 이야기 전개도 거의 없고, 인간들 간에 오고가는 관계도 거의 없이 혼자만 주절주절 거립니다. 비전향 장기수 서준식이 썼던 편지들을 모아놓은 이 책을 읽는 것은 정말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인내심이라는 것이 17년의 인내심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면 시도해볼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홀하거나 불량하거나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13
주원규 지음 / 텍스트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열외인종 잔혹사’라는 소설로 한겨레문학상을 받고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독특한 해체주의 신학자인 주원규의 자서전입니다. 아직 나이 사십이 되지 않은 길지도 짧지도 않은 삶을 살면서 그가 겪었던 무수한 방황과 고민과 갈등들이 심각하지 않게 이어집니다. 뒷부분에 자신의 사상을 설명하면서는 조금 늘어지는 느낌이 있지만,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시리즈는 항상 읽는 재미를 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