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어령의 가위바위보 문명론
이어령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이어령을 읽으면, 해박함과 종합력에 감탄한다.
언어에 해박하고, 다종다양한 지식을 섭렵한 대학자의 면모가 뛰어난데,
그것들을 종횡무진 그물 엮듯 엮어내고,
그 그물망들을 총괄하는 '벼리' 역할을 하는 주제를 솎아내는 데 큰 힘을 볼 수 있다.
일본어로 먼저 출간된 책.
어떤 기러기도 선두에 섰다고 우월감을 갖거나
맨 뒤에 있다고 열등감을 갖지 않는다.(50)
중국의 문명을 한반도와 일본열도가 받아들인 것은 당연한 역사였고,
일본의 신문명이 대륙과 반도를 침략한 것도 근대의 귀결이었다면,
이제 새로운 문명은 삼자가 협업하는 것으로 장래를 삼자는 의도의 책인 듯.
시대의 축은 완만하게 하지만 확실하게
도구에서 신체로, 소유에서 접속으로, 실체에세 관계로 옮아간다.
탁월한 문명 비판이다.(275, 다카시나 슈지의 해설)
중국 대륙은 보에 가깝다.
손바닥은 넓음과 동시에 관용과 덕을 만들어낸다.
일본은 주먹이다.
여유보다는 긴장, 확대보다는 축소 지향이다.
한국의 가위는
밸런서의 역할로서 통합의 역할이다.(231)
불교의 원, 융, 회, 통과도 상통한다고 푼다.
순환관계가 원이고,
열린 손바닥과 닫힌 주먹의 가운데
반은 열리고 반은 닫힌 가위가 있다. 융이다.
혼자서 할 수 없어, 동시에 내는 회,
승부를 받아들이는 통.(85)
상징의 최고봉은 주역이 아닌가 싶다.
플라톤의 2원론에서 출발한 2개의 문명론보다는 당연히 3원론이 다양하고,
주역의 4원, 8원론이 더 다양하지만, 자칫 복잡하다.
일본 대한화사전에서
눈목변 740, 발족변, 670, 귀이변 217개에 비해,
손수변 1307개, 입구변 1458개의 한자가 발견된다.(86)
인간의 행동에서 손과 입이 그만큼 큰 역할을 한다는 근거다.
일본 문화는 국화와 칼의 이중성보다
'배'와 '우'의 이중구조에 그 특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있다.
가위바위보는 '우'에 대한 '배'의 문화를 정확히 보여주는 것.(125)
배우에서 '배'는 희극, 코믹, 비속한 것을, '우'는 우아, 비극을 담당한다 한다.
일본을 이해하기 위한 책이라는 '국화와 칼'의 양면성은
일본이라는 나라를 나타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칼의 민족이라기에는 패전 후 너무 피해자 코스프레로 일관하는 모습이 그렇다.
그들은 잘나갈 때는 '배'에 가깝고, 지면 바로 '우'가 되는 쪽의 해석도 일리가 있다.
가위바위보의 자르다, 감싸다, 치다의 역학관계는
승부 순환이다.
분별하여 자르는 지, 부드럽게 감싸는 덕, 적극적 공격의 체.(148)
문명은 변화한다.
순환하고 발전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그것을 해설하기는 쉬워도 예측하기는 어렵다.
누군가는 중국의 '굴기'(우뚝 선다)를 예측하기도 하지만,
앞으로의 외교는 대결보다는 조화와 화해를 통한 상생이 중요할 듯 싶다.
섬나라 일본이 반도와 연결을 간절히 바라는 것 역시 필연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박정희처럼 꼼수를 쓰는 독도 밀약의 독재자도,
쥐나 닭처럼 국익보다는 사익을 도모한 치사한 것들도 역사의 뒤켠으로 밀어버려야 한다.
김정은이 대화에 나선 것은 단순한 일도 우연한 일도 아니다.
필연적으로 세계의 중심으로 동아시아가 등장하게 되는 21세기를 예감하게 한다.
뒤편의 일본어 서적은 왜 붙여 두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괜히 책이 무겁고 값만 비싸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