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도구가 되어 보세요!

    한겨레신문 2006. 10. 31 권복기


나무를 싫어하는 분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셸 실버스타인의 그림책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보면 아낌없이 주는 사랑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랑이 책을 읽는 사람의 마음에 울림을 줍니다.

이 책에서 알 수 있듯이 나무의 삶은 성자의 삶과 닮았습니다. 나무는 자신의 환경을 탓하지 않습니다. 어디에 심어졌든 묵묵히 자라 봄이면 싹을 틔워 여름이면 그늘을 만들어 냅니다. 이산화탄소를 들이마시고 동물에게 이로운 산소를 뿜어냅니다.

제가 좋아하는 한 선배는 나무를 ‘내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나무는 햇빛을 피하는 그늘도 되고, 성글지만 비를 피하는 우산도 됩니다. 아이들 놀이터도 되고 그네를 매는 기둥도 됩니다. 베어져서는 집을 짓는 재료나 땔감으로도 쓰입니다.

어디에 쓰여도 좋은, 내가 없는 마음이 바로 나무의 마음입니다. 프란체스코 성인께서는 당신을 평화를 위한 도구로 써 달라고 하늘에 기도하셨습니다. 도구는 무엇이 되겠다고 주장하는 게 아닙니다. 무엇이 되어도 좋다는 마음, 바로 그게 나무의 마음이 아닐까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내가 무엇이 되고자 하지 도구로 쓰이고자 하지 않습니다. 조직 안에서도 빛나고 훌륭한 일만 하려 하지 궂은일을 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나를 넘어 모두를 위한 어떤 도구도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세요.

나라는 생각이 없어 나무는 수승화강(水昇火降)이 됩니다. 물 기운이 위로 올라가고 뜨거운 기운은 아래로 내려감을 뜻합니다. 건강한 사람이 그렇게 됩니다. 머리는 시원하고 아랫배는 따뜻한 것이지요. 그런 나무의 마음으로 살아보세요. ‘나’라는 생각 대신 우리를 위해 산다고 생각해보세요. 나뿐만 아니라 자신의 몸담고 있는 조직도 함께 좋아집니다. 건강도 좋아집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6-11-09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닉네임과 서재소개문이 변신한 11월 저녁에요
나무라.....요즘 저 하는 일과 상통합니다.
근데 왜 닉네임을 바꾸셨을까요...

글샘 2006-11-09 2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 만우절도 아닌데...
한글로 써 놓고 보니깐, 반월 공단(지금은 안산인가요?)에 있는 삼성 아파트 주민같네요. ^^

드팀전 2006-11-10 0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이 훨씬 정이 가네요.저는.왠지 무슨 도사나 무협지에 나오는 주인공같아서..끙
곧 익숙해지겠지요.

글샘 2006-11-10 0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바꿔 본 겁니다. ^^ 저도 영 이상하긴 해요.

프레이야 2006-11-15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바뀌었네요. 이미지와 닉네임이 바뀌니까 완전 새로운 느낌이에요. 인터넷의 장점일까요. 아무튼 아기자기한 맛에 귀여움까지.. 좋아요.
나,무,에 대한 색다른 해석이네요. 신선합니다.^^

글샘 2006-11-16 0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을 한 5년 썼더니, 그게 내 이름인 것 같애서... 바꿔버렸습니다.
뭐든지 오래 쓰면 거기 애착이 붙고, 욕심이 나고 그래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