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을 읽는다
박희병 지음 / 돌베개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암 박지원의 글에 참 오래도 매달렸다.

정민 선생님이 풀이한 글 이전에도 열하 일기를 읽었고, 고미숙의 잡담도 읽었고, 박지원의 삶에 대한 글도 읽었고, 논문도 몇 편 봤고...

그랬는데, 여전히 박지원은 전체적인 모습을 읽기 어려운 인물이었다.

내가 기다리던 책이 바로 이런 책이다.

인문학이란 바로 이런 책을 쓰는 학문이다. 오랜만에 읽고 나서 사고 싶은 책을 만나다. 역시 가을을 독서라기 보다는 지름신 강림의 계절인 모양이다. 벌써 책을 마구 사고 있다. 박정만 시 전집, 리영희 21세기 아침의 산책... 비싼 책으로만...

내년 봄쯤 다시 읽고 싶어지면 사 두고 싶다.(학교 도서관이 있는 나로서는 좀 배부른 꿈이지만...)

아니, 이 외에 박희병 선생이 쓴 책을 더 사야겠단 생각이 든다.

열하일기의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글을 읽어 보면, 그럴 듯 하지만, 솔직한 심정으로 국어 교사인 내 주제에 열하 일기를 읽는 일은 고역이었다. 난 내가 책을 읽어 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쉽게 책을 권해 주지 못한다. 열하 일기 같은 책이 권장 도서 목록에 들어있는 것은 웃기는 일이다. 책 읽지 않는 어른들이 만든 권장 도서 목록은 쓰레기다.

낱말 풀이가 각주로 가득하게 붙은 열하 일기를 읽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소설도 아니고, 중수필에 가까운 200여년 전의 이야기를 술술 읽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내가 알지도 못하면서 깔보는 들뢰즈... 따위를 들먹이는 고미숙의 열하일기는 슬펐다. 열하일기에 다가가서 박지원을 보기 보다는, 박지원과 연관된 에피소드를 읽은 느낌이어서 목마를 때 달착지근한 음료수 마시고 더 목말라 진 경험처럼 아쉬움을 남긴 책이었다.

정민 선생님 책은 풀이가 있긴 한데, 원문과 풀이가 거의 비슷하다 보니 깊게 읽기는 어렵다. 그런 식으로 읽어서는 연암을 이해하는 데 별로 도움이 안 된다.

이 책의 장점 1. 한문 원문을 팽개쳤다. 학자라면 쉽게 구할 수 있는 그 한문 원문은 사실 일반 독자에겐 필요없는 것이었다.

장점 2. 짧은 글이라도 문단을 나누어, 문단별로 내용을 주해하고, 평설을 붙인 뒤, 총평을 함으로써 작품의 부분적 이해와 전체적 이해를 아우르게 한다. 필요한 고사도 적절하게 풀이해 준다. 각 문단이 어떻게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기능하고 있는지도 정확하게 집어 준다.

장점 3. 연암의 매력을 끈적거릴 정도로 잘 느껴지게 한다. 연암의 글솜씨, 그 표현력, 호방함, 그리고 연암이 그 시대와 맞물려 가장 뛰어난 글쟁이인 이유를 이 책을 읽으면 연암에 반하지 않을 수 없도록 잘 적고 있다. 산문을 적으면서 운문의 상상력을 집어 넣고, 갖가지 역설, 알레고리, 비유, 해학으로 상징 가득한 연암을 이 책처럼 잘 느끼게 하기도 쉽지 않다. 그의 언에에 대한 쇄신이 사상의 쇄신에 연결된 것임을 깊이있게 드러낸 수작이다. 

장점 4. 짧은 글들을 적절한 길이로 설명함으로써 독자를 기죽게 하지 않는다.

대략 생각나는 것만 적어 보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 공부 잘 하는 아이들이 인문학부, 자연학부에 가득해야 그것이 선진국임을 절실하게 느낀다.

돈 잘 버는 의사, 법조인들이 국가에 기여하는 바는 얼마나 될까?

국가의 경쟁력은 바로 이 기초 학문이 아닐까?

말로만 온고이지신을 외친다고 예전 것이 갑자기 돈이 되거나 힘이 되진 않는다.

인풋이 없는 아웃풋은 없다.

박지원 같은 씽크 탱크를 요리조리 요리할 수 있는 학문적 바탕이 그 나라의 힘을 펼치는 데 얼마나 큰 콘텐츠가 될 것인지... 온고지신 하지 못한다면, 맨날 남의 뒤꽁무니나 쫓아다녀야 할 것일 뿐인데...

이런 복잡한 생각들이 얽히지만, 박희병 선생님의 안내를 받으며 연암을 느끼는 동안은 즐거움과 흥분됨으로 사색적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런 주례사 비평을 자주 쓸 수 있다면 이 가을, 정말 행복할 것이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일레스 2006-09-18 1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희병이라는 분, 학적으로 굉장히 엄격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분인 것 같습니다. 작년에 나온 [韓國漢文小說 校合句解]라는 책 서문에서는 이런 말을 하셨죠.
"한국에서 정밀성의 문제는 비단 학문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것은 물건 만들기, 집 짓기, 다리 건설하기, 도로에 줄 긋기 등등 사회경제적 부문에서도 우리를 이류로 만드는 요인이다. 이 점에서 학문은 별건물(別件物)이 아니요, 사회와 나란히 가는 것이라 할 만하다. 한국학이 안고 있는 이 정밀성의 부족이라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21세기의 초두인 지금부터 우리의 자세를 가다듬어 교감주석학을 정당하게 복원시킬 필요가 있다."

글샘 2006-09-18 17: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정밀성의 문제는 바로 인문학적, 자연과학적 치밀함을 두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대충대충 따라하기가 학문에선 쥐약인 걸 아시는 분이죠.

해콩 2006-09-18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야지!!

글샘 2006-09-19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0^님... 저도 박지원 팬입니다. 꼭 읽어 보세요. 여느 책과 격이 다르답니다. 과찬이시옵니다.
해콩님... 사세요.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잘 사시죠?

석란1 2006-09-21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고미숙씨의 <열하일기, 웃음과...>는 읽었는데요. 그 책을 통해서 박지원은 처음 만났었습니다. 단순한 저는 고미숙씨가 들뢰즈를 들먹이길래 또 <들뢰즈의 생명철학>을 샀습니다. 무식에서 탈피해 보려고.

글샘 2006-09-21 0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석란님... 고미숙이 쓴 책의 얕음에 대하여 이 책에서는 꾸짖고 있습니다. 박지원을 들뢰즈로 읽을 수도 있는 것이지만, 퓨전의 깊이는 전통의 깊이와 비교할 수 없는 것이니까요. 전통은 영원한 것이지만, 퓨전은 일시적인 거라고 생각해요.

석란1 2006-09-22 2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네요. 하나를 배우면 둘을 깨우쳐야 하는데, 저는 하나를 알았나 싶으면 어느새 둘,셋이 멀어지는 느낌입니다.

글샘 2006-09-23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석란님... 하나를 배우면 둘을 잊는 건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 최근의 학문 경향이 퓨전으로 가는 것을 박희병씨가 지적하고 있어서 한 말이랍니다.

역전만루홈런 2006-10-12 1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 학기에 고미숙 선생님에게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그래서 교재로 쓰는 <나비와 전사>로 통해 뭐랄까, 고미숙 선생님이 다루는 것들에 대해 조금씩 알게 되는데요, 연암도 매우 흥미롭더군요, 고미숙 선생님이 쓴 열하일기를 읽어볼려고 마음먹고 있었는데, 이책의 리뷰를 읽어보니 아주 끌립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글샘 2006-10-12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미숙 선생님의 열하일기 독법은 한 방법은 될지언정,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열하일기를 모르면서 아는 체하도록 만들기 쉬운 무서운 책이죠.ㅎㅎ

역전만루홈런 2006-10-12 1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느낀 점이 그것입니다.. 도서관에서 훑어보니 연암의 글들을 여기저기 인용하면서 글을 풀어나가면서 껍데기는 훑어보는 것 같았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지 못하기에 그 텍스트만 제대로 보고 싶은 맘이 있었는데, 이 책이 마침 잘 걸려든 것 같습니다.. 방금 도서관에서 훑어보니 딱입니다..^-^
그래도 고미숙 선생님으로 인하여 연암을 조금이나마 알게되고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니 고마울 따름이죠..
이 책 읽고 다시 오겠습니다..정말 공부할 것은 너무 많습니다..^^;

글샘 2006-10-12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습니다. 정말 공부할 것은 너무도 많은데...
박희병 선생님 책 읽고 나면 정말 감사할 일이라 생각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