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용 - 21세기 시선으로 읽는 동양고전
박찬근 지음 / 청년정신 / 2025년 9월
평점 :
대학, 중용을 공부한지 10년이 넘었다. 늘 동양고전을 공부하고 있지만 언제나 나의 부족함을 통감한다. 여름이 끝나갈 즈음, 건널목을 빨리 건너려고 달리다가 넘어져서 왼쪽 다리를 다쳤다. 덕분에 두어달 동안 향교에서 하는 한문 수업을 휴강했다. 6월에 [대학] 수업을 종강하고, 7월부터 이어서 [중용] 수업을 하고 있었다. 두 달을 쉬고 10월 들어 다시 강의에 나가고 있다. 대학 중용은 10년전에 이어서 2번째로 공부하는 샘이다.
[21세기 시선으로 읽는 동양고전 중용]은 중용을 어떤 시각으로 해석해 놓았는지 궁금해서 읽었다. 향교에서 하는 수업은 한문 원문을 독해하면서 읽는다. 뜻 풀이를 하고 다같이 소리내어 따라 읽는다. 전통적인 수업방법이다. [21세기 시선으로 읽는 동양고전 중용]은 처음엔 <주자의 주석으로 읽는>이라는 챕터로 일단 원문을 해석한다. 같은 문장을 <현대적 해석>을 내용에 대한 세밀한 해석을 덧붙였다. 이렇게 끝나지 않고 <일상의 중용 실천>이라는 소제목으로 일상에서 중용적 실천을 어떻게 하는지 예를 들어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나를 바꾸는 질문>이라는 챕터에서는 세가지 정도의 질문을 제시하여 독자가 스스로 내면을 중용의 뜻을 생각하며 성찰해 보도록 이끌고 있다.
이렇게 읽다보니 한문장을 여러번 되세길 수 있어서 머릿속에 오래 남는 것 같았다.
중용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은 "天命之謂性이요,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일 것이다. 해석하자면 "하늘이 명해 준 것을 본성이라 하고, 본성에 따름을 도라 하고, 도를 마름하는 것을 가르침이라 하느니라." 라는 내용이다. 너무나 유명한 문장이라 중용을 모르는 사람도 이 문장은 다들 들어봤을 것이다.
나는 특히 "修道之謂敎'를 좌우명으로 삼고 실천하려고 노력한다. "나를 갈고 닦는 것을 일컬어 가르침이라고 하느니라. "내마음대로 이렇게 해석하고 가르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는 나의 좌우명을 삼았다. 여기에 더 나가서 누구를 가르친다기 보다 늘 그들에게서 배운다는 생각을 놓지않으려고 애쓴다.
그 다음 내가 가장 중용에서 아끼는 문장은 "博學之하며 審問之하며 愼思之하며 明辨之하며 篤行之니라."이다.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히 생각하여 명백히 분별할 것이며, 독실히 행하여라는 내용이다.
사실 중용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誠이다.
誠者는 天之道也요 誠之者는 人之道也니 誠者는 不勉而中하며 不思而得하여 從容中道하나니 聖人也요 誠之者는 擇善而固執之者也니라. 중용에서 말하는 誠에 대한 해설이다. 朱子는 眞實無妄함을 誠이라하며, 이는 천리의 본연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중용의 모든 문장이 참으로 좋다. '下學而上達(형이하학을 실천해야 형이상학에 이른다)' 이라는 공자님 말씀대로 좋은 글을 배웠으니 독행(篤行)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