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水巖 > 문제는 99% 부모에게 있다
현명한 부모들이 꼭 알아야 할 대화법
신의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8월
구판절판


아이가 왜 그렇게 심한 반항아가 되어 버렸을까?
가장 큰 원인은 끊임없이 엄마가 무서운 표정으로 '하라', '하지마라'하고 말하면서 아이의 자율성을 해치고 간섭한데 있다. 사소한 일부터 큰 일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기준을 강요하는 엄마에게 맞추느라 지친 아이는, 자신의 자유 의지를 '반항'이라는 모습으로 내 보였던 것이다.
아이들ㅃ뿐 아니라 인간은 누구나 자기가 주체적으로 무언가 선택하는 대신 그저 끌려가야만 할 때 반항적이 된다. 자율성을 침해당하는 것만큼 사람에게 무력감과 좌절감을 갖게하는 일이 없다. 비록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들이 슷로 어떤 선택을 한다는것이 불가능해 보일지 몰라도, 선택권을 박탈당한 아이들의 좌절감은 생각보다 크다. -59~60쪽

특히 만 두 살쯤 되면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어하는 성향이 극도로 강해지기 때문에 부모가 잠시 눈을 뗀 사이 순식간에 위험에 처하곤 한다. 그런데 이때 혼내는 말을 어떤 식으로 하느냐에 따라 반항적이 되느냐 마느냐가 결정된다.
만약 부모가 " 야! 하지마!" 하고 강하게 혼을 냈다고 하자. 그다음부터는 아이를 제재하가 위해 더 강하게 나가야 한다. 아이들에게는 엄마 말을 들어서 안전해졌다는 사실보다 자신의 자유 의지가 침해당했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기회만 있으면 자신의 자유 의지를 발휘하려 들것이고, 따라서 같은 상항이 또 벌어지게된다.그렇게 되면 고함을 쳤던 부모는 매를 들어야 하고 다섯 대로 아이를 다스렸던 부모는 열대 스무대를 때려야 하는 상항에 처한다.-60쪽

1. 아이 감정에 둔감한 부모
내가 가장 심각한 부모 유형으로 꼽는 것이 바로 아이의 감정에 둔감한 부모다. 아이앞에서 소리를 지르고, 크게 화를 내고 나서는 아이가 놀라서 떨고 있는 걸 보지 못하고 자기의 불쾌한 기분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모가 이에 속한다.

그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표정이 거의 없다. 눈도 장 맞추지 못하고 엄마에 대한 태도에 기복이 심하다.

사람들과 어울려 노는 사회성이 떨어지는건 물론이며 더 자라면 심한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66~67쪽

2. 잔소리를 참기 어려워 하는 부모
그래서 잔소리 많은 엄마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 엄마가 잔소리의 형태로 사사건건 자율성을 침해했기 ‹š문에 늘 자기가 하는 일에 확신이 없고 '틀리면 어떡하지?' , '안되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에 시달린다. '안되도 할 수 없지.' 하는 대범함을 갖지 못해서 잘못하다가는 엄마보다도 더 걱정거리가 많은 아이가 되어 버린다.
-70쪽

3. 말로 표현을 잘 못하는 부모
한마디로 말하면 폭력적인 부모다. 아이가 자기 마음대로 안 드는 행동을 했을 때 말로 차근차근 타이르는 대신 손부터 올라가거나 소리부터 지르는 사람들, 흔히 '불같은 성질', '욱하는 성미'를 가진 엄마들, 가부장적인 권위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집안의 제왕으로 군림하는 아빠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이 바로 학교 폭력의 가해자가 된다. 자신이 부모에게 당한 것만큼 주변에 있는 약한 친구들을 괴롭히는것이다.-71쪽

4. 자신의 말을 어기는것을 못 견뎌 하는 부모
시댁 어른들에게 꼼짝 못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불쾌한 감정을 내색하지 않아 싫은 소리를 잘 못하는 엄마, 직장 상사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몸에 배어 있는 아빠들이 여기에 속한다.
그들은 자신보다 높은 권위에 납작 엎드리는 ㅁㅁ만큼 자기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이 자신에게 복종해 주기를 바란다. ㅡ 중략 ㅡ
이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냉소적이 되거나 극도로 반항적이 되기 쉽다. 앞서 보았듯이 이런 부모들은 자기가 어떤 경우에 아이를 못 받아들이는지를 분석해서 자신의 생각부터 고쳐야 한다.-72~73쪽

5. 자식에게 하소연을 일삼는 부모
" 안 그래도 힘든데 너까지 왜 이러니?"
" 엄마, 아ㅃ빠가 너 키우느라 얼마나 고생하는지 알아? 그러니까 공부 열심히 해."
ㅡ 중략 ㅡ
자식에게 하소연 하는 부모들은 자신이 겪는 아픔을 아이를 위해 이겨내기보다는 아이를 그 고통을 나누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한다.
이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일찌감치 애 어른이 된다. 이혼한 가정의 아이들, 매 맞는 아내의 아들 딸들 중에 이런 아이가 많다.
-73~74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6-27 2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런 부모가 되지 않으려면 어떡해야 되는걸까요? 끊임없이 간섭하지 않기란 참 쉽지 않습니다.

또또유스또 2006-06-28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목조목 저를 두고 하는 말...
부끄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