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동화 - 아는 힘을 두 배로 키워 주는 17가지
이영 지음 / 동화사(단행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동화에 자꾸 뭔가 이름이 붙는 게 신경쓰인다. 과학동화, 수학동화, 인성동화... 이제는 철학동화까지 나왔다. 철학하기는 생각하기라는 공식에 따라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철학하기가 하나의 트렌드처럼 되었다. 그만큼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도외시한 까닭인지, 복잡다양해지는 오늘날의 세상에서 이 많고 많은 문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인지, 철학은 마치 수학이나 과학 같은 학과처럼 마땅히 배워야할 분야가 된 것 같다.

이 책은 <아빠 몸 속을 청소한 키모>를 쓴 이 영 선생이 썼다. 나는 이 동화를 참 재미나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기발한 상상으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인체 모험의 이야기였다. 그러면서 따스한 마음이 전해져오는 이야기여서 아이들도 흥미롭게 읽었다.

<철학동화>는 모두 17가지의 생각거리를 짧은 동화를 통해 제시하고 그에 대한 답을 생각해보게 한다. 크게는 사람, 사회, 동물, 환경, 종교를 주제로 한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 사회가 잘 되기 위해 필요한 요건들, 즉 우리라는 공동체의식, 올바른 정의란 무엇일까 같은 것들이다. 또한 산의 주인은 누구인가, 절대자에 대한 생각, 그리고 인간의 희생심이란 어디까지가 고귀한 것인가 같은 깊은 생각들을 해 볼 수 있게 한다.

인간에 대한 탐구를 철학의 대상으로 삼기 시작한 소크라테스를 의식하여 이 동화의 전체 이야기에 소선생님을 등장시킨다. 소선생님과 첨단이를 비롯한 아이들의 에피소드를 통해 이야기에 쉽고 구체적을 다가가게 한다. 그런 다음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생각의 씨앗을 심어주는 꼭지가 있다. 그 다음엔 더 확장된 생각으로 유도하는 몇몇 질문들을 하는 꼭지가 있어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을 펼쳐보게 한다.

이 동화는 평소에 별로 해보지 않고 무심코 살고 있는 생각들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보게 한다는 점에서 점수를 주고 싶다. 5학년 아이들과 읽었는데 생각하기를 싫어하는 요즘 아이들이 높은 수준의 사고지점까지 가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나름대로 생각의 나래를 펼쳐서 자기 주관을 정립해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된다.

아이들은 아닌 것 같지만 내가 가장 기억에 남는 글귀는 죽음에 대한 것이다. 죽음은 '우리들의 몸에 있어서 가장 최후의 커다란 변화' 라는 대목이다. 죽음을 '변화'라고 정리한 것은 죽음도 역동적인 삶의 한 부분임을 역설하는 대목이 아닌가. 몸과 마음이 함께 살아가는 게 삶이라면 죽음은 몸은 사그라들었지만 영혼만으로 살아가는 것, 즉 '육체가 없는 영혼만의 생활이 시작되는 것, 살아있는 죽음'으로 명명하고 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며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라는 작가의 말이 아이들에게는 깊은 인상을 주는 듯했다.  

동화는 순수한 문학의 한 장르이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목적을 띤 동화들이 XX동화라는 이름을 달고 많이 나오고 있다. 순수한 다른 과목을 이해, 학습시키기 위해 동화라는 도구를 쓰는 것을 어떻게 생각해야할지 가끔은 난감하다. 이런 식의 동화를 읽고 나면 당연하게도 동화의 이야기구조를 가지고 독후활동을 하는게 아니라 그 안에 숨겨둔 내용, 즉 목적으로 하고 있는 타과목에 대한 내용을 가지고 활동을 하게 된다. 그러다보면 아이들은 동화 한 편을 읽고 또 다른 공부를 하고 있는 셈이다.

어렵거나 아이들이 꺼리는 과목을 학습시키려는 목적으로 동화를 이용한다면 동화의 장점을 증명이 된 셈이다. 동화는 아이들에게 가장 친숙하고 사랑받는 글임에 틀림없다. 사실 이런 동화보다 이야기구조를 갖추고 아이들이 추리와 상상을 하며 진한 감동이나 인식을 할 수 있는 동화 한 편이 더욱 그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5-12-14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종의 기획동화같아요. 하지만 어려운 내요을 동화로 풀어 아이들이 좀더 쉽게 접근한다면 좋은 일이죠

반딧불,, 2005-12-14 14: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렇습니다. 너무 난무하는 것이 정말 싫습니다.
그냥 좋아야 하고, 재미있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현실이 너무 안타깝고 아이들이 불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