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랄슨 선생님 구하기 ㅣ 내인생의책 책가방 문고 6
앤드루 클레먼츠 지음, 김지윤 그림, 강유하 옮김 / 내인생의책 / 2004년 1월
평점 :
표지의 그림이 의미심장하다. 흐뭇한 미소를 띄며 달걀을 깨뜨리는 요리사와 그 안에서 난처한 얼굴을 하고 튀어나오는 작은 사람이 있다. 알껍질을 깨고 나오는 사람은 무엇으로부터 나오는 것일까. 제목에서 보면 랄슨 선생님이 뭔가 어려움에 처했나보다 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이 책은 신문, 특히 사설의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가치있는 사설의 요건 같은 것을 생각해볼 수 있는 쉽지 않은 동화다. '정직과 자비' 가 사설의 마음이 되어야한다는 것을 한 초등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알려준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예리한 눈으로 보고 잘못을 지적하되 따뜻한 시선으로 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의미다.
초등 6학년 아이들과 이 책을 읽었다. 다소 어렵다고 느낄 수 있는 단어들이 많이 나와 용어를 설명해 주어야 하고 사건이 복잡해지면서 읽기 어려워하는 아이도 있었다. 하지만 독서력이 좀 있는 경우라면 아주 재미있어 한다. 주제를 잘 파악했나 보려고 책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를 말해보라고 하니까 쉽게 대답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제법 있었다. 책을 보여주기 전에 미리 약간의 설명을 곁들일 필요가 있겠다.
이 책의 주인공은 카라와 랄슨선생님이다. 하지만 주인공의 주변에서 그들을 돋보이게 하는 인물들이 있으니, 카라와 랄슨에게 방향전환의 계기를 마련해주는 인물들이다. 조언자 역할의 카라 엄마와 랄슨의 아내 그리고 적대자인 반즈 교장이다. 하지만 위기를 발전의 기회로 포착할 줄 아는 현명함을 지닌 사람 또한 카라와 랄슨이다. 그들이 사설에 대하여 나누는 대화는 멋지다. 랄슨은 콕콕 집어주는 질문을 통해 카라로 하여금 마음의 짐을 덜게 하고 반아이들 전체에게는 사설의 중요성과 의미를 알게 한다. 선생님의 의도를 알아채고 똑 부러지게 자신의 소신을 밝히는 카라와 그런 대답을 유도하며 정곡을 찌르는 질문을 던지는 랄슨 모두에게 박수를 보낸다.
청문회장에서의 반전은 통쾌하고 흐뭇하다. 헌법 21조에도 명시되어있는 언론의 자유 그리고 언론의 의무에 대하여 생각해보게 한다. 아이들이 내릴 수 있는 간단한 결론은, 언론의 자유란 반즈교장처럼 검열을 할 수 없는 것이고 언론의 의무란 개인의 인권까지 침해하는 언론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말한다. 요즘은 신문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언론의 자유가 넘쳐난다. 책임있는 언론의 힘에 대해 진지한 물음을 던져볼 수 있는 책으로, 초등 고학년에게 재미와 함께 신문(언론) 제대로 보기의 첫걸음이 될 수 있겠다.
마음을 가진 신문, 그 마음이 잘 드러나는 사설.. 랜드리뉴스의 편집장 5학년 카라 랜드리의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