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아침 7시에 요가를 하고 집에와 희원이 학교 보내고, 희령이 유치원 갈 준비해서 셔틀 태우고, 특강을 들으러 갔다. 내용은 <책 만들기>인데 독서지도할 때, 혹은 방학 과제물로, 혹은 평소에 그냥 재미있는 추억거리로, 여러모로 응용하여 활용하면 참 좋을 것 같다.

<<책을 읽는 것과 책을 만드는 것은 서로 다른 정신 활동을 필요로 한다. 책을 읽을 때는 지은이의 생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내 것으로 재해석해서 받아들이면 된다. 그에 비해 책을 쓰거나 만들 때는 훨씬 차원 놓은 지적 작업이 요구된다. 그런 이유로 책 만들기 과정은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체험 과정이라고 말한다.

책 만들기는 단순한 종이접기나 그리기 또는 글쓰기 작업이 아니다. 한 권의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책 만들기는 다양한 정보를 흥미롭고 적극적으로 즐기며 표현하는 활동이다. 또한 일률적인 형식과 내용을 지닌 상업화된 책과 달리,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책을 만든다는 것이 '책 만들기'의 매력이다.>>

책 만들기의 교육적 가치로는 <* 자료수집과 정리를 통해 지식을 얻는다. * 자료를 선별하고 재구성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흥미가 없는 분야도 책을 만들면서 흥미를 갖게 된다.  * 창의적인 사고력과 상상력을 길러준다.  * 자발적인 읽기와 쓰기를 통해 읽기와 쓰기 능력을 발달시킨다.  * 스스로 만족감을 느낀다.> 정도로 요약된다.

<<책 만들기의 실제>>

책을 만들기 전에 준비하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역사적인 사실이나 과학적인 정보 같은 특정한 주제를 다룰 경우에는 좋은 아이디어를 모을 수 있도록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 전부터 미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글을 써보는 시간을 갖는다.

<주의사항>

* 종이를 접을 때는 선이 또렷하게 나타나도록 손톱 끝이나 자 등으로 꼭꼭 누르거나 훑는다.

* 효과적으로 책의 모양을 잡기 위해서는 접는 부분을 명확하게 해둔다.

* 자르는 선은 실선, 접는 선은 점선이다.

 

<자료 책 만드는 순서>

주제 선정하기 / 자료 수집 / 책의 형태 결정 / layout 잡기 / 만들기 / 책표지 만들기

<이야기 책 만드는 순서>

이야기 쓰기(또는 선정하기) / 책의 형태 결정하기 / 이야기를 단계별로 나누기 / 단계별로 중요장면의 그림을 그리거나 꾸미기 / 내용을 간단하게 쓰기 / 책표지 만들기

 

## 기본책 만들기부터 3가지의 기본응용책, 비밀일기장, 액자책, 계단책, 지그재그책, 솟아오르는 책(pop-up book) 까지 만들었다. 준비물로 챙겨간 색상지와 가위, 칼, 리본 같은 것으로 접고 오리고 끼우며 학생이 된 것 같았다. 각각의 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면서 그림으로 그려보여주어야 하는데, 이곳에 그 내용을 다 올리기는 내 한계상 어렵다.

동시, 역사, 인물, 음악, 과학, 동화쓰기, 이야기단계별 요약, 화첩... 어느 영역이든 책만들기 작업으로 통합접근을 시도하면, 틀에 박히기 쉬운 독서활동이 다양하며 활동적인 시간으로 흥미로울 수 있겠다. 무엇을 안다는 것은 시각으로 인식하는 게 90%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보다 더 좋은 자료가 없을 것 같다.

게다가 아이들과 어른이 함께 참여하며 손수 하는 활동이니만큼 아이들간에는 물론, 아이와 어른의 유대관계도 더 좋아질 것이다. 색색의 고운 종이로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계단책은 내용을 찾아보기에도 좋고 보는 것만으로도 무지개를 보는 기쁨이 일렁인다. 솟아오르는 책은 두께가 있는 종이를 선택하여 책장을 펼치면 힘차게 톡~하고 튀어오르게 하는 게 중요하겠다.

'메이킹북, 한 장의 종이로 만드는 팝업북 31가지(폴 존슨 지음, 김현숙 옮김, 아이북펴냄)' 라는 외국책도 참고해 볼만 하단다. 하지만 종이의 규격이 우리 것과 달라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기본에서 응용은 자유자재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길'이라는 주제로 선생님이 만들어 놓은 책을 보여주셨다. 유독 '길'이라는 말을 좋아한다며 '길'에 관한 시에서부터 여러가지를 모아두었다. 이 책은 끝이 난 게 아니라, 계속 되고 있다며 뒷장을 흔들어 보여주었다. 한 달에 한 권쯤, 아니면 일년에 두 번 방학을 이용하여,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만의 책 한 권을 아이 스스로 만들어보는 뿌듯함을 선물해 볼까나.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oninara 2004-03-16 14: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책만들기 특강 들었어요..그래서 아파트문고에서 제가 강의도 했답니다..^^
엄마들 일곱명 모아서 한 조촐한 강의지만..
혹시 저와 같은 분에게 들은거 아닌가요? 책만들기가 아직 일반화 된것은 아니라고 하던데..
일산 사시는 여자 선생님에게 들었어요..영국에도 다녀왔다고하시더군요..책만들기 공부로.
지난 여름에 안양시청에서하는 학교도서관자원봉사자를 위한 3일짜리 강의에서 들었습니다 ..(저는 학부모도 아니면서 얼떨결에 따라갔답니다)

프레이야 2004-03-16 1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변옥* 님인데, 글쎄요...
전 원래 뭘 샤브작샤브작 만들기를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요, 아이들은 좋아하드라구요.
엄마의 취향때문에 아이들이 뭘 해보지도 못하면 안 되겠다 싶어요.
수니님은 역시 아파트에서도 인기짱이겠어요^^

책읽는나무 2004-03-16 1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검은비님이나 여러님들의 아이들 책을 만들어주는 페이퍼를 구경하면서 참 멋있다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세상에서 내아이를 위한 단한권의 책!!.....나도 만들어주고 싶단 생각만 했지...어떻게 손을 대야하는지 통 감을 못잡겠더군요...(그림실력도 모자라고..손재주가 없는 편이고..또 창의적인 무언가를 만드는것엔 영~~ 무언가 실체를 보아야 응용을 하여 만드는 스타일이라...)정말 책을 읽는것과 만드는것은 천지차이라는걸 깨달았습니다....그런데 저런 특강을 듣는다면 어느정도 감이 잡힐듯싶네요....도대체 저런건 어디서 듣나요??...암튼..그래도 님덕분에 저런것도 있구나~~ 다시한번 감탄했습니다..수니나라님은 직접 강의를 하셨다구요??...대단하십니다...팔방미인이시군요..^^

프레이야 2004-03-17 08: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읽는 나무님, 제가 들은 특강은 검은비표 그림책 종류가 아니라서 그림실력은 별로 요구되지 않구요, 초등생과 중등생 정도에 촛점을 맞춘 책이에요. 먼저 만들 책의 종류에 따른 자료수집이 우선이에요. 인터넷자료도 백분 이용하구요. 사진 스캔도 하여 이용했더군요. 글은 직접 쓴 것보다 워드로 작성하여 붙이구요. 동시화집 같은 경우는 아이들 스스로 그림을 그려도 예쁘겠네요.^^ 이런 책의 장점은 책장을 무한대로 늘려갈 수 있다는 것이더군요. 뒤에 연이어 붙여서요.

sooninara 2004-03-17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혜경님이 지방 사시죠..저는 수도권이라고 착각해서..강사님이 다른것 같네요.^^
그리고 나무님..정말 책만들기 실력보다는 정성이랍니다..입체카드 만들기 생각하시면 ㅣ슷해요..책을 여러가지 모양과 방법으로 만들어보는거죠. 팝업북이라고하나요? 펼치면 딱 솟아나는 책^^ 제가 강의 했다니까 대단한거같죠? 여러가지 형태의 책만들기중에 입체북 포함해서 6가지 정도 책을 만들구요...책에대한 여러가지 대화를 더 많이 나누는거였습니다..
강의들은 엄마들이 카드 만들기에 응용하겠다고 좋아라 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