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제13장 가톨릭 금서, 레 망다랭(1950-1958)
이 책 내내 흥미로운, 보부아르가 동시대 만난 사람들… 매력적인 사람들, 연관책에 영화에 … ^^
한쪽 유방 절제 수술을 해야한다고 말하니 사르트르는 냉소주의로 대응했다고. 최악의 경우라 해도 12년은 더 살텐데 어차피 그때쯤이면 지구는 원자폭탄으로 멸망할 거라나. 보부아르는 수술 전날 보스트와 아름다운 수도원에서 보냈다고…
보부아르의 말대로 감정적 상호성은 결여되었지만 사르트르가 보부아르의 작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든 부정적인 지적이든 정확한 피드백을 아낌없이 해준 걸로 보인다. 사르트르는 1952년 가을에 처음 원고를 보고 “훌륭한 구석이 많지만 아직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했다. 하지만 완성되자 자기는 소설을 그만두어야 할 이유가 생겼다며 “ 자유, 불확실성, 애매성을 끝까지 견지하면서” “시대의 문제를 나보다 훨씬 더 잘 탐구했다”고 말했다. (356) “나보다”라는 말이 거슬리지만 아무리 봐도 두 사람은 실패한 면이 있는 관계라 해도 서로에게 아주 필요했다. 레 망다랭,은 1954년 10월에 출간해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제목도 클로드 란즈만이 붙였다.
#
사르트르는 새로운 정치적 열의를 잡지에 반영하기 원했으므로 젊은 마르크스주의자 몇 명을 레 탕 모데른,의 필진으로 영입했다. 그 중에 사르트르의 비서와 친구 사이인 아주 명민한 젊은이가 있었다. 클로드 란즈만은 스물일곱 살이었고 유쾌한 성격에 파란 눈이 아주 예뻤다.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354)
이때 마흔넷의 보부아르는 성적 매력을 잃어간다는 생각에 의기소침해 있었던 것 같다. 보부아르는 미국 소설가 올그런과 연애 중에도 그랬듯 란즈만에게도 편지를 열정적으로 보냈다. 두 사람이 살아온 이야기를 나누다 유대인이었던 그의 설명을 듣고 “이전에는 상상도 못한 방식으로” 유대인을 이해하게 되었다. 란즈만은 보부아르가 처음 집에 들인 애인이고 칠 년을 함께 살았고 유일하게 “tu”로 지칭한 연인이었다. 클로드 란즈만은 사르트르와 보부아르가 “우울증 혹은 절망에 가까운 실존적 불안”(358)을 공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1958년 보부아르는 오십대로 접어들고 란즈만과는 이별 후 웆정을 잇는다. 란즈만은 유럽대표단으로 북한에 가 간호사와 사랑에 빠지는 일이 있었고 영화로도 만들었는데 여기선 언급하지 않았다. 그동안 보부아르는 “버지니아 울프를 나 자신에게 돌아가기 위한 해독제처럼 읽으면서” 자신의 생을 달리 “평가”(381)했다.
보부아르의 지속적인 지원으로 클로드 란즈만은 560분짜리 걸출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었다. 네 명의 증언에 기대어 풍경과 말만으로 이어가고 음악도 배제하였다. 란즈만이 트라우마적 포로노라고 생각하는 잔인한 장면도 일절 넣지 않았다.
쇼아의 각본집이 나와 있다. 서문을 보부아르가 썼다. 그가 쇼아를 찍기 안팎의 어려웠던 이야기를 담은 40분짜리 다큐 ‘클로드 란즈만, 쇼아의 유령’도 제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작.
https://v.daum.net/v/20180706022617407
알라딘 책소개 가져옴
시몬 드 보부아르의 서문 〈공포의 기억〉 중_
〈쇼아〉에 대해 이야기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영화에는 마법같은 힘이 있다. 그러나 마법은 말로 설명할 수 없다. 전쟁이 끝난 뒤 우리는 게토와 절멸수용소에 관하여 셀 수도 없이 많은 증언을 읽어왔다. 가슴이 무너져 내렸다. 그러나 오늘날 클로드 란츠만의 훌륭한 영화를 보며 사실은 그동안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가 안다고 생각했던 그 모든 지식이 무색할 만큼 당시의 끔찍한 경험은 우리와 동떨어져 있었다. 이제야 우리는 처음으로 머리와 마음과 몸으로 그 이야기를 몸소 체험하게 된다. (…) 클로드 란츠만의 영상 편집은 각각의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실제로 일어난 순서를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 이런 단어를 사용해서 설명해도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편집은 한 편의 시와 같은 구조를 띤다.
———
1925년생 클로드 란즈만은 2018년 세상을 떴다. 당연히 그전의 일이겠지만 보부아르에게서 받은 300여 통의 편지 중 112통을 선별해 예일대학에 팔았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