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문학과 철학의 경계에서(1945-1946)


1945년은 보부아르의 공적 이미지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해다. 보부아르는 점령된 고국에서 전쟁을 보고 정치적으로도 눈을 뜨게 되고 비시 정부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일하면서도 파텔정부에 동조하지 않는 나름의 역할을 독창적으로 했다고 보인다. 당시 라디오 방송국은 단 두 개뿐. 1945년 4월 29일에 프랑스에서 여성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첫 선거가 있었다. 5월 7일에 독일은 랭스에서 항복문서에 서명했다. 8일에는 베를린에서 설명했다. 유럽에서 전쟁이 끝났다.

이해 삼월에 사르트르는 뉴욕에 체류하면서 보부아르와는 서로 떨어져 있는 시간을 보낸다. 이런 시간은 결과적으로 봐도 필요한 시간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돌로레스와 관계에 빠진 사르트르와 별개로 이 기간에 보부아르는 맹렬히 글을 썼다. 파리 신문 가판대에서 보부아르와 사르트르가 공동 창간한 “레 탕 모데른 Les Temps Modernes “이 팔려나갔다. 하지만 창간호 편집장으로는 사르트르의 이름만 올라갔다. 이 잡지를 통해 두 사람은 시대의 당면과제에 집중하는 참여 지식인이 될 수 있었다. “잡지는 굶주린 대중을 먹였다.(264)”

비시 정부 때 발행된 신문들을 정간하는 법이 통과되었다.
보부아르는 “레 탕 모데른” 편집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잡지에 기고한 윤리학과 정치학 에세이들을 1945년에 처음 출간했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적 논지와 반대되거나 확장한 생각들을 주장하고 펼쳐나갔다. 이는 오래전부터 보부아르가 생각했던 것, 사르트르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던 부분이거나 이미 있어온 인간 운명의 어두운 부분을 내밀하게 통찰하여 발전시킨 생각이다. 변명으로 드러내는 체념적 염세주의로 치부되는 것, 즉 인간의 타락과 죽음을 불건전하게 과장하는 염세적 철학이라는 비판에 보부아르는 인간의 비참함은 실존주의만의 새로운 면모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인가, 대신 보부아르는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를 썼다. 자신의 생각을 에세이와 소설, 희곡으로 펼쳐냈다.

#
보부아르의 철학은 거짓과 체념의 위안을 거부한다. 지배 혹은 복종이 그저 인간의 본성이라는 생각은 변명일 뿐이다.
- 사람들은 덕(virtue)을 쉽게 생각하고 싶어 한다. 또한 덕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별로 심란해 하지 않고 체념하듯 받아들인다. 덕이 가능하지만 어려울 수 있다고 보려 하지는 않고 말이다. (276)


# 소설 “타인의 피”
점령기에 쓰고 1945 발표.

_ “우리 각자는 모든 사람에게 그리고 모든 것에 책임이 있다.”
타인의 피,에 제사된 문장이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발췌한 문장. “타자에 대한 책임과 개인의 행복을 조화시키려는 실존주의자의 노력을 무척 인상적으로 극화한 작품이다”라는 평을 받았다. 엘렌과 장이 주인공이나 펭귄북스 뒷표에는 남자 주인공만이 한 사람의 주인공으로 소개된다. 이 작품은 사르트르의 철학이 아니라 보부아르의 철학을 적용해 극화했고 “제2의 성”(1949)에서 다뤄질 주제들을 예고했다. 여성의 행동방식, 남성과 여성이 개인으로서 사랑을 경험하는 방식의 차이 등…


#
보부아르는 작가의 사명은 “개인이 자신의 자유를 걸고 살아가는 세계와 맺는 관계를 극의 형식으로 기술하는 것”이라고 썼다. 그러나 세상은 여성에게 남성을 대할 때와는 다른 이상과 제약을 내세운다. 보부아르는 엘렌의 각성과 장의 각성을 나란히 보여 줌으로써 여성은 남성처럼 존중을 받지 못하고 존중을 요구하지도 않는 불공평성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267)


# 유일한 희곡 “쓸모없는 입들”
1945년 10월 29일 파리 공연

# 1946. 12. 소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이 소설 속 불멸의 화자와 역사적 구조 역시 보부아르가 장차 제2의 성,에서 전개할 “남성은 언제나 구체적인 힘들을 장악해 왔다”는 주제를 드러냈다. 포스카를 통해 현대와 가까운 시대에 만나는 여성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묻는다. 사랑을 한다는 건 무슨 의미인가? 이 작품이 던지는 질문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뭔가를 할 수는 있는가?”다. (289)

# 보부아르가 보았던 진실은 사람들이 변명으로 자유에서 도피한다는 것이다.(275)

# “상황의 힘”에서 “자신과 사르트르의 유대감에 관해서는 형용할 수 없는 앎” 이 있다고 했다. 여기서 보부아르는 “처음에는 자기가 여성이라는 사실이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고 여성성은 어떤 식으로든 귀찮았던 적이 없다라고 했다. 사르트르는 좀 더 생각해 봐야 한다고 했고 그녀가 남자 아이처럼 양육 받고 자란 건 아니었다. 그래서 보부아르는 그 문제를 파고 들었고 그제야 비로소 세상이 얼마나 남성적인지 깨달았다. 자신의 유년기를 형성한 수많은 신화는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를 다르게 형성했다. 자서전 집필에 대한 생각을 뒤로하고 여성성의 신화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느라 공립 도서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 작업에서는 자신의 여성으로서 경험이 아니라 여성의 조건에 초점을 맞출 생각이었다. (284 발췌)

이 내용 읽어보니, 서로 인정했듯, 사르트르는 어찌됐든 보부아르에게 좋은 영향을 준 관계였다는 생각이 다시 든다. 끊임없이 자극을 주고받고 한마디만 던지면 촉발하는 영리한 인간 보부아르. 여성성의 신화와 여성에게 주어진 조건에 대한 자각. 대화를 나누며 눈을 뜨고, 사유의 근원이라기보다 견줄 데 없는 대화의 촉매로서 사르트르.

#
보부아르는 나중에 ‘상황’ 개념이 제2의 성,을 독창적인 책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여성성을 본질이나 본성이 아니라 “문명이 특정한 생리학적 여건으로 빚어낸 상황”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28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2-10-09 17: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프레이야님도 책을 참 빨리 읽으십니다.
마지막 사진 참 단아하고 이뻐요^^

프레이야 2022-10-09 19:14   좋아요 2 | URL
울유 벽돌 제2의 성 표지죠~
저 사진이 제일 마음에 들어요. 성숙해 보이고 가장 아름다운 때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