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 38 ] The End of the Ancient Jewish Nation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페르시아의 키루스 대제는 고향을 등지고 떠돌던 유대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로마가 그 땅을 지배하게 되면서 로마법을 따라야 했고 높은 세금까지 매겨지면서 유대인 내부에 불만이 커졌다. 결국 그들은 유대인은 로마군을 공격했고 이 소식은 로마에 있던 황제의 귀에까지 들어간다. 예루살렘의 신전이 불에 타면서 금은이 녹아 금이 간 것을 본 로마군이 화가 나 완전히 부수어버린다. 예루살렘에서 유대인들은 쫓겨남으로써 예루살렘을 떠나 다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 Ch 39 ] Rome and the Christians


Nero, the Evil Emperor

아우구스투스 사후 들어선 로마 황제들은 하나 같이 별로였다. 어떤 황제는 자신의 말을 집정관으로 부르고 로마인들에게 그 말이 하는 말에 따르게 했다. 최악의 황제는 네로였다. 그는 리라 연주를 즐겼는데 (문제는) 형편없는 연주자였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불이익이 있을까 두려워 그의 연주를 칭찬했다. 네로는 10년을 로마에서 통치한 후 친구들과 함께 연회를 하겠다며 자리를 비웠다. 하필 이때 로마에 화재가 일어났다. 로마인들은 이것이 최악의 화재임을 직감하고 전령을 직접 파견하여 소식을 전하게 했다. 그러나 네로는 연회가 끝나기 전까지 전령을 들여보내지 않아서 수일이 지났음에도 로마로 복귀하지 못했다. 네로는 연회가 끝나고 나서 로마로 돌아와 가난하고 집 없는 자들에게 돈을 풀었다. 그러나 그는 “화재가 집을 형편없이 망가뜨렸으니 새 집을 건설할 공간으로 해야겠어. 더 큰 궁전을 지을 수 있을 거야.” 이렇게 말하며 크나큰 실수를 저질렀다. 그는 한술 더떠서 자신의 책임을 지우기 위해 기독교인들이 의도적으로 불을 질렀다고 몰고 간다. 많은 로마인들은 네로의 거짓말을 수긍했고 이때부터 기독교인들의 박해가 시작됐다.


Christians in the Catacombs

로마 황제들은 신의 왕인 주피터의 후손이라 생각했는데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을 숭배하지 않으므로 (원래도) 불만이 많았다. 황제들은 기독교인들을 체포하여 감옥에 넣거나 사자와 강제로 싸우게 했다. 기독교인들은 공공 장소에서 모임을 하지 않고 로마 지하에 도로를 만들어 그곳에서 비밀 종교 모임을 가질 뿐 아니라 죽으면 매장도 했는데, 일명 카타콤이다. 그들은 기독교임을 확인하기 위해 secret symbol(looks like fish)을 벽이나 모래나 쪽지 가장자리에 표시했다. 오늘날 카타콤은 여전히 로마에 볼 수 있다. 


The Emperor Is a Christian!

콘스탄티누스는 아폴로를 숭배했으나 어떤 일로 인해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 일은 꿈을 꾼 것일수도 있고 미래를 본 것이기도 하다. 한 로마 작가가 콘스탄티누스가 본 미래에 대해 이야기했다. 

콘스탄티누스가 적과 the Melvin Bridge에서 맞닥뜨렸다. 자신의 뒤에 병사들을 보니 모두 지쳐 있는 상태였다. 어둑어둑한 하늘에 비가 내렸다. 병사들은 다음 날 전투로 걱정스러워하고 있었다. 그때 자신의 뒤에 있던 병사가 “태양이 떠올라요.” 콘스탄티누스가 하늘을 보니 점점 밝아지고 있었다. 그런데 태양이 아니라 x표시의 빛이 공중을 맴돌고 있는 것이었다. 하늘에는 불 같은 표시가 나타났는데 이렇게 적혀 있었다. By this sign you will be victor. 콘스탄티누스는 이것이 그리스도의 십자가 표시라고 인식했다. 예견대로 로마군은 전투에서 승리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이 일로 기독교인이 되었는데 그를 따라 점점 더 많은 로마인들이 기독교인이 되었다. 또 그는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로 수도를 옮겼다. 이제 로마는 더 이상 로마 제국의 중심이 아니었다.



[ Ch 40 ] Rome Begins to Weaken


The British Rebellion

로마 제국이 커졌으나 로마법에 따르려 하지 않는 이들이 늘어났다. 영국에 사는 켈트족도 그런 예였다. 켈트족의 지도자는 Boadicea라는 여성이었는데 남자보다 키가 크고 목소리에 힘이 있었으며(이 산에서 저 산까지 목소리가 들렸다는 이야기가 있음) 카리스마가 있었다. 로마에 있던 영국인들은 그녀의 힘을 두려워하여 (켈트족이 로마를 무너뜨릴 것이라는 등) 소문이 돌기도 했다. 어쨌거나 Boadicea는 “우리는 로마 침략자들에 맞서 복수를 감행해야 한다. 우리는 로마인들에게 노예처럼 부림을 당해왔으나 이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이를 거부할 것이다.” 라며 전투를 일으켰고 승리한다. 오늘날 영국에는 무너진 로마의 길과 벽이 여전히 남아 있다. 


Rome Divided in Two

Ruling Rome was a little bit like having the biggest candy bar in a group of very hungry people. Everyone wanted to take it away. 로마 제국 황제였던 Diocletian은 한 명의 통치자가 로마를 안전하게 지켜낼 수 없다 판단하고 Maximian을 지도자로 추가해 자신은 동로마를, Maximian은 서로마를 맡기로 하며 둘로 쪼개진다(서로마의 수도는 로마, 동로마의 수도는 콘스탄티노플이 되었다). 서로마 제국은 점차 약해지고 동로마 제국은 점차 강해졌는데 서쪽에 있던 사람이 음식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자 동쪽에서 음식을 구매했기 때문이다. 또 국경에 침입이 들어온 탓도 있었다. 이 침입자들은 서로마 뿐 아니라 영국, 갈리아, 스페인, 이탈리아 전 국토를 침략하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3-10-30 10:1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네로 황제가 등장하는군요.
로마부분 읽으면서 ‘마스터스 오브 로마‘ 시리즈 한 번 읽어볼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전권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그게 무슨 상관인가? 싶기도 하지만요.
토지나 잃시찾도 전권을 갖추지 않아 읽지 못하겠네! 그런 심리와도 같은...ㅋㅋㅋ
이제 내일이면 다 읽으시겠군요.
대망의!!!!^^
저도 오늘 내일 박차를 가해야겠습니다.
이제 30강 들어갑니다.ㅜㅜ

거리의화가 2023-10-30 10:23   좋아요 2 | URL
네로는 논란이 많은 황제임엔 분명한데 애매한 것은 저 화재 났을 때 정말 백성들을 내팽개쳤느냐~하는 겁니다. 어릴 적 <유머일번지> 프로그램에서 희화화되면서 놀기 좋아하는 황제라는 이미지가 각인된 것도 있지요. 그런데 실제가 그런지는 좀 더 확인이 필요할 것 같아요. 안 그렇다는 이야기도 봐서^^;

저 ‘마스터스 오브 로마‘ 시리즈 앞 권들은 구입했다가 팔아버렸는데 좀 후회되더라구요. 그리스보다는 로마에 관심이 더 있는지라... 일단 지금 진행중인 게 많기 때문에 정리가 좀 되고 나면 내년이나 내후년쯤 도전해볼까 합니다!ㅎㅎ

나무님 마지막까지 화이팅이에요^^
 



[ Ch 34 ] The Rise of Julius Caesar


Caesar Is Kidnapped

로마는 점점 더 부강해지고 강한 제국이 되어 갔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계는 왕가와 관련되어 있어 그야말로 정통 귀족이었다(로물루스의 후손이었으며 아버지는 로마법을 만드는 데 일조를 하는 등). 카이사르는 읽기, 쓰기, 수학, 웅변 등을 교육받았는데 웅변술을 더 배우고 싶어 유명한 선생들이 있다는 지중해 중간의 섬으로 가기로 한다. 그런데 지중해는 해적들이 날뛰던 곳, 아니나 다를까 배를 타고 가는데 부유한 옷차림의 그를 알아본 해적들이 카이사르를 납치하여 몸값을 요구한다. 카이사르는 돈을 주고 자신을 풀어주면 너희들을 죽일 것이라 경고한다. 그는 결국 로마로 돌아가 로마 해군을 동원하여 해적을 뒤쫓아 몰살시킨다. 이 일은 카이사르를 유명하게 만드는 데 일조했다.


The Consuls of Rome

카이사르는 집정관이 되고 싶어했다. 그런데 이미 로마에는 2명의 현행 집정관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로마의 식민지였던 스페인을 감독하는 일을 맡게 된다. 스페인에서 카이사르는 인정을 받고 유명해진다. 하지만 그는 로마로 돌아가 영향력을 떨치기를 내내 소망하고 있었다. 어느 날 도서관에 앉아 알렉산더 대왕에 대한 삶에 대한 기록을 읽다가 문득 창문을 봤는데 알렉산더 대왕의 그림이 자신의 앞에 있었고 그림에는 부케팔루스를 타고 전투에 나가 전사들을 호령하는 장면들이 담겨 있었다. 그림을 보고는 눈물을 흘린 덕분(?)이었는지 로마로 귀환을 허락받게 된다. 이로써 로마에는 3명의 집정관 체제가 들어섰으나 그는 더 많은 권력을 바랐다.


Caesar and the Senate

로마의 원로원들은 집정관을 돕는 존재로 집정관은 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했다. 집정관은 카이사르가 자신들의 말을 잘 듣지 않자 불만에 쌓인다. 

킨키나투스라는 이상적인 지도자에 대한 이야기가 전한다. 아주 옛날 킨키나투스가 로마 집정관 시절일 때다. 그는 고위직에서 은퇴하여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었다. 로마에 이민족들이 침입하여 방화와 약탈을 일삼는다. 로마인들은 출정한 군대가 승리하여 돌아오기를 고대했다. 그러나 고작 5명만이 피투성이가 된 채 귀환한다. “그들이 너무 강했어요.” 원로원은 혼란에 휩싸였다. 이 때 킨키나투스를 생각한 이들은 그로 하여금 군사훈련을 맡겼고 양성된 군대를 내보내 마침내 로마는 승리할 수 있었다. “우리의 왕이 되주시오. 킨키나투스.” 그러나 그는 “아니오.” 하더니 자신의 본업으로 돌아간다. 



[ Ch 35 ] Caesar the Hero


Caesar Fights the Celts

카이사르는 로마 시민의 신임을 얻기 위해 군사들이 자신에게 완전히 충성하도록 만든다. 그는 영국을 정복하려 한다. 이를 위해 배를 건조하고 병사를 해안에 배치했는데 영국 땅이 춥고 축축한데다 피로까지 겹쳐 병사들이 병에 걸리고 만다. 병사들은 마른 땅을 찾다가 켈트라 불리는 영국인들이 사는 섬 해안에 닿는다. 그들은 키가 크고 근육질이었으며 호전적이었다. 로마병들은 3주간을 그곳에 있었는데 배들이 태풍으로 난파되어 그곳을 떠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패배는 카이사르에게 치욕이었는데 그는 자신이 승리한 기록만 쓰고 패배한 기록은 남기려 하지 않았다. 그는 갈리아 전기를 쓰면서 자신이 잘한 일만 적었다. 이로써 백성들은 그의 영웅적인 면모만 알 수 밖에 없었다. 갈리아 전기를 볼 때 이를 참고해서 봐야할 것 같다. 


Caesar Crosses the Rubicon

카이사르가 로마를 장악해가자 원로원들은 Pompey라고 하는 집정관을 하나 더 두기로 결정한다. Pompey는 카이사르의 딸과 결혼을 하였으나 카이사르에게 질투심이 컸다. 카이사르는 Pompey가 자신을 반역자로 몰아 재판정에 세웠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카이사르는 원로원들은 자신을 싫어하지만 로마인들은 자신을 영웅으로 생각한다며 살 길이 있을거라 여겼다. 그래서 그는 루비콘 강을 마침내 건넌다. 카이사르와 그의 군대가 로마에 모습을 나타내자 Pompey 군대는 도망을 친다. 카이사르가 육지에 발을 닿기도 전에 Pompey 또한 도망쳤다. 카이사르는 당당히 로마 땅에 개선할 수 있었다. “Today, when someone has to make an important decision, people still say. “You’re about to cross the Rubicon.” Crossing the Rubicon means that you’re about to do something that you can’t undo. We get this expression from the story of Julius Caesar’s return to Rome. 


Caesar and Cleopatra

카이사르는 사라진 Pompey를 제거하고자 했고 그가 이집트로 갔음을 알고 있었다. 이집트에는 두명의 파라오가 있었다(클레오 파트라와 그녀의 남동생). 그러나 그들은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았고 카이사르가 이집트로 출발했을 때도 다투고 있었다. 클레오파트라의 남동생은 Pompey를 체포하여 카이사르에게 넘기면 그와 동맹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라 한다. 반면 클레오파트라는 폼페이의 머리를 베어 카이사르에게 넘기자 말했고 그녀의 계획대로 되었다. 정작 카이사르는 Pompey에게 겁만 주려는 것이었을 뿐 그를 죽일 의도는 없었다. 클레오파트라를 만났을 때 기분이 좋을 리 없었다. 클레오파트라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자신의 동생을 죽이는 것을 도와달라 한다 했고 카이사르는 그렇게 했다. 클레오파트라의 정치력이 고단수임을 여실히 느끼게 한다. 카이사르는 클레오파트라에게 빠져 로마로 돌아가지 않고 원로원들과 로마군은 이집트로 진군하여 그를 공격한다. 하지만 카이사르는 싸우는 법을 잊지 않았고 전투에서 승리한다. “I came, I saw, I conquered!”


The Death of Caesar

카이사르는 로마를 모두 수중에 넣었고 마침내 로마로 돌아간다. 그는 독재자였기에 원로원의 기능을 무력화시켰다. 카이사르가 모든 정치를 행하게 되었다. 원로원은 로마의 차기 지도자로 카이사르에게서 나오기를 원하지 않았으나 카이사르는 자신의 조카인 Octavian(옥타비아)에게 임기를 맡기려 하면서 충돌이 벌어진다. 결국 원로원 Brutus(브루투스)가 원로원 회의에 참석(3월 15일) 차 간 카이사르를 칼로 찔러 사망하게 만든다. 참고로 브루투스는 카이사르의 친구이기도 했다. Suetonius라고 하는 로마의 작가가 책에 쓰기를 예고된 사망이었다라고 이야기에 적고 있다. 카이사르는 자신이 좋아하는 말들을 보러 갔는데 말들이 먹지를 않았고 점쟁이가 3월 15일을 조심하라고 한 것이다. 거기에 아내가 악몽을 꾼 뒤에 불길하다며 회의에 불참하라고 권했으나 카이사르는 갔다가 참변을 당했다고. He gasped. “You, too, Brutus?” 



[ Ch 36 ] The First Roman Prince


Augustus Caesar

카이사르가 죽을 당시 Octavian(옥타비아)는 19세에 불과했지만 그는 카이사르의 양자여서 부를 이어받게 되었다. 그는 부를 로마의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주는 선행을 베풀었기 때문에 로마인들에게도 사랑을 받게 된다. 옥타비아는 원로원에 가서 집정관이 될 것을 요구했으나 원로원들은 그가 너무 어리고 카이사르의 양자인 것도 마음에 걸렸으나 로마인들도 그를 인정하는 것을 보고 그를 집정관으로 수용하게 된다. 옥타비아는 카이사르의 제왕 정치 대신 킨키나투스의 방식을 따랐다. 

어느 날 옥타비아는 원로원들을 불러놓고 로마는 평화로워 더 이상 집정관이 필요하지 않은 것 같으니 일을 그만두겠다 말한다. "당신이 로마에 평화를 가져왔는데 원로원을 그만둔다면 로마는 또 다시 분열될 것이오!"라고 원로원들이 말한다. "로마는 왕이 필요 없소. 난 그저 로마의 시민일 뿐이오." 원로원들은 그에게 "우리는 당신을 'First Citizen'으로 부르겠소." 답한다. "first citizen"는 라틴어이며 영어로는 "prince"이다. 또 그는 기존에 사용하던 "Octavian Caesar"에서 "Augustus Caesar"라는 호칭을 부여받게 되었다. Augustus에서 달력의 8월(August)이 유래되었고, Julius Caesar에서 7월(July)가 유래되었다.



[ Ch 37 ] The Beginning of Christianity


The Birth of Jesus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로마는 팍스 로마나(The Roman Peace) 시대였다. 이 무렵 유대 땅(옛 가나안. 현재는 로마에 복속됨)에서 한 아기가 태어난다. 이 아이가 자라서 새로운 종교의 시작이 되는데 성경에서는 이 이야기를 4권의 책에서 "the Gospels."(복음서)에 담고 있다. 

나자렛에 사는 마리아(Mary)라는 유대인 소녀가 있었다. 그녀는 요셉과 결혼을 약속했으나 결혼식은 아직 몇 달 담은 상태였다. 어느 날 신이 마리아에게 메시지를 전한다. "신이 네게 아이를 보낼 텐데 이름을 예수로 지어라!" 마리아가 요셉에게 천사가 자신을 만나러 왔었다고 이야기한다. 마리아의 아이가 태어나기 전 아우구스투스는 로마의 인구를 조사하겠다고 말한다. 요셉은 베들레헴에서 왔기 때문에 둘은 베들레헴으로 간다. 도착해보니 잠잘 데가 없어서 동물들이 자는 곳으로 들어가 예수를 낳는다. 예수가 태어났을 때 천사들이 모습을 비추고 섬광이 나타나 양치기들이 두려워했다고 한다. 오늘날 예수는 성인이 되었으며 Christian의 기원이 되었다. "Glory to God in the highest! Peace on earth, good will to men!" 


Jejus Crucified and Resurrected

예수가 유대 땅에서 살며 30년 쯤 지났을 무렵 그는 땅을 돌아다니며 신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그의 설법은 사람들에게 전파되었고 이를 "Sermon on the Mount"라고 부른다. 오늘날 신약성서 복음서에 그의 말이 기록되어 있다. 예수는 유대인들에게 영향력이 막강했다. 그러니 유대땅을 다스리던 지도자들이 로마에 반하여 추종자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로마 당국도 예수에 대한 소식을 듣고 두려워했고 결국 유대인 지도자들 중 일부를 매수하여 예수를 체포하여 반역죄 명목으로 예루살렘에서 처형한다. 복음서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예수 사후 3일이 지나서 그를 따르던 여성 신도들이 그의 무덤으로 갔다. 그들은 입구에 있던 돌을 치우고 무덤을 확인했더니 무덤은 비어 있었다. 반짝이는 옷을 입은 두 명의 천사가 나타나 "예수를 왜 찾는 거지?" 묻는다. "그는 여기에 없어. 부활했지." 여성들은 다른 예수 신도들에게 이야기를 전했으나 아무도 믿는 사람은 없었다. 예수가 그들 앞에 모습을 보이자 그제서야 그들은 사실을 믿게 되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수의 부활을 믿게 되었으며 예수를 신의 아들로 여기게 되었다. 이 사람들이 Christian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3-10-27 0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카이사르가 한 말 브루투스 너마저가 나오는군요 불길하다고 하면 가지 말지, 그럴 때 꼭 자신은 괜찮다고 여기는 것 같아요 벌써 일어난 일이니 바뀔 일은 없겠지만... 여기엔 예수가 태어나는 것도 나오는군요


희선

거리의화가 2023-10-27 09:12   좋아요 2 | URL
맞아요. ˝브루투스 너마저!˝ 친구한테 배신당했다고 느낄 법하죠. 그렇지만 그러기 전 자신의 행위를 돌아봤어야... 킨키나투스나 아우구스투스 같이 권력에 욕심을 두지 않았다면 원로원들에게 불안감을 주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성서를 제대로 읽은 적은 없는 저 같은 무신자들도 예수의 탄생과정은 익숙하네요.

책읽는나무 2023-10-27 21: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시 1등 화가 님^^

2023-10-27 2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27 21: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 Ch 30 ] The Aryans of India


Life on the Ganges River

인더스 계곡에 신비한 도시 모헨조다로 유적의 요새가 오래 전 사라지고 난 뒤 새로운 이들이 인도땅에 들어왔다. Aryans(인도유럽어족의 아리아인)다. 그들은 유목민이었으나 인더스강과 갠지스강 사이의 땅에 정착하여 농경과 목축을 한다. 그들은 Shiva라고 하는 신을 믿었다. 

Shiva와 Ganga를 믿는 이들을 Hindus(힌두교도)라 하고 이들의 종교를 Hinduism(힌두교)라 부른다. 힌두교도들은 유일신이 아닌 다신을 숭배했으나 힌두교도들은 갠지스강을 숭배했다. 오늘날 힌두교 순례자들은 갠지스강변에 해질 무렵 불켜진 초를 띄우고 Ganga(river-godess)에게 기도를 한다. 


The Castes of Ancient India

힌두 경전인 Rig Veda에는 힌두교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다음과 같이 나온다.

Purusha라고 하는 거인이 살았다. 그는 수천개의 머리와 수천개의 눈과 수천개의 발을 지녔다. 신들은 Purusha의 머리를 하늘로, 그의 눈을 태양으로, 그의 다리를 지구로, 그의 숨을 바람이 되게 하고 몸 바깥에는 네 종류의 사람들을 만든다. Purusha의 입에서 성직자인 브라만(the brahmin), 그의 팔에서 귀족 전사(the noble warriors)를, 그의 무릎에서 traders and farmers, 마지막으로 그의 발에서 the servant를 만든다. 이 네 계급은 castes(카스트)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남은 여생도 자신의 계급에서 살아가야 한다. 카스트에 속하지 않는 이들은 “Untouchables”로 불리며 어떤 기회도 얻을 수 없었다.


Siddartha

싯다르타는 인도에서 왕자로 태어났다. 그는 궁에서 자라 주변에 온통 화려하고 진귀한 것이었기 때문에 세상이 그런 것일 거라고 믿으며 자라왔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때부터 바깥 세상이 궁금해진 그는 아버지인 King Suddhodana에게 간청하여 허락을 받아내 바깥으로 나가게 된다. 그곳에서 구걸을 하는 노인을 만나 충격을 받는다. 마차를 모는 사람에게 저 사람은 뭐가 문제인가요? 묻고 “그는 아프지만 아무도 그를 도와줄 수 없을 겁니다. 그는 ‘Untouchable’이기 때문입니다.”라는 대답을 들은 후 이어 “죽음이란 무엇일까?” 라는 질문을 하니 “죽음은 삶의 끝이죠. 우리는 모두 죽습니다. 당신조차도요. 싯다르타!”라는 대답을 듣는다. 그는 궁전으로 돌아와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모두 가짜이고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은 뒤 좋은 옷을 벗고 허름한 옷을 입고 세상을 향해 나간다. 수년이 지나 거지로 남은 일평생을 살다 죽는다. 싯다르타는 오늘날 부처(Buddha)로 알려져 있고 그는 사람들에게 평화를 가르쳤다. 오늘날 부처를 믿는 이들을 불교도(Buddist)라 하는데 인도 뿐 아니라 전 세계에 퍼져 있다.



[ Ch 31 ] The Mauryan Empire of India


The Empire United

아리아인들이 인도에 정착하여 많은 도시들을 건설하고 각자 살고 있었는데 이들 중 한 종족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인도를 통일하며 마우리안 왕조가 탄생한다. 마우리안 제국에 Asoka(아소카)라는 황제가 있었는데 그는 정복한 곳들의 사람들의 고난을 보며 “나는 더 이상 싸우지 않겠다. 나는 정직과 자비로 제국의 사람들을 이끌겠어.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고 폭력을 멈출거야.” Asoka는 자신의 생각을 석비에 새겨 제국 전체에 세움으로써 오늘날에도 그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지침처럼 자비를 실천했다고 한다.


The Jakarta Tales

인도에 전해지는 책 중 Mahayana Tripitaka라는 책에 온갖 종류의 글이 담겨 있는데 이 중 the Jakata Tales라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거기에는 부처가 고대 인도 사람들에게 삶을 살아가는 법(goodness, patience, mercy, honesty, friendship will bring happiness)이 담겨 있다. 특히 산토끼(hare)가 자신의 온몸을 던지려하다가 Sakka 신의 눈에 띄어 여생을 행복하게 살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Ch 32 ] China: Writing and the Qin


Calligraphy in China

한자를 글로 쓸 때 몇 가지 획 쓰기 방법(Horizontal Line, Dot, Vertical Line, Downward Strokes, Sweeping Downward Stroke, Hook)을 이용하면 글자가 만들어진다.

또 글씨를 쓰는 붓은 동물의 털 여러 개를 하나로 모아 만든다. 이 때 글자의 크기 종류에 따라 작은 것은 쥐털로, 중간 것은 토끼털로, 큰 것은 양털이나 늑대털을 이용한다. 

중국인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글을 써왔으며 최초의 고인쇄본은 the Diamond Sutra(금강반야바라밀경)이다.  


Warring States

중국은 전국에 여러 명의 군 지도자가 난립하는 형태였다. 최소 6개의 강력한 군 지도자가 있었는데 이 시기를 The Period of the Warring States라고 부른다. 동쪽의 Qin(Chin)이라고 하는 곳에 Qin Zheng이 최초의 중국 황제가 되는데 China는 Qin이라는 단어에서 온 것이다. 그는 강력한 전제왕권에 반하는 어떤 행위도 용납하지 않았다. 분서갱유는 가장 최악의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The First Emperor and the Great Wall

Qin Zheng은 진시황(Shi Huandi)가 된 뒤로 폭압 정치를 행했다. 북쪽에 있던 이민족들이 변경을 자주 침략하자 성벽을 세울 것을 단행한다. “A wall thousands of miles long! A Great Wall!” 그는 건축가와 설계자들을 소환하여 자신의 계획을 설명한다. “폐하. 그런 길고 거대한 성벽을 만들 만한 돌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는 마침내 방법을 생각해낸다. The builders made a wooden frame, as high as a man’s waist and as wide as a wall. They sat this frame upon the ground and filled it with loose dirt. Then workers stamped and packed the earth until it was only four inches high and as hard as concrete. They lifted the fame up, set it on top of the packed dirt, and filled it again. They could build a dirt wall as hard as stone, four inches at a time!

진시황은 중국의 장정들을 1년에 1달은 성벽 건설에 동원시켰다. 그가 사망했을 때에도 성벽은 완성되지 않았고 수백년이 지날 때까지 뒤이은 왕조의 황제들이 그 작업을 완수해나간다. 마침내 30마일의 길이의 장성이 완성된다. 


The First Emperor’s Grave

30년 전 서안 근처에 살던 농부가 우물을 파다가 땅이 딱딱하다는 것을 느끼고 발견한 곳이 병마용갱이다. 이곳은 근처에 있는 시황제의 무덤을 보호하는 용병들인데 실제 사람 크기인데 모두 다른 얼굴들을 하고 있다. 시황제는 죽음이 임박했다는 것을 느끼자 거대 지하 도시를 만들어 무덤을 조성할 것을 주문했다. 병마용갱 부근의 토양은 많은 수은을 포함하고 있는데 양초가 타면서 무덤 안의 용병들의 상태가 오랜동안 유지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Ch 33 ] Confucius


China’s Wise Teacher

공자는 중국의 귀족 가문에 태어났다. 그는 학교에 가서 음악과 궁술을 배웠으나 집안은 가난했다. 공자가 살던 시대는 전쟁으로 소란스러운 시대였기 때문에 지도자들에게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권하길 원했으나 지도자들은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선생이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고 그 공자의 어록은(The Analects of Confucius) 제자들이 기록하여 오늘날에도 전해진다. 

“It is the wiser person who gives rather than takes.”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3-10-24 09: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부지런하신 화가 님.
읽고 기록하기가 참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근데 화가 님이 해내시고 앞길을 열어주십니다.^^
만리장성이든 분서갱유든 진시황의 참된 업적이 아닌 황제의 횡포 업적으로 보여져...참....
그에 비하면 인도의 아소카 왕은 참 훌륭했습니다.^^

거리의화가 2023-10-24 09:41   좋아요 1 | URL
ㅎㅎ 매일 한 챕터 읽으면 겨우 이달에 맞춰서 읽을 것 같습니다.
진시황은 욕망이 지나치게 많았던 것도 문제지만 결국 이것이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했다는 것이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게 비단 진시황의 문제일까 생각은 들긴 해요. 어떤 사람도 권좌에 오르면 없던 욕심도 생기는 것 아닌지^^;
 

산책은 도시의 산물이다. 도시라는 공간이 생긴 뒤에 산책자들이 나타난다. 도시의 산책자란 근대라는 박물관의 관람자이자 탐색자라는 뜻을 갖는다. 산책자들은 어떤 도취감에 이끌려 도시 이곳저곳을 떠돈다. “오랫동안 정처없이 거리를 쏘다니는 사람은 어떤 도취감에 휩싸인다.” 그 도취감에 휩싸여 거리의 스펙터클을 감각적으로 흡수해버리는 것이다. 이때 대도시 거리는 그 자체로 방대한 문헌이고, 산책자는 그 문헌을 탐욕스럽게 연구하는 자다. - ⟪이상과 모던뽀이들⟫ P241


얼마 전 한국 근대 문학가와 미술가의 삶을 담아낸 책을 읽으면서 오래 전 읽었던 책과 강연이 떠올랐다. 구체적으로 어떤 강연이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는데 그 책을 확인해보니 자그마한 쪽지가 포함되어 있었다. ‘민음 아카데미’였다. 무려 10년도 더 된 강연이었는데 ‘근대의 탄생과 경성의 작가들’을 다루었다. 

예전에 내가 임화에 대해서도 이야기한 적이 있었는데 여기서 처음 알게 된 것이었다. 이 때 이상과 김유정, 임화, 그리고 박태원의 삶과 문학을 통해 한국 근대의 풍경이 어떠했을지 상상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었다. 이 이전까지는 거시적인 역사에만 관심을 두다가 이런 일상사와 미시사의 즐거움이 어떤 것인지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1930년대 당시 문단은 카프의 세력이 맹렬했다. 카프 운동의 중심에 있던 임화는 이상과 보성중학 동문으로 시인이자 문학이론가다. 당시 보성중학에는 동기생인 이상 뿐 아니라 선배인 김기림, 김환태 등도 있었는데 아버지의 사업이 실패로 가세가 기울자 임화는 학교를 중퇴하면서 이들과는 멀어졌다. 그 후 임화는 모더니스트에서 무산자 계급문학의 수장으로, 자유주의자에서 공산주의자로, 그 너른 간격을 가벼이 건너뛰며 사상적 선회를 한다. 하지만 자발로 간 북한에서 그는 ‘미제 간첩’이라는 혐의를 뒤집어쓰고 사형으로 생을 마쳤다. 


카프의 반대편에 선 모더니즘 단체로 구인회가 있었다. 문학가인 이종명과 영화감독이자 제작자인 김유영은 정치색을 띠지 않는 문단 풍토를 만들기 원하여 순수예술을 지향하는 구락부 형식의 단체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구인회가 태동하게 되었다. 이 때 염상섭은 문단 싸움으로 번질 것을 우려하여 모임 추대에 반대하면서 최종적으로 이종명, 김유영, 조용만, 정지용, 이태준, 이무영, 김기림, 이효석, 유치진으로 구성이 되었다. 모임의 시작은 이종명과 김유영이었으나 구인회를 이끄는 것은 이태준이었다. 이태준은 월간 문예지 ‘문장’을 펴내며 조선 문단의 중심 권력으로 확고한 위치에 있었으며 뛰어난 소설가이기도 했다. 


꽤나 알려진 사실인데 이상의 ⌜오감도⌟는 조선중앙일보에 발표되었는데 이 때 이태준이 신문의 학예부장으로 있었다. 빗발치는 독자들의 항의에 꽤나 곤란을 겪었을 것이다. 그의 회고가 남아 있다. 

이상의 ⌜오감도⌟는 처음부터 말썽이었다. 당초에 원고가 공장으로 내려가자, 무선부에서부터 ⌜오감도烏瞰圖⌟라는 것은 ⌜조감도鳥瞰圖⌟의 오자가 아니냐고 물으러 오지를 안나, 자전에 조감도란 말은 있어도 오감도란 말은 없으며, 보지도 듣지도 못한 제목이라고 법석이었다. 간신히 사정을 하다시피 해서 조판을 하여 교정부로 넘어갔는데, 이것도 시라고 하는 거냐? 이것은 신문을 버리는 근본이 되니 싣지 말자고 정식으로 항의가 들어오는가 하면, 학예부에서 응하질 않으니까 결국 편집국장에까지 진정이 들어가는 법석이 벌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내가 내부의 장애를 부릅쓰고 실었더니 이 시가 계속되자 이번에는 날마다 몇 장의 공격 투서가 들어와서 난처했던 것이다. ‘미친 놈의 잠꼬대냐’, ‘무슨 개수작이냐’, ‘그게 대체 어쩌자는 시냐’ 따위의 독자 항의문은 곧 산적되었다. - ⟪이상과 모던뽀이들⟫ P237


박태준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조선중앙일보에 1934년 연재되었다. 알다시피 이 신문은 손기정의 일장기를 지운 사건으로 유명하다. 이 때 사장은 여운형이었다. 이태준은 일제강점기 막바지 쓰는 것을 강요받는 현실을 견딜 수 없었고 해방이 될 때까지 일체의 행동을 거부한 채 낙향하여 칩거에 들어간다. 하지만 해방 후 1946년 월북을 하면서 그의 작품을 남한에서는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그의 빼어난 소설들을 이후에 볼 수 없었다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구보는 갑자기 걸음을 걷기로 한다. 그렇게 우두커니 다리 곁에 가서 있는 것의 무의미함을 새삼스러이 깨달은 까닭이다. 그는 종료 네거리를 바라보고 걷는다. 구보는 종로 네거리에 아무런 사무도 갖지 않는다. 처음에 그가 아무렇게 내어놓았던 바른발이 공교롭게도 왼편으로 쏠렸기 때문에 지나지 않는다.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中


구보는 산책을 통해 식민지 근대의 중심지였던 경성을 탐닉한다. 나도 어느 곳을 가든 걷는 편이다. 오늘과 내일의 풍경이 같은 듯 보여도 매일 공기는 다르다는 것을 피부로 느낄 때 행복하다. 걸을 때 아무 생각 없이 걷기도 하지만 공상을 하기도 하고 사물을 마주 대하며 생각에 빠지기도 하는데 그럴 때마다 즐겁다. 


이상은 1933년 종로 다방 ‘제비’를 개업한다. 당시 다방 ‘제비’는 우리가 생각하는 다방이 아니고 온갖 경성의 인사들이 들락날락하는 문화 아지트이자 공동체적 장소였다. 박태원은 ‘제비’를 오가며 이상과 급격히 친해지는데 그의 작품에서 이전에 보지 못했던 신선함을 느꼈기 때문이었으리라. 둘 다 경성 토박이였던데다가 나이까지 비슷했으니 통하는 면이 있었을 것이라 본다. 두 사람은 연인처럼 붙어 다녔다는데 방종한 생활을 하기로 유명했다. 박태원은 “이상과 나는, 당시에 있어 서로 겨 묻은 개였고, 동시에 서로 똥 묻은 개였다.” 라고 자폭한 것을 보면 그 실상을 짐작할 만하다. 박태원은 1951년 한국 전쟁 중 월북했고 북한에서 사망했다. 


김기림은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 출신으로 구인회의 일원이었다. 그는 이상을 보자마자 천재성을 알아보았던지 진폭적인 신뢰를 보내며 후원을 했다. 이상이 무질서한 생활과 나태와 방종, 질병 등으로 고생을 할 때도 김기림은 그를 내버려두지 않았다고. 이상은 글만 잘 쓴 것이 아니고 미적 감각도 뛰어났던 모양이다. 김기림의 시집인  ⌜기상도⌟를 디자인했는데 오늘날 보아도 촌스럽지 않고 깔끔하고 멋스럽다. 김기림은 누구보다도 우리 시에 근대성과 현대성을 접목한 뛰어난 시인이었다. 가령 백화점이라는 근대 공간을 “‘메피스토’의 늙은이”로 보고 그 늙음의 추함을 가리기 위한 “메이크업”을 읽어낸다. 근대 공간의 황홀경에 유인된 군중을 “어족”이라고 보기도 했다. 정작 김기림의 시에 대해서는 제대로 아는 것이 없어 향후 읽어보고 싶다. 김기림은 한국 전쟁 중 인민군에 붙잡혀 납북되었는데 이 때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타까울 따름이다. 



정지용도 구인회의 일원이었다. 김기림은 정지용을 가리켜 “우리 시 속에 현대의 호흡과 맥박을 불어넣은 최초의 시인이며 우리말의 각개의 단어가 가지고 있는 무게와 감촉과 광光과 음陰과 형刑과 음音에 대하여 적확한 식별을 가지고 구사하는 시인”이라고 했다.  문학계의 선배 격이었던 만큼 많은 후배 문인들에게 영향을 준 시인었다. 정지용 하면 윤동주가 자동으로 떠오르기도 한다.


구본웅과 이상의 우정도 각별했다. 화가 구본웅은 이상의 자화상을 그려주기도 했고 이상이 ‘제비’의 문을 닫고 실의에 빠져 있을 때 인쇄소에 이상의 일자리를 알선하여 밥벌이를 할 수 있도록 도왔다. 구본웅은 초기에는 거친 질감의 표현주의적 화풍인 야수파적 색채를 벗어나 불교적 색채로 변화한다. 아쉽게도 한국 전쟁 중 자택이 폭격을 맞아 대부분의 작품들이 소실되고 말았다. 그래서 남아 있는 구본웅 작품들은 초기작들인데다 그 수도 극히 적어 아쉬울 따름이다. 


올해 5월에 다녀왔던 전시회(다시보다 한국근현대미술전)에서 구본웅의 그림이 몇 점 있었다. 그 중 1940년대 그렸다는 ‘중앙청이 보이는 풍경’이라는 그림을 소개한다. 

화면 오른편에 하얀 중앙청 건물이 서 있고 그 앞에는 낮은 건물들이 자리한다. 특이하게도 굵은 선으로 윤곽을 분명하게 구획한 한옥들과는 달리 중앙청은 윤곽선이 뚜렷하지 않다. 게다가 한옥들은 다채로운 색깔들로 되어 있어 중앙청과 분명하게 구분된다. 화가의 의도라고 보여지는데 지금은 사라진 중앙청 건물을 둘러싼 풍경을 보며 당시의 풍경을 떠올려보게 된다. 



문장이란 언어의 기록이다. 언어를 문자로 표현한 것이다. 언어, 즉 말을 빼놓고는 글을 쓸 수 없다. 문자가 그림으로 바뀌지 않는 한, 발음할 수 있는 문자인 한, 문장은 언어의 기록임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 ⟪문장작법⟫ 중中


❖ 운동


1층 위의 2층 위의 3층 위의 옥상정원에

올라 남을 봐도 아무것도 없고 북을 봐도 아무것도

없으므로 옥상정원 아래의 3층 아래의 2층 아래의

1층으로 내려왔더니 동에서 뜬 태양이 서로 지고

동에서 떠서 서로 지고 동에서 떠서 서로

지고 동에서 떠서 하늘 한가운데에 와 있으므로

시계를 꺼내어 보니 멈춰는 있으나 시간은

맞음에도 시계는 나보다도 젊지 않은가라고

하기보다는 나는 시계보다도 늙어 있지

않다라고 어찌해도 여겨지는 것은 분명 그러함에 

틀림없으므로 나는 시계를 버리고 말았다.


-1931,8,11 이상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3-10-21 15:2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ㅋ 이상의 일화와 작품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라는 감탄만 듭니다~!!
1930년대 시대가 우울했어도 문학인의 활동은 활발했던것 같습니다~!!

거리의화가 2023-10-23 11:36   좋아요 2 | URL
시대는 우울했지만 그 와중에도 많은 문학인들이 인연을 맺으며 활동했다는 사실을 일화를 통해 들여다보는 일이 즐겁습니다^^
이상은 여러 모로 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었던 것 같아요. 본인 스스로는 고독과 우울함을 많이 느꼈다고 하는데 주변에 그리 많은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그것을 떨칠 수는 없었나봅니다.

호시우행 2023-10-21 16: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근대사에 기록될 문인들의 스토리를 배울 수 있었어요.

거리의화가 2023-10-23 11:36   좋아요 1 | URL
이 당시 문인들과 관련된 이야기 하나 하나가 흥미롭습니다.

희선 2023-10-22 02: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금도 이상 시를 다 알기 어렵겠지요 그때 사람들이 꽤 안 좋게 여겼군요 그런 걸 알아보는 사람도 있고... 여러 사람이 북으로 가고, 바로는 그 사람들 글은 읽지도 못했네요 시간이 지나고서야 보게 됐군요 그렇게라도 돼서 다행이기는 합니다


희선

거리의화가 2023-10-23 11:39   좋아요 1 | URL
이상 시는 지금 읽어도 난해하다 느껴지는 구석이 많습니다. 당시 사람들도 마찬가지가 아니었을지요^^
천재 문인들이 북으로 참 많이 넘어가서 안타깝지만 이렇게 작품을 읽을 수 있게 됨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 Ch 27 ] The Rise of Rome


Romulus and Remus

로마는 이탈리아 언덕에 조그만 마을에서 시작했다. 다음은 로마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다.

아주 옛날 Numitor라는 왕에게 두명의 손자 Romuls와 Remus가 있었다. Numitor의 못된 남동생이 그의 왕권을 훔치려 했다. 두 손자는 있어서는 안 될 존재였고 하인이 Tiber River에 두 아이를 바구니에 넣어 흘려보냈고 무화과 나무에 막혀 있던 바구니를 늑대가 발견하곤 우리로 데려가서 기른다. 어느 날 목동이 잃어버린 양을 찾다가 늑대 우리를 발견한다. 목동은 두 아이를 집으로 데려갔고 아이가 없던 부부는 정성껏 키운다. 아이들이 다 자란 후 자신이 발견된 그곳에 가 마을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로물루스는 왕을 선언하고 마을을 보호할 벽을 세우려 하지만 레무스는 형의 태도에 화가 났다. 그가 왕이 된다는 것에도 화가 났고 자신은 외부와 단절된 채 벽을 세우는 정책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로물루스가 화가 나서 레무스를 죽이고 로마의 첫번째 왕이 된다.


The Power of Rome

이탈리아에는 여러 부족들을 합치며 로마는 점점 더 힘을 키웠다. 이탈리아 부족 중 에트루리아인이 있는데 그들이 로마인들에게 그리스와 이탈리아 간에 교역을 통하여 그리스 문자를 비롯한 그리스 문화의 많은 것들을 전달해주었다. 로마의 왕은 에트루리아의 왕이 하던 것처럼 특별한 보라색 테두리의 togas를 입고 권력의 상징인 fasces라 불리는 기구를 듬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내보였다. 오늘날 미국 법정과 정부 당국도 로마의 상징 같은 것을 사용한다고 한다. 

로마는 법을 집행하고 리더를 선택하는 사람들을 뽑기를 원했다. 로마는 아테네처럼 민주정이 아니라 patricians(귀족들)만이 정부에서 말할 권한을 가진다. 그리고 두 귀족들 중 두 명이 다른 귀족들에 의해 임명되는데 이들이 consuls(집정관)이다. 


* faces: bundle of rods with an axe blade in it, as a symbol of royal power. The rods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power to punish anyone who did wrong. The axe blade shoed that he could execute people who did very evil things. 



[ Ch 28 ] The Roman Empire


The Roman Gods

에트루리아인들은 이탈리아에 그리스신들에 대한 내용도 전달했다. 로마인들은 그리스신을 자기 식으로 이름을 개명했다. 

어느 날 수확의 신인 케레스와 딸인 프로세르피나가 숲에서 놀다가 케레스가 시원한 개울물을 마시는 동안 프로세르피나는 근처 백합 수풀이 있는 걸 발견하고 고개를 숙였다가 빠져서 사라진다. 14일간 케레스는 찾아 헤매다 한 요정을 만나 딸이 플루토에게 붙잡혔다는 걸 알게 된다. 케레스는 분노하고 주피터를 찾아가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주피터는 플루토를 설득해보겠다고 말한다. 어머니는 그동안 어찌 지냈는지 물었는데 딸은 지하 세계에서 거의 먹지 못했다며 몇 분 전에 6알의 씨앗만 먹었다고 이야기한다. 화가 난 케레스는 딸을 데려가겠다고 말하자 주피터는 딸이 6알의 씨앗만 먹었으니 6개월은 지상에서 케레스와 지내고 나머지 6개월은 지하에서 플루토와 지내는 것으로 합의를 본다. 프로세르피나가 지상에 오면 봄이 시작되고 지하에 가면 나뭇잎이 떨어지는 계절이 되었다고.


The Roman Builders

로마는 시민들과 여행자들이 편히 다닐 수 있도록 도로를 닦았다(아피안 가도). 로마인들은 콘트리트를 사용한 최초의 사람들이라고 한다. 물론 당시 콘크리트의 품질은 별로여서 volcanic ash, water, lime과 섞은 혼합물(근데 왜 lime을 섞었는지 신기하다)로 만든 건물들은 쉽게 붕괴되어 사람들이 많이 죽거나 다쳤다고 한다. 건물 밖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살게 되면서 슬럼화되었고 가족들 모두가 한 방에서 지냈다. 쓰레기는 도로 위에 내버려졌고 사람들은 께끗한 물이 필요했다. 이에 상수도(aqueduct)가 건설되었다고. Aqueduct는 30마일 떨어진 곳에서 도시 내부로 물을 끌어올 수 있는 시설이었다. 또 로마인들은 매일 목욕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욕조는 모두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대중목욕탕에 가서 사람들은 목욕을 했다 한다. 오늘날에도 로마인들이 만든 건물과 목욕탕과  상수도 시설이 남아 있다.


The Roman Gladiators

오늘날 로마 검투사가 된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전한다. 세르비우스라는 가상의 인물이다. 그러나 몇 천년간 이와 같은 이들이 있었다. 

세르비우스는 낮에는 농사를 짓고 고기를 잡고 밤에는 친구들과 놀며 평범하게 지냈다. 어느 날 그가 새로운 괭이를 만들려고 하다 우뢰와 같은 소리를 듣는다. 그 소리의 정체는 마을에 쳐들어온 침략자의 말발굽 소리였다. “우리는 로마인들이다. 우리는 로마를 접수하려고 한다. 항복해라!” 세르비우스는 벽에 걸려 있던 괭이로 그들을 공격하려다 잡힌다. 로마인들은 세르비우스를 로마로 데려가 검투사 학교로 데려간다. 


The Gladiator School

검투사 학교(양성소)는 마치 감옥과도 같은 곳이었으며 매일 fighter 훈련을 받았고 그는 시험에 통과해야 했다. 나머지 시간은 기초 체력을 키웠다. 시험을 통과하면 검투사가 되겠다는 서약을 한다. 훈련자들은 검투사가 되면 경기장에 들어가 수만의 로마인 관중들을 만나게 된다. 그들은 싸움을 구경하러 온 사람들로 그들을 위해서는 투사가 되어야만 한다. 어느 날 세르비우스는 경기를 나가게 되었다. 경기장에서 만난 대결자를 그와 대결하기 싫어서 계속 피해 다녔다. 경기장은 야유로 가득찼고 세르비우스는 “난 널 죽일 수가 없어. 난 동물이 아냐. 이건 스포츠맨쉽에 위배되는 일이야” 라며 경기장 밖으로 나가기 위해 돌아선다. 그는 어떻게 되었을까. 죽었을까.



[ Ch 29 ] Rome’s War With Carthage


The Punic Wars

로마는 더 원했고 카르타고도 더 원했다. 그들은 포에니 전쟁을 시작했고 264 BC/BCE에 시작한 싸움은 146 BC/BCE가 되었는데도 끝나지 않았다. 100년 넘게 이어진 것이다. 카르타고는 해군이 강력했는데 로마인들이 이탈리아 해변에 부서진 카르타고의 배를 분해하여 연구한 끝에 자신들의 군함을 만들어낸다. 로마 장군 클로디우스 풀처는 닭을 배에 가져다놓고 그것이 전투에서 행운을 가져다주기를 빌었다. 그러나 닭은 바다를 견디지 못했고 이것은 불행한 전조였다. “신이 우리에게 대항하려 한다. 우리는 패배할 운명인가.” 그는 점점 더 혼란스러워했고 마침내 닭들을 던져버리라고 하여 수장시킨다. 카르타고 장군은 꾀를 내어 코끼리로 로마군의 배를 공격할 생각을 하고 알프스 근처에 있던 로마군은 이상한 소리를 듣는다. 코끼리를 본 로마군은 혼비백산하여 도망친다. 카르타고 장군 한니발은 자신의 계획이 먹혔음을 알고 흐뭇해한다. 한니발은 이탈리아 육지에 코끼리와 함께 입성한다. 로마인들은 두려워했고 한니발은 모든 것을 불태우기 시작한다. 로마 장군 스키피오는 한니발을 물리치기 위해서 최상의 로마군을 데려와 카르타고로 향한다. 한니발은 카르타고를 구하기 위해 이탈리아를 나올 수밖에 없었다. 카르타고군은 결국 로마에 굴복하고 소아시아에서 이 소식을 들은 한니발은 자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