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자군 전쟁의 흐름을 도레의 그림과 함께 간단한 설명과 지도를 통해 장면으로 구성해놓았다(현명한 책의 구성인듯). 전투와 인물에만 집중하지 않고 전쟁을 위해 떠나는 사람들, 사상자들에 주목한 장면들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서로 간 담소, 먹고 마시기, 운동, 언어 등도 주고받았다고 한다.
(공감6 댓글0 먼댓글0)
<그림으로 보는 십자군 이야기>
|
2025-05-02
|
 |
십자군 이야기: 십자군 전쟁의 마지막
(공감10 댓글0 먼댓글0)
<십자군 이야기 3>
|
2025-05-02
|
 |
십자군 이야기: 1차 십자군 전쟁의 시작
(공감18 댓글0 먼댓글0)
<십자군 이야기 1>
|
2025-04-29
|
 |
제1차 십자군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다룬다. 이야기에 매혹을 느낄 수 있도록 매력적인 인물에 집중하여 서술하는 것이 특징이라 보여진다.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십자군 병사들의 마음에 묘한 감정이 일면서도 과연 이 전쟁을 종교 전쟁만으로 규정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보게 한다.
(공감12 댓글1 먼댓글0)
<십자군 이야기 1>
|
2025-04-19
|
 |
한나 아렌트 평전
(공감13 댓글0 먼댓글0)
<한나 아렌트 평전>
|
2025-01-05
|
 |
[마을과 세계] 중요한 것은 세계를 바꾸는 것이다
(공감22 댓글2 먼댓글0)
|
2024-12-22
|
 |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공감19 댓글0 먼댓글0)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
2024-10-21
|
 |
중세의 왕정과 봉건제, 종교 전쟁과 대항해 시대를 지나 격변의 시대가 되어 자유과 평등의 열망이 일었다. 그러나 상업, 공업화와 자본주의는 계급과 계층화를 더 분화시키고 사회를 더 분절시켰다. 자유와 평등을 꿈꾸었으나 오히려 제국주의와 식민지 간의 경쟁은 심화되고 불안감을 증가시켰다.
(공감14 댓글2 먼댓글0)
<The Story of the World, Vol. 3 : History for the Classical Child: Early Modern Times (Paperback, Revised Edition)>
|
2024-10-01
|
 |
[함달달] SOW3: CH33~CH42
(공감16 댓글1 먼댓글0)
|
2024-10-01
|
 |
[함달달] SOW3: CH23~CH32
(공감8 댓글1 먼댓글0)
|
2024-09-29
|
 |
베트남과 그 이웃 중국
(공감15 댓글1 먼댓글0)
<베트남과 그 이웃 중국>
|
2024-09-25
|
 |
화교 이야기
(공감12 댓글0 먼댓글0)
<화교 이야기>
|
2024-09-23
|
 |
[함달달] SOW3: CH12~CH22
(공감9 댓글4 먼댓글0)
|
2024-09-22
|
 |
유라시아의 교차로, 신장의 역사
(공감17 댓글2 먼댓글0)
<신장의 역사>
|
2024-09-21
|
 |
위구르 유목제국사
(공감21 댓글0 먼댓글0)
<위구르 유목제국사 744~840>
|
2024-09-20
|
 |
SOW 3: CH1~11
(공감17 댓글4 먼댓글0)
|
2024-09-13
|
 |
노마드의 역사
(공감23 댓글4 먼댓글0)
<노마드>
|
2024-07-08
|
 |
마오주의의 기원, 영향과 평가
(공감16 댓글2 먼댓글0)
<마오주의>
|
2024-07-02
|
 |
중국 혁명의 역사와 영향(과 평가)로서의 마오주의를 다루는 책이다. 현대까지 마오주의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지 그 기원을 살피고, 마오쩌둥을 비롯한 전 세계에 퍼져 있었던 마오 키즈를 소환한다. 마오주의를 글로벌적 관점에서 바라보자는 시도이다.
(공감9 댓글0 먼댓글0)
<마오주의>
|
2024-07-02
|
 |
반제국주의 노선에서 가자 지구 전쟁을 분석한 책이다.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분석 용도임을 이해해야 실망하지 않을 것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과거의 역사가 도움이 되었는데 특히 대이스라엘과 나크바 완수 계획 등이 그렇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불균형성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공감16 댓글0 먼댓글0)
<이스라엘의 가자 학살>
|
2024-06-16
|
 |
일본 메이지 유신정권은 ‘부‘와 ‘현‘, ‘번‘의 세 통치 체제를 기반으로 중앙에서 지방의 통제가 가능해지면서 중앙 정부 강화를 꾀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어느 정도 기본 배경을 알고 읽어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한자 기반의 학술 용어가 많고 문장들이 전체적으로 대중들이 읽기에는 어렵다.
(공감12 댓글0 먼댓글0)
<폐번치현>
|
2024-06-16
|
 |
현대 중국의 탄생
(공감11 댓글2 먼댓글0)
<현대 중국의 탄생>
|
2024-06-02
|
 |
‘영원한 현재‘로서 다뤄져야 하는 만주국의 초상
(공감16 댓글0 먼댓글0)
<키메라>
|
2024-05-31
|
 |
만주의 눈으로 새로 읽은 청 제국사
(공감16 댓글0 먼댓글0)
<만주족 이야기>
|
2024-05-29
|
 |
[마이리뷰]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세계의 시간
(공감18 댓글0 먼댓글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
2024-05-19
|
 |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교환의 세계
(공감19 댓글0 먼댓글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
2024-05-06
|
 |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일상생활의 구조
(공감13 댓글2 먼댓글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
2024-05-01
|
 |
[마이리뷰] 하버드 중국사 청 - 중국 최후의 제국
(공감12 댓글0 먼댓글0)
<하버드 중국사 청>
|
2024-04-28
|
 |
캠브리지 중국사 - 청 제국 말: 근대화를 향한 모색 2
(공감14 댓글0 먼댓글0)
<캠브리지 중국사 11 - 하>
|
2024-04-24
|
 |
청일전쟁, 교차 정리
(공감18 댓글0 먼댓글0)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