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철도의 밤 - 미야자와 겐지 걸작선
미야자와 겐지 지음, 이선희 옮김 / 바다출판사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고르게 된 이유는 표제작인 「은하철도의 밤(銀河鐵道の夜)」이 애니메이션 <은하철도 999>의 원작이라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렇게 심오하고도 묵시록적인 작품의 원작이 동화라는 점이 흥미를 자극했으며, '은하'와 '철도'라는 소재를 가지고 어떻게 동화를 구축했을 지에 대한 궁금증이 내 선택을 부추겼다. 물론, 이 동화작품은 애니메이션의 내용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우선, 신비의 여인 '메텔'이 등장하지 않는다. ^^ 동화에서는 두 소년이 함께 여행한다.) 그러나 빈민가 출신의 소년이 은하철도를 타고 여행을 한다는 설정, 그리고 별에 들려서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에게 영향을 받는다는 구조, 그리고 정서적인 측면 같은 요소들은 공통된다. 이 작품을 제외하고 흥미로웠던 작품은 「쏙독새의 별」이다. 무엇보다 행복한 동화가 아니었기 때문인데, 그 동안 읽었던 동화들에 대한 불만을 잘 긁어주었다. 동화라고 해서 항상 착한 사람들의 행복한 이야기일 필요는 없지 않은가? 세상은 전혀 행복하지 않은데, 왜 동화 속의 세상만 행복으로 가득한가? 아이들이 보는 작품이라고 해서, 거짓 행복을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거짓된 행복보다는, 뼈아픈 진실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니오 크뢰거 / 트리스탄 /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
토마스 만 지음, 안삼환 외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토마스 만의 작품세계는 그가 작품 속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예술의 세계 속으로 길을 잃은 시민'(「토니오 크뢰거」)이라는 말로 정리될 수 있다. 이 말은 독자들에게 두 가지 길을 보여주고 있는데, ⓐ 예술가의 길, 즉 유미주의적인 태도와 ⓑ 시민의 길, 즉 사회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태도라고 할 것이다. 수록작품의 목록을 살펴보면 그와 같은 두 가지 길이 극명하게 파악된다.

예술가의 길에 해당하는 부분은, 내게 있어 그리 큰 울림을 주지는 않았다. 그것은 예술에 대한 고민의 깊이가 부족하다거나, 그가 지나치게 유미주의적인 성향으로 빠졌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많은 고민을 하고 있고, 유미주의를 경계하고 있다. 그럼에도 내가 이러한 부분에 동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가 이를 창작했을 그 시절과 그의 창작물을 읽는 내가 살고 있는 시절이 그만큼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리라. 시절은 너무 변했고, 그에 따라 그의 논리도 낡아바렸다. 특히, 예술가를 천재적인 영감에 의존하는 사람들이라는 견해에는 쉽게 동감할 수 없다. 물론 '천재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다만, 예술가는 그러한 천재성에 의해서 선천적으로 만들어진 사람이 아니라, 그보다는 부단한 자기 단련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만들어지는 사람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시민의 길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의외의 재미를 찾을 수 있었다. 흔히 토마스 만은 나치에 동조했던 작가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동조했기 보다는 그것을 방조했다는 표현이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그의 초기 작품세계에는 현실에 대한 관심이 아예 부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도 역시 당시 독일사회에 만연되어 있던 인종차별적인 생각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2번 인용 참고]) 하지만 이후 작품에서 그는 현실에 대해 눈을 돌리며, 파시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가 만들어내는 알레고리와 상징이 빛을 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대목이다.

사실,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예술가이면서 시민이라고 할 수 있다. 지상에 발을 붙인 채, 선상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사람. 그것을 파악했다는 점이 이 작가의 위대한 점이고, 그 둘의 조화를 이룩하기 위해서 노력했다는 점이 그의 작품들의 빼어난 점이라고 하겠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철군화 - 한울사회문학시리즈 1
잭 런던 지음, 차미례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1989년 7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이 가지는 사회적인 가치는 대단하다. 또한 SF소설로서의 흥미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에는 중요한 것이 빠져있다. 그것은 바로 '재미'이다. 소설이 아무리 대단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어떠한 장르적, 혹은 기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소설의 기본이 '재미있는 이야기'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물론 세월이 많이 흘렀기 때문이라고 변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많은 책들이 시간의 압제를 견뎌내고 빛을 발하고 있다.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너무 뚜렷하기 때문이라고 변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많은 책들이 무거운 짐을 어깨에 지고도 경쾌한 발걸음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이 작품이 흥미를 끌지 못하는 이유는, 작품의 내부에 숨어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지적될 수 있는 이유는 과도하고 일방적인 설명이다. 물론 설명이 있다는 것 자체가 흠이 될 수는 없다. 어떤 책이든 등장인물의 의도(혹은 작가의 의도)가 설명되지 않을 수는 없으니 말이다. 그러나 그것이 '주장'으로까지 이어지면 문제가 생긴다. 이 작품의 많은 설명들은 많은 부분 주장에 닿아있다. 특히 사회주의 이론을 이야기하는 부분은 대부분이 주장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이다. 물론, 이러한 주장이 동감되는 부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일방적인 주장은 공감의 유무와 상관없이 버거운 법이다.

다음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일방적인 선악의 대립이다. 인간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는 것은, 분명한 폭력이고, 파시즘적인 논리이다. 동지 아니면 적, 사랑하는 사람 아니면 미워하는 사람. 이 작품도 이러한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것은 이데올로기를 바탕에 두고 있는 작품들에서 흔히 발견되는 오류이다. 왜 이리도 다양한 인간들이 그러한 두 가지 유형으로만 나뉘어져야 하는가? 이 작품은 압제에 대한 저항을 다루고 있지만, 정작 자신이 또 다른 압제를 범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춤추는 새 행복한 책읽기 4
이지현 지음, 김형준 그림 / 계림닷컴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지현의 동화는 야무지고 단단하다. 흔히 생각하는 동화의 이미지에 '야무지다'와 '단단하다'라는 설명이 어울리지 않을지 모르지만, 동화 역시 <작가에 의해서 '잘' 말들어진 이야기>라는 기본을 다시 떠올린다면, 그와 같은 특성은 참으로 큰 장점이 아닐 수 없다. 우리 나라 문학의 여러 분야에서 아쉬운 점이 참으로 많지만, 동화라는 특수한 분야에서는 그 아쉬움이 더욱 커진다. 동화작가는 많이 양상되고 있지만 창조적인 작품은 별로 발표되지 못하는 상황, 외국 유명 작품의 아류작에 불과한 기획동화가 양산되고 있는 추세, 그리고 무엇보다 동화작가들의 작가의식 부재 등등, 참으로 우리의 아동문학계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생각할 때, 이지현의 동화는 참으로 야무지다.

동화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이다. 그러므로 작품도 아이들의 시각에서,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처럼, 이것이 곧 함부로 작품을 쓰거나 유치한 생각의 조합이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어른이기 때문에 간과하고 지나가는 문제들을 다루기에 '아이들의 시각'이 되어야 하는 것이고, 자라는 아이들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삶의 진실들을 다루기에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그러한 측면을 잘 살려내고 있다. '어떠한 삶이 바람직한 삶인가?' 이 문제에 대한 고민은 아이와 어른의 구분이 있을 수 없다. 아니, 오히려 세상살이에 물들어버린 어른보다, 상대적으로 순수한 아이의 시각이 더욱 올바른 해답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문제이다. 이런 점에서, 동화는 어린 아이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진다면, 동화는 아이들이 읽을 수 있고, 어른도 읽을 수 있는 좋은 '이야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파즈
무라카미 류 지음, 김지룡 옮김 / 동방미디어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게 있어서 무라카미 류의 소설은 참으로 쉽지 않은 텍스트이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인데, 아마도 나의 성적인 취향이 SM플레이를 과도하게 싫어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우선 작품의 내용이나 형식을 생각하기 이전에, 무라카미 류가 선택하는 소재에 먼저 질려버린다. (사실, 이러한 것은 장 주네나 장정일의 작품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이다.)따지고 보면, 류의 소설은 잘 읽히는 재미있는 이야기이고, 또한 매우 흥미로운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흔히 가볍다고 설명하고는 하지만, 단순하게 '가볍다'라고는 치부해버릴 수 없는 힘을 그는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여전히 그의 작품이 부담스러운 것은 어쩔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