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오 크뢰거 / 트리스탄 /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
토마스 만 지음, 안삼환 외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토마스 만의 작품세계는 그가 작품 속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예술의 세계 속으로 길을 잃은 시민'(「토니오 크뢰거」)이라는 말로 정리될 수 있다. 이 말은 독자들에게 두 가지 길을 보여주고 있는데, ⓐ 예술가의 길, 즉 유미주의적인 태도와 ⓑ 시민의 길, 즉 사회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태도라고 할 것이다. 수록작품의 목록을 살펴보면 그와 같은 두 가지 길이 극명하게 파악된다.

예술가의 길에 해당하는 부분은, 내게 있어 그리 큰 울림을 주지는 않았다. 그것은 예술에 대한 고민의 깊이가 부족하다거나, 그가 지나치게 유미주의적인 성향으로 빠졌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많은 고민을 하고 있고, 유미주의를 경계하고 있다. 그럼에도 내가 이러한 부분에 동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가 이를 창작했을 그 시절과 그의 창작물을 읽는 내가 살고 있는 시절이 그만큼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리라. 시절은 너무 변했고, 그에 따라 그의 논리도 낡아바렸다. 특히, 예술가를 천재적인 영감에 의존하는 사람들이라는 견해에는 쉽게 동감할 수 없다. 물론 '천재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다만, 예술가는 그러한 천재성에 의해서 선천적으로 만들어진 사람이 아니라, 그보다는 부단한 자기 단련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만들어지는 사람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시민의 길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의외의 재미를 찾을 수 있었다. 흔히 토마스 만은 나치에 동조했던 작가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동조했기 보다는 그것을 방조했다는 표현이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그의 초기 작품세계에는 현실에 대한 관심이 아예 부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도 역시 당시 독일사회에 만연되어 있던 인종차별적인 생각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2번 인용 참고]) 하지만 이후 작품에서 그는 현실에 대해 눈을 돌리며, 파시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가 만들어내는 알레고리와 상징이 빛을 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대목이다.

사실,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예술가이면서 시민이라고 할 수 있다. 지상에 발을 붙인 채, 선상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사람. 그것을 파악했다는 점이 이 작가의 위대한 점이고, 그 둘의 조화를 이룩하기 위해서 노력했다는 점이 그의 작품들의 빼어난 점이라고 하겠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