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 눈 속의 연꽃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97
황지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1년 4월
평점 :
새 묘역에 자리를 잡은 송건호 선생과 옛 묘역에 있는 김남주 시인을 찾았다.
오월이 다 가기 전 5.18 민주묘지를 찾았다. 특별한 일이 없으면 매년 찾는데 올해는 정부가 '희한한 기념'을 한 터라 부러 오월의 끄트머리에 찾았다. 흐릿한 날씨가 항쟁에 대한 몰이해를 대변하는 것 같아 덩달아 우울하다. '임을 위한 행진곡'이 너무 투쟁적이라 부르지 말라는 보훈처의 궤변 앞에 저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싶다. 그들이 한 건 투쟁이고, 항쟁일터인데 투쟁적이지 말라니 대체 무슨 소린가? 개인적으론 5.18을 민주화운동이라 말하는 게 싫다. 민주항쟁 내지 민중항쟁이 좀 더 적절한 말이겠다. 30년이 지났는데도 제대로 된 이름도 갖질 못하고 있다.
<한겨레>를 통해 평소 좋아하던 다카하시 데쓰야의 기사를 접했다. 다카하시는 데리다를 전공한 일본의 철학자인데 군국주의와 야스쿠니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저서를 내놓고 있다. 그는'무모한 시도'라며 5.18 국립묘지와 야스쿠니 신사를 비교하는데 두 장소의 공통점이 '국가 폭력으로 숨진 사람들을 국가가 제사 지낸다'는 것이다. 5.18은 옛 묘역에 있던 사람들이 국립묘지로 옮겨오면서 국가가 강요하는 '숭고한 희생'논리가 작동하게 되었다는 게 글의 요지다.
다카하시가 이 정부가 하는 행태를 알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국립'이란 이름을 갖게 된 묘지가 투쟁과 항쟁의 제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생각해본다. 그는 항쟁의 '박물관화' '박제화'를 말하는데 30주년을 맞는 자리에서 그의 예견에 가슴 아프지만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다.
황지우의 <게 눈속의 연꽃>을 오월 내내 읽었다. 시 <華嚴光州>는 아파서 읽기가 힘들다. 시가 아프고, 시 속에 실린 희생자들의 사진이 아프다. 꾹 참고 시를 읽어본다. 이리 꾹 참다보면 5.18도 제 의미를 찾게 될까?
着語 : 시집에 <山經>이란 시가 있다. 한 구절이다. "다시 북쪽으로 3백리 가면 上溪山이 나온다. 초목은 자라지 않으나 물이 많다. 이곳의 어떤 짐승은 생김새가 긴꼬리원숭이 같은데, 앞발이 다섯이요 뒷발이 셋이다. 이름이 狗鯖이며, 소리는 나무를 찍는 듯하고, 이것이 나타나면 그 고을에 철거와 토목공사가 많아진다." <산해경>에 바탕한 시인데 어찌 고대 중국에만 저 짐승이 나타났을까? 또 어찌 황지우가 맞닥뜨린 그 시대만일까? 철거와 토목공사 소리로 또 다시 아픈 시절을 지금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