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계 (양장)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
시마자키 도손 지음, 노영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시마자키 도손의 <파계(破戒)>는 걸작이다. 1906년 작품이니 1887년 첫 근대소설이라는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뜬 구름(浮雲)>이 발표된 지 20년이 지나서였다. 그 20년 사이에 누가 있었나? 소설엔 모리 오가이와 다야마 가타이가 있었다. 모리 오가이는 나쓰메 소세키와 더불어 근대문학의 문호로 추앙받는 작가이다. 낭만주의 계열의 소설을 주로 썼는데, <무희(舞姬)>와 <청년(靑年)>이 대표작이다. 다야마 가타이는 자연주의 문학을 주창한 작가이다. <이불(蒲團)>이 대표작이다. <이불>이란 소설은 꽤 문제적인데,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근대문학의 기원>에서 이 무렵의 일문학사를 이렇게 정리한다.
|
|
|
|
메이지 20년대 초에 씌어진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뜬 구름> 쪽이 훨씬 나중에 씌어진 소설보다 더 서양적인 의미의 소설을 실현했으며, 그 후에 시마자키 도손의 <파계>가 그것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다야마 가타이의 <이불>에 의해 방향이 비틀어져 버렸다는 것이다. 대충 이상이 문학사의 상식이다.('고백이라는 제도') |
|
|
|
|
가라타니가 말하는 '비틀어짐'은 일본근대소설의 주류인 사소설의 효시가 바로 <이불>이라는 작품이라는 뜻이다. <이불> 이후 사소설은 일본 천하를 제패하고, 지금까지 일본 소설의 주류가 되어 있다. 그런 의미에서 <파계>의 존재는 기이하다.
소설의 대종은 이렇다. 교사 세가와 우시마쓰는 백정 출신이다. 그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백정임을 절대 밝히지 말라는 계율을 남긴다. 하지만 사람들 사이에서 우시마쓰가 백정 출신임이 밝혀지고, 그는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신분을 밝힌다. 소설의 제목은 계율을 깨뜨렸다는 의미에서 '파계'이다.
신분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소설이 이 시대에 나올 수 있음은 대단한 것이다. 20년 후에야 계급주의 소설인 <게공선(蟹工船)>(고바야시 다키지)과 <가난한 사람들의 무리>(미야모토 유리코)가 나오니 말이다. 해서 나프문학(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 쪽에선 <파계>를 사회소설의 선구적 작품으로 평가한다.
그럼, 이 소설은 완벽한가? 내 개인적인 생각인데, 두 가지 정도 흠을 잡겠다. 학교에서 쫓겨나게 된 우시마쓰는 어디로 향할까? 자신의 사상적 은사인 렌타로의 유골을 들고 도쿄로 향하는 우시마쓰인데, 이후 그는 오히나타를 따라 미국 텍사스로 향한다. 신분에 따른 박해가 없는 미국으로 향한다는데, 이 모습은 낯이 익다. 이광수가 <무정(無情)>의 끝을 이형식의 시카고행으로 맺고 있기 때문이다. '선지자도 고향에선 핍박받는다'던데, 계몽적 지식인의 도피로 소설은 끝을 맺는다. 또 하나는 이런 대목이다.
|
|
|
|
우시마쓰의 아버지는 말한다. "집안의 조상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것도 그때였다. 도카이도 연안에 사는 많은 백정 종족처럼, 조선인, 중국인 러시아인 또는 이름도 모르는 섬에 표착하여 귀화한 이방인의 후예와는 달리 ....... 가난하기는 해도 죄악으로 더럽혀진 가족은 아니라고 했다."(16면) |
|
|
|
|
재일 조선인을 '죄악으로 더렵혀'졌다고 말하는 작가이다. 작가가 백정 신분에게 동정심을 쏟듯 같은 처지의 재일 조선인에게도 관심을 가졌으면 어땠을까 한다. 일본 사회에서 신분의 문제가 이제는 많은 부분 해결되었지만, 재일 조선인 문제는 여전히 무관심 속에 있음을 생각할 때 더욱 그렇다.
작가 개인을 놓고 보더라도 아쉬움은 남는다. <파계>에서 가졌던 사회에 대한 문제 의식을 더이상 유지하지 못하는데, 특히 <집(家)>(1911)을 보면 그렇다. 자연주의 문학이 더 이상 사회에 대한 관심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개인에게만 초점을 맞추어 사소설로 귀결되는데 작가 역시 적은 몫이나마 하게 된다.
島崎藤村(1872-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