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장유승 외 지음 / 샘터사 / 2015년 9월
평점 :
『하루
한시』
장유승
외 /
샘터
시(詩)는
함축의 언어다.
한시(漢詩)는
한자로 지은 시다.
한자로
지어졌다고 해서 중국시가 아니다.
우리
조상들의 한시는 삼국시대부터 구한말까지 이어졌다.
그
한시(漢詩)들이
수십만 편이 넘게 전해진다.
양적으로만
따져도 고전문학 으뜸의 자리를 차지한다.
그러나 한시는
어렵다.
한자(漢字)가
걸림돌이다.
아침저녁
달라지는 교육정책 탓에 한문을 배웠다 안 배웠다 하다 보니 한자는 완전히 외계어 수준이 되어버렸다.
설령
한자에 익숙하다 할지라도 한시를 깊이 이해하는 것은 만만치 않다.
깊이
들여다볼 시간들도 없이 바쁘게들 살아가는 것도 문제다.
한시가 자연의 아름다움과 바람 같은
삶의 흔적만 그렸다면 오랫동안 전해 내려오지도 않았을 것이다.
이
책엔 일상의 한순간에서 얻은 빛나는 깨달음이 젖어있는 한시들이 담겨있다.
101편의
한시들이 하루의 시간 순서대로 엮여있다.
한시는
보통 네 구절,
또는
여덟 구절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독자가 읽기 쉽게 한 편의 한 시에서 두 구절,
또는
네 구절만 뽑았다.
말의
앞뒤를 자른 탓에 오해의 소지도 있지만,
해석의
자유와 확장의 장점도 있다는 말이 뒤따른다.
세상은
원래부터 결함투성이
인생이 어찌
어긋나지 않으랴
_유언술(1703~1773)
-
“천하에는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열에 여덟아홉이다”라는
말도 있다.
내
뜻대로 내 마음대로 되는 세상은 위험하다.
아니
그런 사람이 더 위험하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기에 제대로 한 번 해보고,
제대로
한 번 멋지게 살아보자고 열심을 내게 된다.
“따지고
보면 우리도 한번쯤은 결함투성이의 세상에게 덕을 본 일이 있지 않은가.
뜻밖의
행운,
노력
없이 이룬 성취,
이
모두가 결함세계 덕택이다.”
만 권의
책을 독파하고
만 리 먼
곳을 유람한다
_오한응(1854~
?)
만리 먼 곳을 유람하지는 못해도 만
권 이상의 책은 읽고 싶다.
이
땅에 사는 동안 일만 권의 북리뷰를 남길 생각이다.
그
이상 읽겠다는 이야기다.
해외여행을
꿈도 꾸기 어려웠던 조선 말기.
개화사상가
강위(1820~1884)는
누구보다 해외여행 경험이 많았다.
일본,
북경,
상하이
등등 많이도 다녔다.
강위는
만 리의 여행을 하기 앞서 만 권의 책을 읽었다고 한다.
그에게
여행은 독서를 통해 추상적인 지식을 구체화시키는 시간이었다. “여행은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을 확인하고 각인(刻印)하는
과정이다.
독서
없는 여행이 경험치를 더하기로 늘려주는 산술급수라면 독서와 여행의 병행은 경험치를 곱하기로 늘려주는 기하급수다.”
겉으로는 그저 보잘것없는 물건이지만
그 안에는 맑고 산뜻한 향기가
있지
_
조수삼(1762~1849)
‘국화베개’를
두고 읊은 시다.
내
인생을 채우고 있는 과연 무엇일까?
나는
타인에게 어떤 모습일까?
어떤
향기로 다가서고 있을까?
또는
누군가를 바라보며 이런 생각도 해본다.
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보이는
저 모습이 진짜인가?
내가
나를 모르면서 남에 대해선 쉽고 가볍게 이야기하곤 한다.
아마
남이 나를 그렇게 가볍게 평가하면 속이 많이 거북할 것이다.
화가
날 것임에 틀림없다.
“이른바
‘물질의
시대’인
오늘날에는 거친 무명 안에 향기를 채울 시간도 의지도 없다.
차라리
거친 베개에 수를 놓아 화려하게 꾸밀지언정 베개 안에 공들여 향기를 채우려 하지 않는다.
‘정신’은
없고 ‘물질’만
난무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같은 생각을 가진 한시 연구자 여섯
사람이 이 책을 엮었다.
여섯
사람 모두 한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문의
영역에만 머물러 있는 한시를 일상의 영역으로 돌려보내자는 것에 의기투합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