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공부법 - 생각의 힘을 키우는, 시카고대학교의 고전 읽기(The Great Books Program)에 기반한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고전 공부법안상헌 / 북포스

 

1. 공부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생존을 위한 공부이고, 다른 하나는 삶을 위한 것이다.

 

2. 지은이 안상헌은 별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시카고 대학교를 세계적인 명문으로 변모시킨 고전 읽기 프로그램 ‘The Great Books Program'에 기반을 두어 삶을 위한 책 읽기를 소개한다.

 

3. “생존만을 위한 공부로는 생존조차 어려워진다. 인문학이 필요한 진짜 이유는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이다.” 각 기업에서도 스펙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달라지고 있다.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셈이다. 인문학 서적을 탐독한다는 CEO가 늘어난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이다. 개량된 마인드로 기업가 조직을 이끌어간다면 더욱 발전적이고 평안한 사회가 되리라 믿기 때문이다.

 

4. 땅콩 회항 사건은 우리사회에 여러 질문을 남겨 주고 있다. 갑과 을의 관계, 패밀리 재벌그룹의 기업, 사회의 역할 등이다.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는 그 사건의 후유증을 보면서 안타깝다.

 

5. 인문학이 잠시 뜨거움이 아니라 열풍으로 바뀌고 있다고 한다. 사회적 성공은 거뒀지만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하나의 축으로 자리 잡는다. 뒤이어 인문학의 가치를 재발견한 기업들을 또 하나의 축으로 하여 사회 교육의 내용과 방향이 바뀌어가고 있다. 실무교육도 중요하지만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바야흐로 인문학 열풍이다.

 

6. 미국의 시카고 대학 이야기를 다시 들어본다. 1862년에 석유 재벌 록펠러가 세운 학교다. 부의 사회적 환원이라는 설립 취지는 좋았으나, 학교 분위기는 그리 좋지 못했다. 문제아들이 다니는 삼류학교 정도의 인식을 넘지 못했다. 그러나 이 학교는 현재 노벨상 왕국이라는 별칭을 얻고 있다.

 

7. 그 변화는 외부의 재정적, 행정적 지원에서 온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왔다. 1929년에 부임한 로버트 허친스 총장은 존 스튜어트 밀 식 독서법을 학생들에게 전파했다. 고전 100권을 달달 외울 정도로 하지 않으면 졸업을 시켜주지 않는 것이었다.

 

8. 세계적 문호들의 문학작품을 비롯하여 인류의 지성이 남긴 철학서와 이론서들로 목록이 만들어져있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더군다나 책 읽는 훈련이 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에게 큰

고역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졸업을 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해야만 했다. 그러나 권수가 늘어갈수록 학생들은 점차 변화되기 시작했다. 뇌의 사고구조가 뿌리부터 바뀐 것이다. 손 쓸 수 없던 문제아들은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로 성장했고, 문제아들의 학교는 명문으로 탈바꿈했다.

 

9. “생각한다는 것은 이성을 사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성의 뒤에 웅크리고 있는 본능을 무시해버렸다. 기업에서 인사이트(insight)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어떤 문제나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통찰을 가리킨다. 기업이 인문학을 강조하는 것도, 사람들이 고전을 스스로 찾아 읽는 것도 이런 인사이트를 얻을지 모른다는 기대감 때문일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5-09-04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전에 어느 책에서 봤던데 ...
뉴욕의 저소득층이 밀집한 곳에서 인문학 책의 강의를 실험했다고 하더군요.
사람들이 차츰 바뀐다고 하던 대목이 생각납니다..

쎄인트saint 2015-09-04 12:38   좋아요 0 | URL
예...우리나라에서도 시행했고, 시행하고 있는 부분이지요..
노숙인들이 주축이 되어서 만들어지고 잡지 [이슈]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