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레미 말랭그레 그림, 드니 로베르 외 인터뷰 정리 / 시대의창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촘스키가 직접 쓴 책은 아니고, 드니 로베르 와 베로니카 자라쇼비치가 인터뷰하고 레미 말렝그레가 삽화를 그리고 강주헌이 옮겼다는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역자 강주헌은 서문에서 이런 말을 올렸습니다. "이 책은 지금껏 우리나라에 소개된 책들과는 사뭇 다른 성격을 띤다. 그동안 촘스키 관련 글을 읽으면서 쌓인 궁금점을 프랑스의 두 언론인(드니 로베르, 베로니카 자라쇼비치)이 우리를 대신해서 촘스키와의 대화를 통해 시원스럽게 풀어주고 있다.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는 촘스키가 지금까지 발표한 글의 핵심을 요약하고 있는 동시에 촘스키 사상의 고갱이와 시대의 통찰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책이다."


지식인의 역할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다

우선 촘스키는 역사적으로 기록된 지식인의 만행을 폭로합니다. 지식인의 역할이 민중을 소극적이고 순종적이며 무지한 존재로 단정 지으면서 그렇게 프로그램된 존재로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회가 민주화 되는 과정 중(국민을 강제로 통제하고 분리시키는 일이 어려워 질 때) 엘리트 집단이 '선전'이란 방법을 동원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우리 일상에서 나의 뇌리 속에 심어지는 광고 효과와 같을 것입니다. 이를 촘스키는 '인위적 욕구'라고 표현합니다. '인위적 욕구'를 통해 대중이 그 욕구를 맹목적으로 추구하게 만든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소위 '지식인'의 정체는 무엇인가? 촘스키가 추구하는 '지식인'은 마음가짐을 바로 갖는 사람입니다. 무엇에 대한 마음가짐인가? 인간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나름대로 이해하고 통찰해보는 마음가짐이 그것이라는 것이지요. 촘스키는 '저명한 지식인'이 곧 진정한 지식이라는 등식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한편 '저명한 지식인'이란 그들만의 고유한 권력체계 내에서 '책임 있는 지식인'이란 직함을 부여받은 사람이란 것인데, 여기에 문제가 있습니다. 그들이 자칭 '책임 있는 지식인'이라는 망상과 착각에 빠진 것은 어찌해야 할지. 


복잡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는 이 시대에 어떤 사안에 대해서 그 누군가가 상황 파악을 지혜롭게 해서 책임지고 나아가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구 한 사람이나 몇 사람에 의해 결정되어진 결단의 위험을 막기 위해선 책임을 의무화하고 인류 전체가 깨어 있어야 함이 필연이지요. 역사적으로 소위 지식인들의 잘못된 독단 때문에 역사가 유토피아의 실험장으로 만들어진 사례가 제법 많습니다. 그 피해는 당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영향력과 파급력이 매우 길고 크다는 점에 있습니다. 


다시 촘스키에게 돌아갑니다. 지식인의 역할은 진실을 말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그는 진실을 무엇이라 정의하고 있나 들어볼까요? 아주 간단합니다.

"이 책을 보십시오. 이 책은 지금 의자 위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은 의자 위에 있다고 말하는 것이 진실입니다. 아주 간단하지 않습니까? 현실을 있는 그대로 말하는 것이 진실입니다. 진실된 말은 꾸밀 필요가 없습니다. 꾸민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결국 현실을 사실대로 설명 할 때 우리 모두가 진실에 가까이 다가설 수 있습니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

이 타이틀에 자연스럽게 따라붙는 단어가 있습니다. '권력(權力)'입니다. 촘스키는 권력의 중심이 부자나라에 몰려 있다고 합니다. 재고의 여지가 없습니다. 세계무역기구는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전쟁무기와 다름 없다고 하네요. 그 이유는 세계무역기구의 목표가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자는 데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다국적 기업들은 강력한 정부를 원합니다. 그들을 보호해 줄 강력한 정부 말입니다. 2백 년 전, "기업이 정부의 도구이자 정부의 지배자로 변해가고 있다'고 말한 제임스 메디슨(미국 공화당 소속 제4대 대통령으로 '미국 헌법의 아버지라 불리움)의 지적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합니다. 


최강대국들, 거대한 다국적 기업들, 금융기관과 국제기관은 공동의 이익을 위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거대한 네트워크를 맺고 있습니다. 실제로 요즘 들어 대부분의 경제 활동이 공급자 중심으로 이뤄진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공급자 중심의 경제로 진행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말하자면 강력하고 전제적인 힘을 지닌 소수 집단이 초강대국을 등에 업고, 때로는 국가의 정책결정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일부 경제분야를 지배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촘스키는 미국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것도 아주 신랄한 비판을 가합니다. "나는 미국이 지난 세월 무슨 짓을 저질렀는지 잘 알고 있다."  소말리아 사태, 코소보 사태가 도마 위에 오릅니다. 소말리아 사태에서 미국은 독재자를 지원했지요. 독재정권이 전복되자 소말리아는 무질서 상태에 빠져들었습니다. 내전과 기아가 닥칩니다. 하지만 미국은 뒷짐 지고 구경만 했지요. 결국 1992년 말 내전이 수그러들고 기아 문제가 해결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지만, 인도적 지원은 주로 적십자 활동을 통해 이뤄진 것입니다. 


내친 김에 코소보 사태 이야기도 해봅니다. 미국은 미국이 개입할 경우 상황이 악화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코소보 사태에 개입합니다. 나토 군이 폭격을 시작하기 전까지 코소보에서 탈출한 난민들에게는 커다란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그들은 폭격을 개시했지요. 폭격이 시작 되기 몇 주 전 이탈리아의 달레마(이탈리아 연립정부 수상 역임)는 워싱턴을 방문해서, "폭격을 한다면 수백, 아니 수천의 난민이 더 생길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지만, 폭격은 진행되었지요. 그리고 그 후 수천의 코소보인이 고향에서 쫒겨나고 학살당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국 만이 범죄국가'라고 단정지어야 할까요?  우리는 안전지대일까요? 이 책을 옮긴이 강주헌은 이 책을 번역하는 과정 중 촘스키와의 이메일 등을 통해 수정 보완 하는 중 우리나라에 대해서 이런 메시지를 받았다고 합니다.


"한국의 금융시장은 완전히 미국의 지배 아래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은행들이 연이어 파산한 것은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이제 미국계 금융기관들이 한국의 은행들을 마음대로 주무르고 있습니다."


소위 오피니언 리더들이라고 자칭하고 있는 '지식인'들 또는 행정, 경제 관료들이 더욱 책임있는 말과 행동을 해야 할 때입니다. 아무도 책임 질 사람없는 나라가 어디 제대로 된 나라이겠습니까? 

책이 의자 위에 있으면 의자 위에 있다고 말하면 되는 것이고, 책상위에 있으면 책상 위에 있다고 말하면 되는데, 그 말이 그렇게 어렵습니까?  


촘스키가 이 인터뷰 마지막 부분에 언급한 것을 인용하면서 마무리 하렵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평등과 자유를 추구한다고 믿을 만한 몇 가지 근거가 있습니다. 똑같은 사람이 폭력을 일삼는 친위대원이 될 수도 있고 성인군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모든 것이 환경, 그리고 개인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