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대기만성(大器晩成)
1. 큰 그릇은 늦게 찬다.
2. 크게 될 인재는 오랜 단련이 필요하므로 인재로 성장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비유.
대(大) 큰 대
크다, 넓다, 두루
기(器) 그릇 기
그릇, 그릇으로 쓰다, 그릇으로 여기다
만(晩) 저물 만
저물다, 해 질 무렵, 늦다, 때가 늦다, 끝, 시간상의 끝
성(成) 이룰 성
이루다, 이루어지다, 정하여지다
....................
‘대기만성’은 《도덕경(道德經)》으로도 불리는 《노자》(41장)의 “가장 큰 네모는 구석이 없고(대방무우, 大方無隅), 아주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지고(대기만성,大器晩成), 가장 큰 소리는 들리지 않고(대성희성, 大聲希聲), 가장 큰 형상은 형태가 없다(대상무형, 大象無形)”라는 오묘한 대목에서 나왔다. 《노자》의 ‘대기만성’ 대목은 ‘아주 큰 그릇은 만들어져 있지 않은 것 같다’로 해석하는 경우도 많아 오늘날 ‘대기만성’의 일반적 뜻과는 차이가 난다.
《노자》의 ‘대기만성’은 본래 뜻과 다소 다르게 적용되어 오면서 지금은 큰일을 할 인재는 비교적 늦게 성취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로 정착되었다. 일찍 피어 일찍 시드는 꽃보다 다소 더디게 피더라도 오래오래 피어 있는 꽃이 많은 세상이 좋은 세상이 아닐까?
‘대기만성’은 글자 그대로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비유다. 간혹 만년이 되어 성공하는 사람이나 과거시험에 낙방한 선비를 위로할 때 사용되기도 했다. 비숫한 표현으로 ‘대기난성(大器難成, 큰 그릇은 어렵게 이루어진다)’, ‘대재만성(大才晩成, 큰 재능은 늦게 이루어진다.)’등이 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 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의 Dim Gung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