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미래 - 인류는 어떻게 다가올 전쟁을 상상했는가
로렌스 프리드먼 지음, 조행복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전쟁의 미래 - 인류는 어떻게 다가올 전쟁을 상상했는가

_로렌스 프리드먼 / 비즈니스북스

 

 

전쟁이 비난받는 이유는 제시된 목적이 결코 그 희생의 정당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희생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회복될 수 없다. 많은 나라가 법으로 전쟁을 억제하겠다고 공언하면서도 계속해서 전쟁에 대비한다. 그러면서 주장한다. 싸워야 한다면 최고로 정당한 이유에서만, 최후의 수단으로서만 싸워야 한다고 한다. 과연 그랬는가?

 

이 책의 지은이 로렌스 프리드먼은 전쟁학 및 군사권력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지은이는 이 책을 통해 미래의 전쟁에 관해 쓴 글들을 시간순으로 살펴본다. 평가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전쟁의 원인과 가능한 전쟁의 양상 및 전개에 관한 일반적인 이해를 탐구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사람들이 미래의 전쟁을 어떻게 상상했느냐에 따라 전쟁의 양상과 전개 또한 달라진다.

 

책은 크게 3파트로 나뉜다. 1부에선 19세기 중반부터 1990년 전후 냉전의 종식까지를 살핀다. 이 시기에는 전쟁의 기술과 두 차례 세계대전을 포함하는 전쟁의 실행에 극적이 발전이 있었다. 이어서 한층 더 파괴적인 3번째 대전에 대한 걱정이 포함된다.

 

2부는 1990년 이후를 이야기한다. 이 시기에 가장 놀라운 것은 서방의 적들이 사용한 교묘한 방법이 아니라 소련과 바르샤바조약기구 동맹이 매우 빠르게 와해되었다는 사실이다. 대규모 전쟁 가능성이 사라지자, 관심은 곧 내전으로 옮아갔다. 내전이 새로운 현상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서구 국가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마지막 3부에선 외국에 대한 개입 열의가 사그라지면서 어떻게 강국 간 충돌이 되살아났는지 살펴보고 있다. 러시아는 자국만의 분명한 이익을 주장하고 있고,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우세에 도전하고 있다. 주요 강국들이 서로의 전쟁을 예상하며 계속해서 시험적 시도를 행하고 있다.

 

미래의 전쟁은 어떤 양상을 띠게 될까? 1997년 미국 해병대 사령관 찰스 크럴럭 장군은 현대전의 특별한 조건을 전달하기 위해 세 구역 전쟁(Three Block War)'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어느 한 순간, 우리의 현역병들은 추방된 난민을 먹이고 입힐 것이며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 다음 순간, 그들은 서로 싸우는 두 부족을 떼어놓을 것이고, 다시 말해 평화유지 작전을 수행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매우 치명적인 중강도 전투를 치를 것이다. 전부 하루에...전부 도시의 세 구역 안에서.”

 

2005년 제임스 매티스 장군과 프랭크 호프먼 중령은 심리전이나 정보적 측면을 다루는 추가 구역을 덧붙여 네 구역 전쟁을 이야기했다. 두 사람은 이것을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이라고 불렀다. 정보전의 다른 형태는 현대의 군대와 민간 사회의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었다. 그 점에서 하이브리드 전쟁만큼이나 사이버 전쟁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로봇과 드론도 점점 더 정밀해져 갈 것이다. 더욱 공격적인 양상으로 진화할 것이다.

 

전쟁에는 미래가 있다. 전쟁은 격한 논쟁과 모종의 폭력이 결합되면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다. 국제 체제에는 국가 간에 혹은 국가 내부에 알려진 단층선이 있으며, 언제든지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 폭력은 지엽적인 문제, 나아가 사사로운 문제와도 결합될 수 있으며 종종 범죄와 연결되어 있고 들끓는 사회적 긴장과도 연결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