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266
마종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9월
평점 :
문학과지성
시인선-266
【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 】
_마종기
저 |
문학과지성사
1.
“작은
호수가 노래하는 거/
너
들어봤니/
피곤한
마음은 그냥 더 잠자게 하고/
새벽
숲의 잡풀처럼 귀 기울이면/
진한
안개 속에 몸을 숨긴 채/
물이
노래하는 거 들어봤니?/
긴
피리 소리 같기도 하고/
첼로
소리인지 아코디언인지/
멀리서
오는 밝고 얇은 소리에/
새벽안개가
천천히 일어나/
잠
깨라고 수면에서 흔들거린다/
아,
안개가
일어나 춤을 춘다/
사람
같은 형상으로 춤을 추면서/
안개가
안개를 걷으며 웃는다/
그래서
온 아침이 한꺼번에 일어난다/
우리를
껴안는/
눈부신
물의 메아리”
「메아리」
전문
강과
호수는 완전히 다르다.
강은
흐름이 있다.
소리가
있다.
반면
호수는 조용하다.
물의
흐름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단지
수면(水面)상으로
잘 감지가 안 되는 것뿐이다.
낚시광
친구가 있다.
그
친구 따라서 호수,
양어장
낚시를 종종 간 적이 있다.
내
낚싯줄엔 어쩌다 교통사고로 걸린 물고기가 가끔 있을 뿐이었다.
낚시보다
호수를 덮는 안개가 좋았다.
시인의
표현처럼 ‘진한
안개’였다.
안개의
두께를 느낄 정도였다.
그리고
보니 나도 물의 노래 소리를 들은 듯싶다.
아침
안개는 그리 오래 안 간다.
해와
교대한다.
새벽안개가
진짜 안개다.
새벽
공기가 안개를 지나 나의 뇌를 적시며 지나갔다.
이
시의 끝부분 ‘눈부신
물의 메아리’라는
표현이 참 좋다.
시각과
청각이 한 줄에 담겨있다.
2.
“봄밤에
혼자 낮은 산에 올라/
넓은
하늘을 올려보는 시간에는/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별들의
뜨거운 눈물을 볼 일이다/
상식과
가식과 수식으로 가득 찬/
내
일상의 남루한 옷을 벗고/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오늘
밤/
별들의
애잔한 미소를 볼 일이다//
땅은
벌써 어두운 빗장을 닫아걸어/
몇
개의 세상이 더 가깝게 보이고/
눈을
떴다 감았다 하며 느린 춤을 추는/
별밭의
노래를 듣는 침묵의 몸/
멀리
있는 줄만 알았던 당신/
맨발에,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_「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전문
두렵고
떨리는 마음.
두려워서
떨리는 것이 아니라,
떨려서
두렵다.
영(靈)보다
신(身)이
먼저 반응한다.
신체적인
반응이 더 빠르다.
별들이
뜨거운 눈물을 흘리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시인은
신(神)을
생각하며 두렵고 떨린다.
그가
유난히 죄를 많이 지어서가 아니다.
상식과
가식과 수식으로 가득 찬 시인의 일상이라고 했지만,
그
나쁜 증상이 주변에 너무 많이 퍼져있기 때문에 안타깝다.
별밭의
노래를 듣노라면,
멀리
있는 줄만 알았던 그분이 곁에 와 있는 것을 느낀다.
신을
벗어야한다.
내가
서 있는 모든 곳이 거룩한 장소가 되어야한다.
그렇게만
된다면,
이
세상은 더욱 평화로운 호흡을 하게 될 것이다.
3.
마종기
시인을 알게 된 것은 오래 전 일이다.
1970년대
초로 기억된다.
문학잡지에서
시인의 시를 처음 만나고,
그
뒤로 『평균률』이라는
독특한 판형의 시집을 통해서 다시 만났었다.
시인은
젊었고,
나는
어렸었다.
『평균률』은
결혼 후 몇 번의 이사과정 중 사라졌다.
독특한
판형 탓이었을까?
서가에서
언제나 좀 튀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가?
사라진
이유가?
시인은
그동안 미국에가 살면서도 시심(詩心)을
놓지 않고 있었다는 점이 참으로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타국에서
모국어로 시를 쓰는 시인에 대한 관심이 시인의 아버지가 동화작가 마해송이라는 사실보다 늘 먼저였다.
각
나라 언어마다 빛깔과 향기가 다르다.
전문직
종사자로서 생활하던 시인에게 모국어로 시를 쓰는 것은,
일제하
시대에 목숨 걸고 모국어로 시를 쓰던 시인들의 마음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그
시(詩)들이,
시심(詩心)이,
시인을
살리는 글자가 되고,
글이
되고,
심상(心象)이
되었으리라 짐작한다.
“나는
내가 살아있다는 것을 몰랐다/
저기
누군가 귀를 세우고 듣는다/
멀리까지
마중 나온 바다의 문 열리고/
이승을
건너서,
집
없는 추위를 지나서/
같은
길 걸어가는 사람아/
들리냐”
_「길」
부분.